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한국 서비스를 잠정 중단한 라임의 공유 킥보드가 거리에 세워져 있다.  한경DB
지난 6월 한국 서비스를 잠정 중단한 라임의 공유 킥보드가 거리에 세워져 있다. 한경DB
공유 킥보드 회사들이 인수합병(M&A)과 사업 전환에 적극 나서고 있다. 법 규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자 돌파구를 찾고 있다는 분석이다.

공유 킥보드 서비스 지쿠터를 운영하는 지바이크는 GUGU킥보드 사업을 인수한다고 15일 밝혔다. GUGU킥보드는 경기 성남시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킥보드 서비스로, 지난해 5월 전동 킥보드 규제가 강화되면서 사업 확장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지바이크는 지난달 현대자동차의 공유형 퍼스널모빌리티(PM) 사업인 ZET 서비스를 사들이기도 했다.

국내 규제가 강화되면서 공유 킥보드 시장이 재편되는 모습이다. 지난해 5월 개정된 도로교통법에 따르면 전동 킥보드 이용자는 면허를 취득하고 헬멧을 착용해야 한다. 인도 운행도 금지됐다. 자전거도로가 없을 땐 차도로 다녀야 한다. 규제 시행 이후 공유 킥보드 이용자는 50%가량 급감했다. 킥보드 사고가 언론에 크게 보도되면서 여론이 악화된 것도 업체들엔 부담이다.

지난 6월 미국에 본사를 둔 라임은 한국 서비스를 잠정 중단했다. 지난해 10월엔 독일 윈드가 한국 사업 철수를 공식 발표했고, 12월엔 싱가포르 기업 뉴런모빌리티가 한국 서비스를 중단했다. 공유 킥보드 스타트업인 스윙의 김형산 대표는 “규제가 강화되다 보니 이익을 못 내는 한계기업은 버티기 힘든 상황”이라며 “일종의 옥석 가리기가 진행 중이라고 본다”고 했다.

사업 전환을 추진하는 곳도 있다. 2019년 공유 킥보드 서비스를 시작한 디어는 화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신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지난 3일 밝혔다. 킥보드 서비스로 쌓은 SaaS 노하우를 활용해 미들마일(중간물류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것이다. 디어는 최근 신설한 화물솔루션사업부 주도로 업무 자동화 도구인 캐리를 올해 말 출시할 예정이다.

한국에서 가장 먼저 공유 킥보드 서비스를 시작한 킥고잉은 지난달 전기자전거 서비스를 출시했다. 앱을 통해 킥보드와 자전거를 구분 없이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전기자전거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삼천리자전거에서 40억원을 투자받았다.

규제가 덜한 국가로 진출한 사례도 있다. 스윙은 지난달 일본 도쿄에 진출했다. 이달 말까지 도쿄에서 공유 킥보드 1500대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