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위·게임산업협·모바일게임협 등 참여…野의원 "게이머 대변 전문가 포함돼야" 확률형 아이템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는 게임산업법 개정안이 지난달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시행령 개정을 논의할 정부 태스크포스(TF)가 가동에 들어갔다. 20일 국회에 따르면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 학계·업계 전문가로 구성된 '확률정보공개TF'를 발족했으며, 오는 24일 첫 회의를 연다. 시행령 개정 과제의 책임자로는 김상태 순천향대 법학과 교수가 임명됐다. TF에는 문체부를 비롯해 게임물관리위원회·한국게임산업협회·모바일게임협회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문체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TF 구성원은 추후 논의를 거쳐 더 늘어날 수 있다"고 했다. 지난달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된 게임산업법 개정안은 게임을 제작·배급·제공하는 업체가 확률형 아이템의 종류와 확률 정보를 해당 게임 및 홈페이지, 광고 등에 표시하도록 했다. 게임사가 이를 표시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표시하면 문체부가 시정을 명령할 수 있고,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2년 이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한다. 다만 확률형 아이템 정보 의무 표시 대상 게임물의 범위와 정보 표시 방법, 의무 위반시 시정 방안 등은 하위 규정인 시행령을 통해 정하도록 했다. 개정안이 본회의 통과 시점에서 1년의 유예기간을 두고 있는 만큼, 문체부는 내년 초까지 협의체를 통해 게임산업법 시행령 개정 작업을 마쳐야 한다. 더불어민주당 이상헌 의원은 이날 국회 문체위 전체회의에서 "법안 취지 자체를 부정한 곳이 TF에 포함되는 일은 있어선 안 된다"며 "게임 이용자 의견도 수렴해야 한다. 이용자 대표를 선정하기 어렵다면 이들 목
네오위즈는 일본 그리엔터테인먼트와 인기 애니메이션 '던전에서 만남을 추구하면 안 되는 걸까'(던만추)의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네오위즈는 이번 계약을 통해 '던만추' 지식재산(IP)을 활용한 모바일 역할수행게임(RPG)을 개발해 서비스할 예정이다. '던만추'는 2013년 오오모리 후지노(大森藤ノ) 작가가 펴내 1천200만 부가 넘게 팔린 인기 소설이 원작으로, 2015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이래 지난해부터 4기가 방영되고 있다. 김승철 네오위즈 대표는 "세계 시장에서 폭넓은 팬층을 확보한 IP를 게임으로 개발하는 만큼, 원작의 재미 요소를 충실히 구현해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시리즈 최초로 오픈 월드 시도…베타테스트 첫날 접속 장애 발생 올해 최고 기대작 게임 중 하나로 꼽히는 블리자드의 '디아블로 4'가 지난 18일부터 예약 구매자와 PC방 이용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베타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번 작에서 새롭게 시도하는 오픈 월드 디자인 속에 방대한 콘텐츠를 녹여낸 점은 많은 유저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테스트 첫날부터 발생한 불안정한 서버 문제는 개선이 필요해 보였다. 제작진이 지난 15일 국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듯 디아블로 4는 디아블로 1·2편의 어두운 분위기와 3편의 속도감 있는 액션을 특유의 방식으로 진화시킨 게임이다. 우선 선형적인 일자식 레벨 디자인을 가지고 있던 전작들과 달리, 플레이어는 자유롭게 넓은 지역을 탐험하면서 곳곳에 있는 던전과 서브 퀘스트를 클리어할 수 있었다. 총 5개의 지역별로 각각의 달성도가 있고, 진척도에 따라 별도의 보상이 주어지는 점은 '로스트아크' 같은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을 연상시킨다. 물론 메인 퀘스트라는 큰 줄기는 있지만, 프롤로그만 완수하고 나면 플레이어는 시작 지역인 '조각난 봉우리'의 메인 퀘스트 라인을 따라갈지, 아니면 다른 지역 퀘스트를 먼저 진행할지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베타 시점에서는 '조각난 봉우리'의 스토리 라인만 플레이할 수 있었다. 디아블로 2편과 3편의 플레이어는 1막부터 게임의 줄거리를 끌어나가는 명실상부한 주역이었지만, 디아블로 4에서는 다른 캐릭터들의 조력자이자 악역 '릴리트'의 행적을 좇는 관찰자의 성격이 강해졌다. 스토리텔링 방식도 3편의 극적인 연출 위주에서 어둡고 잔혹한 세계관을 담담하게 보여주는 방식으로 변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