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기존 이동통신 3사에 배정했던 28㎓ 주파수를 회수해 ‘제4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주겠다고 밝히면서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서 누가 후보로 나설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주요 IT 기업들을 중심으로 접촉하며 제4 이동통신 참여 의사를 확인하는 중이다. 정부는 새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28㎓ 망을 최소 3년간 독점 공급하고 할당 대가도 종전보다 늦게 받기로 하는 등 줄 수 있는 ‘당근’은 모두 준비하겠다며 적극적으로 구애하고 있다. 3.5㎓ 등 전국망은 알뜰폰 사업자처럼 기존 3사에서 빌려 쓰고, 주요 지역에 100~300개의 28㎓ 기지국을 추가 설치해서 6세대 통신(6G)으로 가기 위한 실험적인 서비스를 시도해 보기만 하면 된다는 게 정부의 제안이다. 가장 유력하게 꼽히는 후보는 쿠팡 네이버 카카오 등 플랫폼 사업자들이다. 특히 쿠팡은 동영상 서비스(OTT) 쿠팡플레이를 초고화질로 제공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늘 첫손에 꼽히는 후보다. 전국 30여곳에 보유한 대규모 물류센터를 28㎓를 활용해 효율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할 수도 있다. 경기 판교 정자동 본사 사옥을 ‘이음5G’를 활용해 스마트 오피스로 운영하고 있는 네이버도 정부의 러브콜을 받는 대상이다. IT 분야로 보폭을 넓히고 있는 롯데그룹도 유력 후보군 중 하나로 꼽힌다. 한 업계 관계자는 “롯데그룹은 계열사 롯데정보통신를 중심으로 메타버스 회사 칼리버스 등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고, 롯데월드·백화점·충전기 시설 등 기지국 구축을 위한 여건이 마련돼 있어 검토해 볼 만 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같은 이유로 대형 쇼핑몰을 다수 보유한 신세계그룹 등도 거론된다. KB금융과 신한금융처럼 알뜰폰 사업에 뛰어든 금융사들이 사업 확장의 일환으로 검토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한국에서 사업을 하겠다고 신청한 위성통신업체 스타링크 등 해외 사업자들이 국내 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할 가능성도 열려 있다. 다만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은 모두 “검토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정부가 제시하는 요건을 맞추려면 최소 3000억원을 투자해야 하는데 그 이상의 수익을 내기가 쉽지 않고, 한 번 투자하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등의 책임이 발생하는 것도 부담스럽다는 것이 내부적인 판단이다. 한 이동통신사 관계자는 “28㎓는 직진성이 너무 강해 기지국을 낮게, 많이 설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람이 지나가기만 해도 통신이 방해될 정도로 회절성이 떨어진다”며 “28㎓를 쓸 수 있는 단말기도 없는 상황에서 정부 말만 믿고 시작하기는 어려운 점이 많다”고 말했다. 2010년대부터 정부는 무려 7차례에 걸쳐 제4 이동통신 후보를 물색했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중소기업 중심의 컨소시엄이 꾸려지기도 했지만 실제 사업 역량을 가진 경우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정부가 종전과 달리 적은 투자금으로 상징적인 수준에서 사업을 시작해도 된다고 허용한 만큼 이번엔 다를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간밤 미국 뉴욕증시에서 나스닥지수가 급등한 가운데 우리 증시에서도 대표 성장주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나란히 상승 중이다.이날 오전 9시34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에서 카카오는 전일 대비 2500원(4.02%) 오른 6만4700원에 거래 중이다. 같은 시각 네이버도 6500원(3.16%) 뛴 21만2000원을 기록 중이다.앞서 지난 1일(현지시간) 미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31.77포인트(2%) 상승한 1만1816.32로 거래를 마쳤다.미국 중앙은행(Fed)은 이날 올해 첫 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이후 성명에서 기준금리를 4.5~4.75%로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현재 금리는 4.25~4.5%다. 이번 '베이비 스텝'(0.25%포인트 금리 인상)은 시장의 예상에 부합한 것이다.Fed는 '디스플레이션'(인플레이션 완화)을 인정하며, 속도 조절 의지를 보여줬다. 연내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성장주에 매수세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테마주 장세가 펼쳐지면서 로봇, 은행, 플랫폼 등 테마형 상장지수펀드(ETF)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연초 이후 지난달 30일까지 KODEX K-로봇액티브 ETF가 수익률 21.5%로 1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TIGER은행, KODEX은행도 각각 19.8%, 19.4%를 기록하며 2·3위를 차지했다. KBSTAR Fn플랫폼테마(17.9%), KODEX Top5PlusTotalReturn(17.8%)이 뒤를 이었다.KODEX K-로봇액티브는 국내 로봇 기업에 투자하는 유일한 ETF다. 올 들어 로봇주에 관심이 급증하면서 투자금이 쏠렸다. 이 상품은 iSelect K-로봇테마 지수를 약 70% 비중으로 추종한다. 나머지 비중은 펀드매니저가 종목을 골라 초과 수익을 노린다. 편입 상위 종목은 삼성전자, 레인보우로보틱스, LG전자, 네이버, 두산, 로보티즈 등이다.은행주 ETF는 부동산 대출 규제가 완화되고 행동주의 펀드가 주주제안을 하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특히 금융지주사 배당이 확대될 것이란 기대감이 주가를 끌어올렸다. TIGER은행은 신한지주, KB금융, 하나금융지주 등 국내 시중은행 9개에 투자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도 13% 비중으로 투자한다.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기조가 올해 마무리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플랫폼 관련 ETF도 주목받았다. 플랫폼주는 성장주가 대부분이라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KBSTAR Fn플랫폼테마는 국내 플랫폼주에 폭넓게 투자하는 ETF다. NHN, 카카오, 디어유, 네이버, 다날, 커넥트웨이브 등이 편입 상위 종목이다.코스피지수가 반등하면서 시가총액 상위 종목을 집중적으로 담은 KODEX Top5PlusTotalReturn도 강세를 보였다. 이 펀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의 편입 비중이 50%가 넘는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등 2차전지 관련주는 편입하지 않고 있다. 주식에서 발생하는 배당금을 재투자하는 것이 특징이다.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