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수술·분자설계·핵융합도 '가상시뮬레이션'하는 시대
'버추얼트윈 세계 톱' 다소시스템 사업부 총괄대표 인터뷰
'실패 리스크' 큰 바이오·원전 분야서 응용…AI가 디자인 제안도
노후 항공기 재활용 프로젝트도…"맞춤형 경험 제공 기업이 승자"
'실패 리스크' 큰 바이오·원전 분야서 응용…AI가 디자인 제안도
노후 항공기 재활용 프로젝트도…"맞춤형 경험 제공 기업이 승자"

지앙 파올로 바씨 다쏘시스템 3D익스피리언스웍스 총괄대표(사진)는 2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불가능했던 시뮬레이션 영역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디지털 대전환(DX) 기술로 가능해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환자의 데이터를 충분히 받으면, 신약을 환자에 투여한 뒤 반응을 알아보는 임상시험도 시뮬레이션으로 가능하다"며 "신약 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하게 됐다"고 소개했다.
다쏘시스템은 3차원 설계와 시뮬레이션 분야 세계 1위 프랑스 기업으로 연매출 7조4000억원에 시가총액만 66조원에 달한다. 이 회사가 제공하고있는 3D익스피리언스 웍스의 핵심 애플리케이션은 반도체, 자동차, 항공기, 선박, 산업장비, 발전소, 도시 등 설계의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140개국 27만개 회사와 2500만명이 사용하고 있다.
디지털에서 '뛰는 심장' 똑같이 구현...신약 임상반응도 시뮬레이션 가능
이 회사는 가상의 공간에서 제품을 똑같이 구현하는 '디지털트윈'단계를 넘어, 충돌 테스트처럼 각종 동작과 물성 변화까지 현실처럼 구현해낸 '버추얼트윈'기술의 선두주자다. 산업계의 연구 개발(R&D), 디자인, 제조, 마케팅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이 기술은 실험시 위험과 비용이 따르는 바이오 분야나 원자력 발전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편이다.그는 "다쏘시스템은 세계 최초로 실제 심장과 똑같이 뛰는 심장을 디지털 공간에서 구현해내 의대생들이 가상으로 수술해볼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또 인체에 가장 적합한 의료보형물과 합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활용되고 있다. 실제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 티니코의 경우 척추 기형 환자들을 위한 보형물을 만들기위해 생체 의료용 합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이 회사의 기술을 활용했다. 또 물질의 원자 단위 이하의 물리 화학적 성질도 데이터화했기 때문에 핵융합 기술이나 새로운 원전 기술, 양자컴퓨터와 반도체 신소재 개발에도 활용되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경제의 서비스化 가속, 새로운 경험 제공하는 기업이 승자될 것"
독보적인 기술 덕분에 글로벌 굴지의 기업들도 이 회사 기술을 통한 제조 혁신에 나서고 있다. 포드, 혼다, 닛산, 아우디, 테슬라 등 자동차업계뿐만 아니라 에어버스, 스페이스X 등 우주항공기업과 GE,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나이키 등 굴지의 대기업이 주요 고객사인 이유다. 국내에선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 등이 이 회사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국내 대표 사무용 복합기업체인 신도리코 역시 3D프린터 제품 개발에 이 회사 기술을 적용했다.그는 "고객사의 제조 혁신이 용이하도록 3D익스피리언스 웍스내 디자인, 시뮬레이션, 제조, 데이터관리, 마케팅 등을 클라우드내 단일 플랫폼으로 통합했다"고 소개했다. 또 DX시대에 발빠른 대응을 위해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내에 응용프로그램 공유 플랫폼(마켓플레이스)을 개설해 신규 비즈니스모델 창출이 가능한 생태계를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안대규 기자 powerzanic@hankyung.com
#다쏘시스템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SK
#버추얼트윈
#3D익스피리언스웍스
#양자컴퓨터
#티니코
#신도리코
#테슬라
#아우디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GE
#스페이스X
#에어버스
#닛산
#혼다
#포드
#DX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