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게임 플레이스테이션(PS)을 개발·운영하는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IE)가 오는 22일 차세대 가상현실(VR) 기기인 '플레이스테이션(PS) VR2' 헤드셋을 출시한다.
6일(현지시간) 미 경제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드 등에 따르면 PS VR2는 플레이스테이션5를 기반으로 한 VR 기기로, 가격은 549.99달러(69만 원)에 책정됐다.
VR2는 실제 눈으로 보는 것에 가깝게 밝기의 범위를 확장하는 4K HDR(High Dynamic Range·디지털 영상에서 밝은 곳은 더 밝게, 어두운 곳은 더 어둡게 만들어 사람이 실제 눈으로 보는 것에 가깝게 밝기의 범위를 확장하는 기술) 기술과 기존보다 넓은 110도의 시야각을 지원한다.
헤드셋에 탑재된 렌즈를 활용해 방향을 추적하는 인사이드-아웃 트래킹을 사용해 외부 카메라 없이도 이용자의 움직임과 시선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또 3D 오디오를 통해 사운드를 더욱 생동감 있게 제공하고 캐릭터가 긴장하면 심박수도 느낄 수 있는 등 감각 기능도 강화됐다.
이를 통해 한층 몰입감 넘치는 게이밍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소니는 지난해 세계 최대 가전·IT(정보기술) 박람회에서 PS VR2 출시를 예고하는 등 심혈을 기울여 왔으나 판매는 기대치보다 저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최근 업계 소식통을 인용해 소니가 파트너사들에 PS VR2 주문이 줄어들 수 있다는 내용을 전달했다고 전했다.
소니는 3월까지 출시 목표량을 200만대로 잡았으나 절반인 100만대로 목표량을 크게 줄일 것으로 알려졌다.
소니는 지난해 11월부터 PS VR2 예약 구매를 시작했으며, 지난달에는 VR2로 즐길 수 있는 게임 타이틀 목록을 공개한 바 있다.
한국을 포함해 다른 국가는 현지 환율 변동 등을 감안해 실제 판매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지난해 11월 지분 4.2% 취득…"투자수익 실현 목적" 컴투스는 이사회 결의에 따라 보유하고 있던 SM엔터테인먼트 지분 4.2% 전량을 카카오의 공개매수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처분한다고 24일 공시했다. 처분 예정 일자는 오는 28일로, 컴투스는 SM 지분 99만1천902주를 약 1천488억 원에 매각할 예정이다. 처분 금액은 카카오가 제시한 공개매수가 15만 원을 기준으로 계산됐다. 컴투스는 지분 처분 목적을 '투자수익 실현'으로 기재했다. 컴투스는 지난해 11월 SM 지분 4.2%를 장내 매수 방식으로 취득한 바 있다. 컴투스는 당시 구체적인 투자 금액 규모를 밝히지 않았으나, 시장에서는 600억∼700억 원가량을 동원한 것으로 추정한다. 앞서 카카오는 지난 7일 SM 주식 총 833만3천641주를 시장에서 공개 매수, 지분 최대 35%를 확보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넷마블은 미국에서 열리고 있는 'GDC(게임 개발자 회의) 2023' 행사에서 개발 중인 신작 수집형 역할수행게임(RPG)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을 시연했다고 24일 밝혔다.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은 넷마블이 국내외에서 서비스 중인 '일곱 개의 대죄: 그랜드 크로스'의 후속작으로, 새로운 주인공이 등장해 원작에 등장하는 캐릭터들과 모험을 펼치는 내용이다. 넷마블은 에픽게임즈의 부스에 참가해 GDC 행사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 데모 버전을 플레이해볼 수 있도록 체험 공간을 조성했다. 넷마블은 이와 별개로 이번 GDC에서 올해 상반기 출시 예정인 블록체인 게임 '모두의마블2: 메타월드', 하반기 출시 예정인 전략 RPG '원탁의 기사' 등을 차기 라인업으로 공개했다. /연합뉴스
주총서 재선임 안건 통과…"블루아카이브 중국 출시 스케줄 협의 중" 연임에 성공한 박용현 넥슨게임즈 대표는 24일 "미래 성장 라인업을 확보하기 위해 신작 개발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날 서울 강남구 사옥에서 열린 넥슨게임즈 정기 주주총회에서 재선임 안건이 주주 다수의 동의로 통과된 뒤 이같이 밝혔다. 박 대표는 1970년생으로 고려대 전기공학과를 나와 엔씨소프트·블루홀스튜디오 등에서 실장으로 근무했고, 2013년 넷게임즈를 창업했다. 이후 회사가 2022년 넥슨지티와 합병해 넥슨게임즈로 출범한 이후로도 줄곧 회사 대표를 맡아왔다. 박 대표는 "합병을 통해 회사는 미래 신작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우수한 개발 인력을 확보했고, 흑자 전환이라는 의미 있는 결실을 이뤘다"며 "현재 서비스 중인 V4, 블루 아카이브, 서든어택 등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바탕으로 캐시 카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개발 중인 '퍼스트 디센던트', '베일드 엑스퍼트', '갓썸'은 지난해 공개 이후 좋은 평가를 받았고, 개발 역량을 집중해 이른 시일 내에 선보일 수 있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 주주는 질의응답에서 넥슨게임즈의 대표작 '블루 아카이브'가 최근 중국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획득한 것과 관련해 이후 계획을 물었다. 박 대표는 "중국 퍼블리셔인 요스타와 출시 스케줄을 협의하고 있고, 가능한 한 빠르게 출시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던전 앤 파이터' IP(지식재산) 기반의 차기작 '프로젝트 DW', '야생의 땅: 듀랑고' IP로 만드는 또 다른 차기작 '프로젝트 DX'도 언급됐다. 박 대표는 "DW의 경우 멀티 플랫폼 오픈월드 역할수행게임(R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