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치의 점진적 개혁노력이야말로 한국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3-24일 충남대에서 열리는 한국사회학회 94전기사회학대회의 주제발표를
통해 한상진교수(서울대.사회학)는 중민의 공론조성역할을, 정수복씨
(연세대강사.사회학)는 신중간계급의 시민운동 가능성을 강조하고 있다.

한교수는 "중민이론의 재조명"에서 사회의 중간허리를 이루는 층인 중민은
자율적자아를 찾는 신세대가 기성사회에 진입하면서 형성된 계층으로
근대화가 거둔 사회적 결실이라고 볼수 있다고 설명한다.

그는 이 계층은 도덕적인 특성을 갖고 있으며 현재 시점에서 이자원들을
제도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노동조합은 그같은 제도조직의 대표적인 예이며 중민들은 사회개혁을 위해
이를 보다 더 신축적이고 성찰적인 사회조직으로 제도화해 갈 수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사회조직내에 공론영역을 설치해 국가와 시민사회가 이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그의 견해이다.

한교수는 공론조직은 비리와 부패 잘못된 관행의 제거뿐 아니라 조직의
합리화 정상화 인간화에도 도움을 줄수 있다면서 이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수복교수는 "신중간계급과 시민운동"을 통해 지난 30년동안 한국사회에는
넓은 의미의 화이트칼라에 해당하는 신중간계급이 빠른 속도로 팽창했다고
전제한다.

이 신중간계급들은 안정속의 점진적개혁을 선호하며 사회적현실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그러한 비판의식을 행동으로 옮기지는 못하는
집단이라는 것이 정교수의 지적.

그런데 오늘날 민중운동이 퇴조하면서 이 집단이 시민운동의 주역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지난 89년 출범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그 대표적인 예라는
것. 이들은 민중이라는 용어대신 시민이라는 용어를 주체적으로 설정했을
뿐아니라 급진적이고 근본적인 체제변화보다 점진적인 체제내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그러나 아직까지는 경실련이 신중간계급의 이해관계를 일관성있게
대변하지는 못하고 있다고 보고 그렇더라고 장차 노동계층의 움직임이
활발해지면 경실련운동은 신중간계급의 정치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