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라인·토스 등, 잇따라 부가 서비스 종료
서비스 '선택과 집중' 나선 플랫폼…"경기 한파에 운영 효율화"
경기 침체로 타격을 받은 국내 정보기술(IT) 업계가 최근 잇따라 주력 서비스 외의 부수 기능 지원을 종료하고 있다.

이들 서비스로 얻는 신규 이용자나 수익보다 유지 비용이 더 큰 상황에서 운영 효율화를 위해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30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정기구독 플랫폼 '구독온(ON)' 서비스를 지난 16일 종료했다.

이 서비스는 카카오가 지난 2021년 6월 출시한 것으로, 주력 서비스인 카카오톡 메신저를 활용해 실물 상품부터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구독 서비스로 만들 계획이었다.

그러나 서비스 이용자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카카오는 서비스 종료를 결정했다.

향후 카카오톡 선물하기·쇼핑하기 등 기존 서비스에 구독 모델을 접목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도 영화 제공 웹사이트 '네이버 영화' 서비스를 오는 3월까지만 운영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 서비스 역시 과거 인기를 끌었다가 모바일 페이지를 지원하지 않는 데다가 유사한 타사 서비스인 '왓챠피디아'에 밀려 영향력이 줄었다.

네이버는 영화 서비스에서 제공하던 영화 정보 검색과 리뷰·평점 등 기능을 통합검색으로 이관해 주력 서비스인 '검색'에 집중할 계획이다.

서비스 '선택과 집중' 나선 플랫폼…"경기 한파에 운영 효율화"
네이버 관계사이자 메신저 '라인'을 운영하는 라인플러스는 2021년 11월 출시한 숏폼 기반 소셜미디어 서비스 '라인 붐'의 국내 서비스를 다음 달 28일부터 단계적으로 종료한다.

이 역시 일본 등 해외와 달리 국내에서는 라인 붐의 이용자가 많지 않은 까닭인 것으로 전해졌다.

라인 관계자는 "우선 라인 메인 화면 하단에서 붐 접속 링크를 뺀 뒤 '내 프로필'에만 일부 기능을 남겼다가 추후 그마저도 종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모바일 금융 서비스 토스도 송금과 계좌 조회 등 주요 기능 외의 '채팅' 서비스를 다음 달 10일 중단할 예정이다.

이 서비스는 토스가 2021년 9월 선보인 뒤 채팅방 개설자에게 현금을 지급하는 이벤트까지 펼치며 적극적인 홍보를 해 왔지만, 기대만큼 활성화되지 않았다고 토스 측은 설명했다.

토스 관계자는 "이용자가 많지 않아 토스 채팅 서비스를 종료하게 됐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플랫폼 기업들의 잇따른 부수적 서비스 종료에 대해 경기 침체 상황을 견디기 위한 운영 효율화 전략이라고 해석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IT 회사들이 사정이 어려워지니 감원이나 채용 둔화에 나선 것과 같은 맥락에서 서비스도 중요한 것을 중심으로 잘 운영하려는 전략을 짜는 것"이라면서 "업황이 좋지 않은 만큼 당분간 이런 움직임이 이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