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따르면 미국은 IRA에 따라 처방약의 비용 절감을 위해 2026년부터 10개 의약품에 대한 제약사와의 가격 협상 등 국민건강보험과 관련해 640억달러의 예산을 투입한다. 의료 복지 확대 등을 위한 재원은 내년부터 연수익 10억달러 이상인 기업들에 최소 15%의 법인세를 부과하는 등 증세를 통해 마련할 계획이다.
2026년부터 미국 공공의료보험기관(CMS)은 메디케어 ‘파트D’에 해당하는 10개 의약품에 대한 가격협상 권한을 갖는다. 파트D에는 처방약이 속해 있다. CMS가 협상권을 갖는 의약품은 2029년까지 60개로 증가할 예정이다. 2028년엔 ‘파트B’도 가격 협상이 가능하다. 파트B는 진료와 그 외 다른 외래 환자 의료 서비스가 해당된다.
IRA 법안 시행으로 약가협상 대상에 포함되는 저분자 및 희귀질환 신약 등에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 이후 9년 이상 제네릭(복제약)이 출시되지 않은 저분자 신약, 13년 이상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가 출시되지 않은 바이오의약품이 가격 협상의 대상이 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가격 협상이 먼저 진행되는 저분자 신약의 개발이 줄어들 것이란 판단이다. 허혜민 연구원은 “다국적 제약사는 물질 도입 이후 임상 개발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는데, 상용화부터 약가 협상 시기까지 수지타산이 맞지 않으면 기술 도입을 망설일 수 있다”며 “저분자 신약보다 상대적으로 약가 협상까지의 시간이 조금 더 긴 바이오의약품을 선호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바이오의약품은 암에 매우 뛰어나지만 뇌혈관장벽(BBB)을 뚫기는 상대적으로 어렵다. 이에 뇌 질환 및 일부 암 치료의 혁신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허 연구원은 “뇌 질환에서 저분자 신약보다는 항체로 개발하려는 노력이 높아질 수 있고, 뇌혈관장벽을 통과하는 플랫폼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희귀질환 신약 개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단일 적응증의 희귀질환 치료제만 약가 협상에서 제외되면서다. 통상 기업들은 희귀질환 치료제로 승인받은 뒤 적응증을 확장하는 전략을 펼친다. IRA가 시행되면 희귀질환 치료제가 적응증을 확장하면 약가협상 대상에 포함된다.
허 연구원은 “이에 따라 희귀의약품으로 신속하게 가속승인을 받은 뒤, 적응증을 확장하려는 국내 기업들의 전략에도 수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반면 바이오시밀러에는 우호적인 환경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약가 협상에서 제외되기 위해 오리지널 개발사들이 제네릭 및 바이오시밀러 출현이 용이하도록 할 것”이라며 “특허 전략 수정 및 오리지널 제조사와 협상 등이 과거 대비 수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는 바이오시밀러 경쟁 심화로 이어질 수 있는데, 여기선 원가 경쟁력을 가진 업체가 승자가 될 것”이라며 “
그룹이 직접 판매에 나섰다는 점은 매우 긍정적이며, 성공적으로 안착하게 될 경우 더 커진 시밀러 시장에서 주도권 굳히기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허 연구원은 “IRA 법안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정책 변화에 맞춘 다국적 제약사들의 신약개발 전략 수정 등으로 관망세가 있었을 것”이라며 “다만 국내외 제약·바이오 업종 주가에는 IRA 영향보다는 금리 등 대외 변수 영향이 더욱 크게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바텍이 역대 최대 3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9일 증권가에선 계절적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주력 제품과 선진국 중심의 성장으로 호실적을 냈다고 평가했다. 4분기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란 분석이다. 바텍은 2022년 3분기에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 991억원, 영업이익 19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1%와 9.7% 증가한 수치다. 시장 예상치(컨센서스)인 매출 887억원, 영업이익 186억원에 부합했다.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3분기 실적에서 긍정적인 것은 비수기임에도 역대 최대 3분기 실적을 달성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별로는 선진시장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북미와 유럽에서 각각 235억원, 275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작년 3분기 대비 각각 15.3%와 33.1% 늘었다. 신흥국 시장으로의 침투도 원활하게 진행 중이다. 바텍은 올 3분기 남미와 중동 등에서 81억원과 48억원의 매출을 냈다. 전년 동기 대비 52.2%와 80.9% 증가했다.