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스퀘어가 연내 자사주 2000억원어치 매입·소각 절차에 돌입한다. 2021년 SK텔레콤에서 분할 출범해 재상장한 후 주가가 40% 이상 빠지자 ‘주주 달래기’에 나선 모습이다. “정기적으로 자사주 소각”박정호 SK스퀘어 부회장은 30일 SK텔레콤 사옥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오는 10월께 SK쉴더스 지분 매각 대금 일부가 들어오면 자사주 2000억원어치 이상을 매입해 즉시 소각할 것”이라며 “이후에도 정기적으로 자사주를 매입·소각하는 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SK스퀘어는 총 1조4146만7571주 중 9만3000주가 자사주다. 발행 주식의 0.07% 수준이다. SK스퀘어는 지난달 자회사 SK쉴더스 지분 약 30%를 스웨덴 사모펀드(PEF) EQT파트너스에 매각했다. 매각대금 총 8646억원 중 4146억원을 현금으로 받을 예정이다. 박 부회장은 “SK쉴더스 사례와 같이 투자 수익을 거두는 거래가 발생할 경우 자사주 매입·소각을 통해 주가를 높이고자 한다”고 했다.SK스퀘어는 자회사로부터 받는 경상 배당수입의 30% 이상을 주주 환원에 쓰겠다고도 발표했다. ‘글로벌 스탠더드(기준)에 맞는 주주환원 정책’을 표방한다는 설명이다. 이 재원도 자사주 매입·소각에 쓰인다. 작년 기준 SK스퀘어의 경상 배당수입은 약 3600억원이다. “무차입 경영 중…신규 투자 부담 덜 해”회사는 이날 주주총회에서 자본준비금 1조 원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하는 안건도 통과시켰다. 이 같은 재원을 바탕으로 매년 주주환원을 확대함과 동시에 추가 투자를 위한 실탄까지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박 부회장은 이날 SK스퀘어의 가치를 키우겠다
네이버가 사우디아라비아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1조달러(약 1300조원)가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세계 최대 스마트시티 사업 ‘네옴시티’ 수주에 청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 나온다.네이버와 네이버랩스, 네이버클라우드는 30일 사우디 리야드에서 사우디 자치행정주택부 및 투자부와 국가 차원의 디지털전환(DX)에 다각적으로 협력한다는 내용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사우디 정부는 사우디 국민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도시 단위 시뮬레이션과 모니터링을 위해 네이버의 인공지능(AI), 로봇 기반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활용하는 식이다. 사우디 자치행정주택부가 구축할 ‘슈퍼 앱’(가칭) 개발에도 참여한다. 네이버의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앱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될 예정이다.네이버 관계자는 “AI와 로보틱스, 클라우드, 자율주행, 디지털트윈 등 첨단 기술 분야를 망라하는 한국 대표 정보기술(IT) 기업인 네이버가 사우디 정부의 파트너로 함께하게 됐다”며 “이번 협력으로 향후 네옴시티 사업을 수주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네이버는 작년 11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주관의 ‘원 팀 코리아’ 사우디 수주지원단에 참가한 것을 계기로 사우디 정부와 교류를 이어왔다. 사우디 정부 관계자들이 작년 11월 네이버 사옥에 방문하기도 했다.이번 사업을 총괄하는 채선주 네이버 ESG·대외정책 대표는 “사우디 정부의 국가 디지털 전환에 보탬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이승우 기자
포스코DX(구 포스코ICT)는 30일 사명 변경에 따른 새 슬로건 'Drive to eXcellence(스마트 기술로 미래를 혁신합니다)'를 발표했다. 포스코DX는 이날 비전 선포식에서 로봇, 인공지능(AI), 디지털 트윈, 메타버스 등을 적용해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DX)을 이끌고 2030년까지 매출 4조원을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정덕균 사장은 "산업계가 직면한 디지털 전환은 우리 소명인 동시에 새로운 성장의 기회"라면서 "새 사명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산업 전반의 DX를 이끄는 대표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