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용 발사체 한빛-나노 개발에도 속도를 내려고 합니다. 내년에 국내 민간 기업 중 처음으로 상업 발사에 나설 계획입니다.”국내 첫 민간 발사체 ‘한빛-TLV’를 성공적으로 쏘아 올린 이노스페이스의 김수종 대표는 21일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노스페이스는 독자 개발한 엔진 검증용 시험 발사체 한빛-TLV가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에서 정상적으로 이륙해 비행을 마쳤다고 이날 발표했다. 한국에서도 민간이 우주산업을 개척하는 ‘뉴스페이스’ 시대가 열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제 첫 발걸음 뗐다”이노스페이스가 개발한 한빛-TLV는 19일 오후 2시52분(현지시간·한국시간 20일 오전 2시52분) 발사돼 106초간 엔진이 연료를 연소하고, 4분33초 동안 정상 비행 후 해상 안전 설정 구역 내 낙하했다.김 대표는 “이제 상업 발사를 위해 첫 발걸음을 뗀 것”이라고 했다. 그는 비행 데이터를 종합 분석한 결과 엔진은 정상 작동하고 발사체의 추력 안정성도 유지했다고 밝혔다. 그는 “엔진 연소 시간이 당초 목표였던 118초보다 12초 적었던 것은 현지 기후 영향”이라며 “연료를 모두 소진했기 때문에 정상 작동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한빛-TLV는 위성 발사용 2단형 발사체 ‘한빛-나노’에 적용할 추력 15t 하이브리드 엔진 비행 성능 검증을 위해 개발됐다. 높이 16.3m, 지름 1m, 무게 8.4t의 1단 로켓으로 엔진 1기를 장착했다. 경쟁력은 하이브리드 엔진한빛-TLV의 목표 고도는 80㎞였다. 김 대표는 “발사체에 실린 관성항법시스템 시스나브를 개발한 브라질 공군과 계약에 따라 고도는 공개할 수 없다”고 했다. 다만 “
국내 항공우주업체 이노스페이스의 발사체 시험 발사 성공에 이어 다른 토종 스타트업도 우주를 향한 도전에 적극 나서고 있다.21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소형 발사체 스타트업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는 이르면 오는 6월 ‘BW-1’ 발사체 상단부를 제주에서 쏘아 올릴 계획이다. 2018년 설립된 페리지는 액체연료를 기반으로 로켓을 제작하는 업체다. 개발 난도가 높지만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페리지 관계자는 “올 상반기 잭업 바지선 위에 해상 발사장 구축을 마치고, 전체 모듈은 연말까지 개발할 예정”이라며 “이후 발사체 재사용 기술도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4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한 페리지는 연말 코스닥시장 기술 특례상장도 추진하고 있다.위성 제작 분야에서도 국내 스타트업이 활약하고 있다.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는 무게 100㎏ 이하 초소형 인공위성을 제작한다. 올해 안으로 가로 20㎝, 세로 20㎝, 높이 40㎝의 초소형 위성 ‘옵저버 1A’를 띄울 준비를 하고 있다. 또 다른 소형 위성 제작사인 드림스페이스월드는 2018년 6유닛(U)급 큐브위성을 처음으로 국산화했다. 1U는 10㎝ 단위 규격을 뜻한다.컨텍과 SIA는 지상국에서 쓰이는 솔루션을 개발한다. 우주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받고 처리하는 기술이 사업의 핵심이다. 2015년 설립된 컨텍은 해외에서 꾸준히 계약을 맺고 있다. SIA는 지난해 5월 네이버클라우드, 쎄트렉아이 등 대형 업체와 지구 관측 솔루션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협약을 맺었다.유인 우주선을 개발 중인 국내 하나뿐인 스타트업도 있다. 우나스텔라는 지난해 12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소형 로켓 엔진용 전기펌프’
다음 달부터 표준연·화학연·생명연·기계연 순으로 대전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을 맞아 특구 내 정부출연 연구기관(출연연)들이 주말에 시민에게 개방된다. 대전시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은 21일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참여한 4개 출연연은 다음 달부터 순번을 정해 매주 주말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연구동을 제외한 실외와 홍보관 등을 개방한다. 4월과 8월 표준연, 5월과 9월 화학연, 6월과 10월 생명연, 7월과 11월 기계연 순서이다. 다음 달 가장 먼저 개방하는 표준연의 잔디광장과 연못가에서는 완연한 봄기운을 느낄 수 있고, 과학해설사와 함께 전시체험관과 뉴턴의 사과나무 등을 둘러볼 수 있다. 대전시는 출연연이 우려하는 보안과 안전사고, 쓰레기 등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운영인력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정 시간대에는 대덕특구 50주년의 의미와 기관별 주요 성과 등에 대한 해설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출연연 탐방 예약은 대전사이언스 투어 누리집(dst.daejeon.go.kr)에서 할 수 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출연연 주말 개방이 대덕특구가 대전의 외딴섬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와 하나 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대전에 대덕특구가 있다는 사실을 시민과 특구가 모두 자랑스러워하고, 대전이 과학수도로서 대한민국의 초일류국가 도약을 선도해나갈 미래 여정에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