○…그랜드힐튼호텔은 최근 실시한 한 여론조사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싶은 호텔부문 1위'에 선정된 것을 기념,11월 한달 간 웨딩 예약을 하는 모든 커플에게 웨딩케이크,아이스카빙 등을 선물한다.
하객이 2백50명 이상일 때는 주니어 스위트룸 1박 투숙권 등 총 1백만원 이상의 선물을 증정한다.
(02)2287-8379
대한항공, 이달말 인천발 3개 노선 재운항…LCC들도 다수 재개
장기화하는 일본 엔화 가치 하락(엔저) 현상에 힘입어 일본행 항공편 인기가 고공행진 하면서 국적 항공사들이 인구 100만명 이하 일본 소도시행 노선을 속속 개설하고 있다.
1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동계 스케줄이 적용되는 이달 29일부터 인천발 오카야마·가고시마 노선을, 이달 31일부터 인천발 니가타 노선을 모두 주 3회 왕복 일정으로 재운항한다.
과거 대한항공이 운항하던 이들 노선은 팬데믹 초기인 2020년 3월 초 일본이 한국발 입국을 제한하면서 운행이 중단된 바 있다.
약 3년 8개월 만에 다시 하늘길이 열리는 셈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주 3회 운항하는 인천발 센다이 노선을 이달 29일부터 주 4회로 증편한다.
미야자키 노선은 지난달 27일부터 주 3회 운항을 재개했다.
국적사 가운데 가장 많은 일본 노선(14개)을 보유한 제주항공은 인천발 히로시마·오이타·시즈오카·마쓰야마 등 소도시 노선을 4개 운행 중이다.
티웨이항공은 지난달부터 인천발 사가 노선을 재운행했고, 올해 초부터는 구마모토 노선을 재개했다.
진에어도 지난 5월 인천∼기타큐슈 노선을 재개해 매일 항공편을 띄우고 있다.
에어서울은 코로나 발생 직후 중단했던 돗토리 노선의 운항(주 3회)을 이달 25일부터 재개한다.
11월까지 예약률은 80%대에 달한다.
앞서 다카마쓰 노선은 지난해 11월 일찌감치 재개해 한 차례 증편을 거쳐 매일 운행 중이다.
올해 들어 8월까지 한국과 일본을 오간 여객은 총 1천200만명으로 2019년 같은 기간의 82% 수준까지 회복했다.
무비자 입국 허용 전이었던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26배 급증했다.
엔저가 지속되는 만큼 금
괌을 할퀴고 간 태풍 마와르는 큰 상처를 주었지만, 괌은 신속하게 복구가 진행됐다.
전통적인 관광 명소들도 제대로 가동되고 있다.
봄방학이 있는 내년 2월 성수기에는 벌써부터 방이 동나기 시작했다는 후문이다.
◇ 푸른 바다 저 멀리 새 희망이 넘실거린다…돌핀 크루즈
돌핀 크루즈는 육지에서 마실 나가듯 가벼운 마음으로 다녀올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아름다운 괌 바다를 즐기는 대표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다.
어린아이를 데리고 온 가족들과 20대 여성들이 대부분이다.
일본인 가장들은 대략 20대로 보였지만, 한국 가장들은 30대 초반 가량으로 보였다.
배는 흰 포말을 그리며 몇십 분가량 나아갔다.
배 앞쪽에서부터 환호성이 터져 나온다.
돌고래 떼가 나타난 것이다.
3주 만에 처음 나타난 것이라 했다.
운이 좋았다.
돌고래들은 배 주변을 헤엄치며 따라왔다.
배를 따라 돌고래가 떼를 지어 헤엄치는 모습은 군함의 해상 사열을 떠올리게 했다.
돌고래들은 점프하면서 관객들의 환호에 대답했다.
언제 돌고래가 수면 위로 튀어 오를지, 또 어느 지점에서 튀어 오를지 몰라서 제대로 사진을 찍는 사람들이 없었다.
눈으로 보는 것에 만족해야만 했다.
선장은 승객들이 마스트로 와서 사진을 찍는 것도 크게 개의치 않았다.
유쾌한 성격의 소유자였다.
편안한 돌핀 크루즈를 마친 뒤 다시 항구로 돌아왔다.
◇ 물고기 천국 피시 아이
돌핀 크루즈를 즐긴 뒤에는 10여분 거리에 있는 해중전망대인 피시 아이를 찾는 것이 일반적인 스케줄이다.
스노클링을 하지 않더라도 바다 한가운데 세워진 해중전망대를 통해 바닷속을 볼 수 있는 특별한 해저 공간이다.
물속에서 다이버와 물고기들
기후위기로 피해 재발 개연성 커…숲에 새로 조성하는 방안 검토
"존치하자니 또다시 피해가 우려되고, 새로 조성하자니 마땅한 장소가 없고…"
세종시가 연동면 금강 둔치에 조성된 합강캠핑장 존치 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지난 7월 중순 폭우로 물에 잠기면서 주요 시설이 초토화된 캠핑장을 복구한다고 하더라도 내년 여름 또다시 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최근 기후위기로 폭우가 계절에 상관없이 쏟아지고 있다.
가을인 지난 20일 태풍이 불지 않았는데도 충청권에 집중호우가 내려 세종시 신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 한복판을 흐르는 금강 둔치 일부가 잠겼다.
당시 인근 공주 금강에 황포돛배와 유등 등 '2023 대백제전'을 위해 설치된 주요 시설물 80%가 유실돼 충남도와 공주시가 긴급 복구하는 소동을 벌이도 했다.
지난 7월 중순에는 폭우로 합강캠핑장이 완전히 침수돼 캠핑장에 설치된 캐러밴 63대 중 89%인 56대와 화장실, 대형 파라솔 등이 물에 잠기는 피해가 발생했다.
세종시시설관리공단은 침수 피해 당시 복구작업을 거쳐 10월 말 캠핑장 재개장 방침을 밝혔지만,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이런 피해가 발생할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새로운 장소를 선정하는 것도 고민거리다.
마땅한 장소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막대한 비용 조달도 문제다.
시설관리공단은 현재의 합강캠핑장을 폐쇄하고 폭우가 쏟아져도 피해가 없는 고지대 숲에 새로운 캠핑장을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후보지는 금남면과 장군면 일대 산림이 거론되고 있다.
공단 관계자는 1일 "갈수록 심각해지는 기후위기를 고려할 때 강 둔치에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