김충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북미와 유럽 등 선진시장을 중심으로 탄탄한 외형성장을 거듭하고, 베트남과 남미 등 성장성이 기대되는 신흥 국가에서 고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것도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정홍식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다만 중국은 봉쇄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4% 감소한 63억원의 저조한 매출을 보였다”며 “중국을 제외한 지역에서 고성장이 진행되고 있으며, 향후 중국의 봉쇄가 완화될 경우 기저효과가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제품별로는 수익성이 낮은 2차원(2D) 제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0% 감소하고, 수익성이 좋은 3차원(3D) 제품은 18.6% 증가했다. 정 연구원은 “바텍의 핵심 제품군인 3D가 올 3분기 421억원의 매출을 내면서 고성장했다”며 “3D 중에서 프리미엄 제품인 ‘그린X’의 판매 증가로 고가 제품군(라인업)을 확대했다”고 했다. 바텍은 제품군의 2D에서 3D 전환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는 수익성 개선에도 긍정적이란 분석이다. 4분기에도 안정적인 실적 성장이 예상된다. 유진투자증권은 바텍의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1094억원과 196억원으로 추정했다. 전년 동기 대비 14.2%와 33.1% 증가한 수치다. 박 연구원은 “매출 비중이 높은 북미와 유럽 모두 강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성수기에 진입했으며, 3D 신제품의 판매가 확대되고 있다”며 “또 중국에서 ‘그린 스마트’ ‘그린16’ 제품의 현지 생산체제 구축을 마치고 양산을 시작하는 등 본격적인 성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미래에셋증권은 바텍의 2022년 매출을 전년 대비 18% 증가한 4007억원, 영업이익은 14% 늘어난 750억원으로 추정했다. 김예나 기자 yena@hankyung.com
미국 중간선거를 하루 앞두고 투자자들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중간선거 이후 증시가 상승했다는 점에서 이번에도 비슷한 흐름이 반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다.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진행된 여덟 차례 중간선거에서 S&P500지수는 선거 이후 1년간 평균 13.3% 상승했다.현지 여론조사를 보면 상·하원 모두 공화당의 과반 의석 확보가 유력하다. 모건스탠리는 공화당이 승리하면 재정 지출이 동결되고 채권 발행이 줄어 미국 10년 만기 채권 금리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채권 금리가 내려갈 경우 국내 채권시장과 주식시장에도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현대차증권은 반도체·방산·조선·에너지·기계 등을 수혜 업종으로 꼽았다.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개정에 따른 자동차 관련주 수혜 가능성도 조심스레 제기된다. 공화당은 일부 전기차 소재와 부품은 외부에서 조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서형교 기자 seogyo@hankyung.com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을 활용해 내년 상반기에는 셀트리온과 공동 개발하는 항암제 후보물질을 도출하겠습니다.”정두영 피노바이오 대표(사진)는 최근 “셀트리온과 기술이전 계약을 맺으면서 ADC 플랫폼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ADC는 암세포를 잡는 약물(항체)을 표적으로 삼는 암세포의 특정 부위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목표 지점을 정확히 찾아가는 유도탄과 비슷하다. 최근 각광받는 항암제 기술이다.피노바이오는 지난달 셀트리온과 ADC 플랫폼 기술을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피노바이오는 셀트리온이 보유한 항체에 ADC를 붙여 고형암을 치료하는 항암 후보물질을 만들게 된다. 최대 15개 항체에 ADC를 적용할 계획이다.피노바이오는 이번 계약으로 셀트리온에서 선급금 10억원을 받는다. 향후 ADC 항암제 후보물질을 셀트리온에 넘겨줄 때마다 별도의 선급금과 단계별 기술료(마일스톤), 기술사용료(로열티)를 받는다. 건별 마일스톤 금액은 최대 9700만달러다. 총 계약 규모는 12억4000만달러(약 1조7000억원)가량이다. 정 대표는 “한 번에 최대 3개의 항체를 셀트리온에서 받아 ADC 후보물질을 발굴한 뒤 다시 넘겨주게 된다”고 말했다.피노바이오가 ADC 기술이전 계약을 맺은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 6월에는 미국 콘주게이트바이오에 기술이전을 했다. 정 대표는 “일본 다이이찌산쿄 등의 ADC 기술에 비해 효능은 더 뛰어나고 부작용은 줄였다”고 했다.피노바이오는 ADC 항암제도 직접 개발한다. 암세포에서 과다 발현되는 토포아이소머레이스-2(Trop-2)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후보물질 ‘PBX-001’은 전임상(동물실험) 단계다. 미국 바이오텍과 공동 개발 논의를 진행 중이다. Trop-2는 삼중음성유방암, 비소세포폐암, 방광암 등에 주로 발현된다.표적항암제 ‘NTX-301’도 개발 중이다. 미국에서 고형암 대상 1b·2a상, 혈액암 대상 1a상을 진행하고 있다. 정 대표는 “내년 하반기에는 혈액암 대상 2상에 진입할 계획”이라며 “올해 기술이전 성과도 기대된다”고 했다.피노바이오는 내년 상반기 코스닥시장 상장을 추진할 계획이다.김예나 기자 yen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