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가 새로운 핵심동력으로 자리잡은 21세기를 맞아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고 국가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가칭 '한국문화사'의 편찬이 긴요하다는 견해가 제시됐다. 조광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는 29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릴 국사편찬위원회 주최 제28회 한국사 학술회의에 나와 주제 발표문 '한국문화사의 편찬방향과 서술체계'를 통해 이같이 밝힐 예정이다. 조 교수는 미리 공개된 발표문에서 "문화는 국민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 인식되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배경을 설명한 뒤 "'한국문화사' 편찬은 이제 시대적 요청이 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유지ㆍ발전시켜 온 사례로 등을 꼽고 "대한민국 건국 후에도 27권 분량의 이 간행된 데 이어 25권짜리 가 내년에 완간돼 한민족의 문화적 성취를 보여 주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 교수는 "그러나 이 개별사항에 대한 해설서여서 체계적 역사서술에 이르지 못했고 역시 통사적 기술을 시도하고 있어 분류사적ㆍ부문사적 이해에는 한계가 있다"며 '한국문화사' 편찬의 당위성을 거듭 주장했다. 그는 "역사의 기본틀이 편찬 등으로 갖춰지고 있으나 여기에 문화 등 분류사적ㆍ부문사적 시각이 병존해야 한국사에 대한 구조적 이해가 가능하다"면서 "이제는 간행 필요성의 역설 단계를 넘어 그 구체적 서술방향과 방법 및 편찬체계를 논의할 때"라는 입장을 보였다. 조 교수는 "의 경우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종합적 기획력과 기초조사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제한 다음 "편찬을 위한 구체적 편목이나 서술방향은 학계의 동의와 참여로 모색하되 종이책과 전자책을 동시에 내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문화사'는 민족문화의 배타적 우수성을 강조하려는 쇼비니즘 경향을 뛰어넘는 인식의 개방성을 획득해야 하며 유럽 중심주의를 극복하려는 노력도 기울여야 한다"면서 "민족화해를 지향하되 서술시대는 1910년 조선왕조 멸망이나 1945년 민족해방이 하한으로 검토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학술회의에서는 이밖에 최갑수 서울대 교수의 '문화사란 무엇인가', 주명철 한국교원대 교수의 '서양의 문화사 연구방법론', 윤병남 서강대 교수의 '일본에서의 문화의 발견과 문화사', 서영대 인하대 교수의 '한국사에서의 문화사 서술' 등이 주제발표된다. (서울=연합뉴스) 임형두 기자 id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