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 전 고(故) 스티브 잡스가 내놓은 전설적 컴퓨터 '리사1(Lisa 1)'가 미국 유명 경매시장에 출품된다.20일 업계에 따르면 고 스티브 잡스와 스티브 워즈니악이 제작한 컴퓨터 리사1이 오는 27일~30일 미국 줄리언스 옥션(Julien's Auctions)에서 경매에 부쳐질 예정이다.'디 애플스(The Apples)'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경매에서는 1977~2008년 사이 출시된 애플 제품 500여점이 판매된다. 이들 제품은 스위스의 교사였던 고 한스페터 루지(Hanspeter Luzi) 등이 45여년에 걸쳐 수집한 것으로 알려졌다.대표 제품 리사1은 1983년 1월19일 출시됐으며 애플 제품 중 처음으로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 기반(GUI) 운영체제(OS)가 도입된 컴퓨터다. 40년 전 출시된 제품이지만 본체와 모니터가 일체화된 디자인, 확장 가능한 메모리 슬롯, 외장형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부터 윈도우, 아이콘, 휴지통까지 당시 '획기적'이라고 할만한 기술을 모두 담아냈다.애플은 당시 리사1을 1만달러에 판매했는데, 1년 후 더욱 저렴한 매킨토시가 출시되자 10만대 정도 팔리는 데 그쳐 순식간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애플의 보기 드문 실패작으로 꼽히는 이 제품은 1만~2만달러(약 1300만원~2600만원)에 거래될 것으로 전망된다.컴퓨터 외에 1994년 2월17일 출시된 애플 카메라(QuickTake 100)도 경매에 오른다. 이 제품은 세계 최초 디지털 카메라인 코닥사와 애플이 함께 개발한 디지털 카메라로 640x480픽셀(약 30만 화소), 24비트 컬러를 지원했으나 1997년 단종됐다. 이번 경매에서는 출시 첫 해의 모델이 출품되며 가격은 약 300달러부터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애플의 초기 제품들은 2011년 창업자 스티브 잡스 사망 이후 경매 시장에서
오프넷 주도 설문조사 신뢰성 두고 상반된 입장 국회에서 추진 중인 '망 사용료' 의무화 입법을 둘러싼 여론조사 결과를 두고 통신업계와 시민단체가 20일 신경전을 벌였다. 사단법인 오픈넷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실시한 '망 사용료 관련 여론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43.1%가 망 사용료 법제화에 반대했다. 찬성한다고 밝힌 응답자는 30.1%, '잘 모른다'고 답한 응답자는 26.1%였다. 연령별로 보면 만 19∼29세 응답자의 50.4%, 30대 응답자의 48.6%가 망 사용료 입법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40대 응답자는 찬성(33.1%)과 반대(36.8%)가 엇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망 사용료 입법이 통과되면 응답자의 62.9%는 콘텐츠 요금이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봤다. 이에 따라 해외 콘텐츠 사업자가 화질을 낮추거나 이용요금을 높이면 서비스 이용 및 구독을 취소하겠다고 답한 응답자도 71.2%로 조사됐다. 반면 망 사용료 입법으로 인터넷·콘텐츠 품질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33.1%에 불과했다. 전체 응답자의 65.1%는 이용자 누구나 접속비용만 내고 인터넷을 자유롭게 쓸 수 있어야 한다고 답했고, 많은 접속을 유발하는 콘텐츠 제공자가 있더라도 접속 속도를 보장하는 것이 인터넷서비스제공사(ISP) 본연의 의무라고 답한 비율도 60.9%에 달했다. 다만 해외 콘텐츠 사업자들이 국내 콘텐츠 제공자들과 달리 인터넷서비스제공사들에 추가 비용을 내지 않는 것을 두고선 응답자 절반 이상(51.6%)이 '역차별이 맞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7∼22일 전국 만19∼59세 성인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7.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응답자 62.9% '콘텐츠 요금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 국민 10명 중 4명꼴로 국회에서 추진 중인 '망 사용료' 의무화 입법에 부정적 인식을 한다는 조사 결과가 20일 나왔다. 사단법인 오픈넷이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해 실시한 '망 사용료 관련 여론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43.1%가 망 사용료 법제화에 반대했다. 찬성한다고 밝힌 응답자는 30.1%, '잘 모른다'고 답한 응답자는 26.1%였다. 연령별로 보면 만 19∼29세 응답자의 50.4%, 30대 응답자의 48.6%가 망 사용료 입법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40대 응답자는 찬성(33.1%)과 반대(36.8%)가 엇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망 사용료 입법이 통과되면 응답자의 62.9%는 콘텐츠 요금이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봤다. 이에 따라 해외 콘텐츠 사업자가 화질을 낮추거나 이용요금을 높이면 서비스 이용 및 구독을 취소하겠다고 답한 응답자도 71.2%로 조사됐다. 반면 망 사용료 입법으로 인터넷·콘텐츠 품질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33.1%에 불과했다. 전체 응답자의 65.1%는 이용자 누구나 접속비용만 내고 인터넷을 자유롭게 쓸 수 있어야 한다고 답했고, 많은 접속을 유발하는 콘텐츠 제공자가 있더라도 접속 속도를 보장하는 것이 인터넷서비스제공사(ISP) 본연의 의무라고 답한 비율도 60.9%에 달했다. 다만 해외 콘텐츠 사업자들이 국내 콘텐츠 제공자들과 달리 인터넷서비스제공사들에 추가 비용을 내지 않는 것을 두고선 응답자 절반 이상(51.6%)이 '역차별이 맞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7∼22일 전국 만19∼59세 성인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7.8%,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