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정책개발원(원장 이종석)은 3일 오후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세계는 어떤 문화정책을 준비하고 있나」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각국 전문가들은 세계화 시대에 사회구조와 국제관계, 문화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해 각국이 어떤 문화정책을 추진하는지 프랑스, 독일, 일본 등의 사례를 중심으로 주제발표를 하고 토론을 벌였다. 김경동 서울대 교수, 베른트 바그너 독일 문화정책협의회 사무차장, 기 사에즈프랑스 그르노블대 교수, 다니 가즈아키(谷和明) 도쿄(東京)외국어대 교수가 주제발표를 했다. 이어 정홍익 서울대 교수가 사회를 맡고 이중한 한국문화복지협의회 회장, 정갑영 한국문화정책개발원 연구위원, 원윤수 서울대 명예교수, 이문웅 서울대 교수 등이 참가해 토론을 벌였다. 김경동 교수는 '한국의 문화정책-현황과 미래 방향'이라는 발표문을 통해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사회적, 문화적 정체성을 전통에 국한시키거나 세계적 문화에서만 찾으려 해서는 안된다"면서 "전통과 외부문화의 변증법을 통해 전통에 뿌리를 내리고 세계문화를 수용하는 정체성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정부의 문화정책은 ▲조건부 자유방임의 원칙 ▲문화적 개발에 있어서 지역 자율성의 원칙 ▲문화정책에 있어서 인간의 중요성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른트 바그너 사무차장은 '세계화 시대의 독일 문화정책-도전과 대응'이라는 발표문에서 "문화정책의 주권이 주정부에 있었지만 유럽통합에 대응해 2000년에 새롭게 연방정부 차원의 문화미디어부를 신설하고 6개 부처에 분산됐던 문화행정업무를 통합했다"면서 "독일 전체의 공공부문 문화비 지출은 연간 약 80억유로(1인당 95유로, 전체예산의 1.29%)에 이르며, 최근 10년간 5억유로가 증액되는 등 문화재정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기 사에즈 교수는 '세계화에 대한 프랑스의 불확실한 입장은 문화적 예외의 종말을 향한 것인가'라는 발제문에서 ▲세계화라는 동질화, 획일화에 대응해 프랑스의 문화적 예외를 보존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문화정책 강화 ▲문화산업과 문화기관의 경영기법 도입 ▲중앙정부 위주의 문화정책에서 지방정부와 협력관계로의 전환 등 정책변화를 소개했다. 다니 가즈아키 교수는 '문화정책의 르네상스 또는 사회교육의 위기-일본 공민관(지역주민회관)의 구조적 전환'이라는 발표문을 통해 사회교육 위주인 일본문화정책의 위기와 그 대응방안을 지난해 11월 제정한 문화예술진흥기본법을 중심으로 설명했다. ☎ 669-9823. (서울=연합뉴스) 정천기 기자 ckch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