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식품의약국(FDA)은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 루게릭병) 신약으로 아밀릭스 파마슈티컬스의 ‘릴리브리오’(성분명 페닐부티르산나트륨·타우루르소디올)를 승인했다고 29일(현지시간) 밝혔다.

루게릭병 치료제의 FDA 승인은 일본 미쓰비시다나베제약의 에다라본이 2017년 허가받은 후 5년 만이다.

릴리브리오는 세포 속 소기관인 소포체와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를 완화해 신경세포 사멸을 막는 기전의 먹는(경구용) 약이다. 1포의 약을 실온의 물에 타서 간식이나 식사 전에 복용한다. 첫 3주간은 하루 1포씩 먹다가 3주 후에는 하루 2회 1포로 복용량을 늘린다.

릴리브리오는 ‘알브리오자’라는 제품명으로 지난 6월 캐나다 보건부로부터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 미국에서의 품목허가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아밀릭스는 작년 11월 임상 2상 결과를 근거로 FDA에 조건부 허가를 신청했다. 하지만 지난 3월 FDA 산하 말초및중추신경계약물 자문위원회(PCNSDAC) 회의에서 위원 중 10명 중 6명이 품목허가에 반대했다. 제출된 데이터가 약물의 효능을 입증하기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자문위 회의 이후 FDA는 처방의약품신청자비용부담법(PDUFA)에 따른 승인검토 기한을 기존 올 6월 29일에서 9월 29일로 연기했다.

아밀릭스는 첫 자문위 회의 이후 릴리브리오가 위약 대비 루게릭병 환자들의 수명을 10개월 가까이 연장할 수 있다는 새로운 분석 결과를 제출했다. 그러나 자문위 2차 회의에 앞서 공개된 FDA 문서도 승인에 부정적이었다. 독립성이 지적된 기존 2상 자료를 기반으로 한 분석인 만큼 같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2차 회의에서는 반전이 일어났다. PCNSDAC는 릴리브리오의 승인을 권고했다. 업계에서는 릴리브리오의 안전성 우려가 크지 않고 ALS치료제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크다는 점 등을 자문위가 고려한 것으로 해석했다. 기존 FDA에서 승인된 루게릭병 치료제는 사노피의 리루졸과 에다라본 둘 뿐이다.

FDA는 PCNSDAC의 권고를 받아들여 릴리브리오의 승인을 결정했다.

빌리 던 FDA 신경과학약물평가및연구센터 국장은 “이번 승인은 치료법이 없고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인 ALS에 대한 또 다른 치료 대안을 제공한다”며 “FDA는 추가적인 ALS 치료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아스템·헬릭스미스, ALS 임상 중

ALS는 수의근을 조절하는 신경세포를 사멸시키는 퇴행성 질환이다. 수의근은 씹기, 걷기, 호흡하기, 말하기 등을 제어하는 근육이다. ALS 환자는 근력이 약화되고 전신에 마비 증상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증상이 처음 나타난 후 3~5년 이내에 호흡 부전으로 사망한다. 미국에서 매년 약 5000명이 ALS를 진단받는다. 약 2만명의 미국인 환자가 있다.

국내 기업들도 루게릭병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코아스템은 골수 유래 중간엽줄기세포 치료제의 임상 3상을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 중이다. 연말 혹은 내년 1분기 내로 환자 등록 완료한다는 목표다.

헬릭스미스의 ‘엔젠시스’는 두 종류의 간세포성장인자(HGF)를 발현하도록 설계된 플라스미드DNA 기반의 유전자 치료제다. 근육세포의 퇴행 속도를 늦출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 2a상까지의 결과에서 안전성을 확인했다.

지뉴브는 손상된 신경세포의 자가포식(autophagy) 활성을 높이는 ‘SNR1611’로 국내 1·2a상을 진행 중이다. 총 30명 중 마지막 환자군 10명에 대한 임상이 진행되고 있다.

지엔티파마는 ‘크리스데살라진’의 2상을 준비 중이다. 염증과 활성산소를 제거하도록 고안한 다중표적 약물이다. 올리패스는 운동신경세포의 STMN2 단백질을 정상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리보핵산(RNA)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있다. 90% 이상의 루게릭병 환자에게서 STMN2 단백질의 감소가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박인혁 기자 hyu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