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김영식 "손상보증에 부과된 부가세 환급해야" 애플의 제품 보증 서비스 '애플케어 플러스'가 완전한 '서비스 상품'이 아니라 보험상품의 성격도 갖고 있다는 금융위원회의 유권 해석이 나왔다고 31일 국민의힘 김영식 의원이 전했다. 금융위가 김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애플케어 플러스는 보증 기간을 연장하는 '기술지원 보증연장'과 소비자 과실로 인한 기기 파손 등을 보상하는 '우발성 손상보증' 등으로 구성됐는데, 이 중 손상 보증을 부가 서비스가 아닌 보험상품이라고 금융 당국이 규정한 것이다. 보험료는 부가가치세 면세지만 서비스 요금은 부가세가 부과되는 만큼, 금융위 유권해석에 따르면 애플은 그동안 받아온 부가세 일부를 고객에 환급해줘야 한다. 애플코리아는 '우발성 손상보증'을 위해 AIG 코리아와 단체보험 계약을 체결하는데, 이때 보험회사가 약관에 따라 휴대폰이 파손됐을 때 제품 수리·교환 비용을 보상하도록 하고 있어 보험업법상 보험상품에 해당한다고 봤다. 다만 금융위는 판매사·제조사가 직접 제공하는 '기술지원 보증연장'은 부가서비스로 해석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인 김 의원은 "금융위 유권해석으로 애플케어플러스의 '우발성 손상보증'이 보험상품으로 결정된 만큼, 이 부분에 대한 부가세 면제와 기존 가입자들이 납부한 부가세 환급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며 "애플코리아와 협의를 통해 기존에 납부된 부가세를 어떤 방식으로 환급할지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통상 20만 원 정도에 판매되는 애플케어플러스의 절반을 보험상품으로 봤을 때, 가입자마다 1만 원 내외의 부가세 환급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봤다. /연합뉴스
SK텔레콤은 드론과 이미지 분석 인공지능(AI)을 통해 통신탑의 안전도를 점검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현장에 적용했다고 31일 밝혔다. SK텔레콤은 통신탑의 볼트·너트 고정 여부에 관한 안전도 점검을 위해 이미지 분석 AI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드론 촬영에 활용한 현장 검증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이 회사에 따르면 통신 송수신용 안테나가 설치된 통신탑은 전국 곳곳에 설치돼 있으며 높이가 최대 75m에 달한다. 통신탑은 볼트·너트 풀림이나 부식 등 노후화로 인한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기적인 정비를 위해 전문 인력이 직접 올라가 상태를 확인하는 육안 점검을 해왔다. SK텔레콤은 이번 안전 점검 지능화로 통신탑 노후화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 점검자가 통신탑에 직접 오를 요인을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 AI 모델 적용 전에는 하나의 통신탑을 점검하기 위해 드론으로 촬영한 100여 장의 이미지를 점검자가 직접 육안 점검해야 했지만, 자동화를 통해 판독에 드는 시간을 95% 단축하고 신뢰성을 높였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LG유플러스는 중소 알뜰폰 사업자의 요금제를 판매하고 고객을 지원하는 오프라인 컨설팅 매장 '알뜰폰 플러스'를 전국으로 확대한다고 31일 밝혔다. 알뜰폰 플러스는 온라인 외에 고객 접점이 없는 중소 알뜰폰 사업자를 위해 요금제·AS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목적으로 이동통신 3사 중 유일하게 LG유플러스가 운영하는 매장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월 서울 마포구 홈플러스 합정점에 1호점을 연 데 이어 다음 달 서울 동대문점, 경기 성남 야탑점 등 7곳에서 알뜰폰 플러스 매장을 추가로 개점한다. 알뜰폰 플러스에서는 LG유플러스 자회사를 제외한 인스코리아, 큰사람, 유니컴즈, 인스코비, 스마텔, 세종텔레콤, 아이즈비전 등 중소 사업자의 요금제 및 부가 서비스 가입, 요금 수납, 소비자 지원 업무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LG유플러스는 합정점에서 지난해 월평균 180명 이상 고객이 상담을 받아 알뜰폰 상품에 가입하는 등 높은 호응을 얻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