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이 신경과 시냅스에 손상을 주는 염증 부작용을 피해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하는 플랫폼 기술을 개발했다.김찬혁 KAIST 부교수와 정원석 KAIST 부교수팀은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으로 꼽히는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신경독성을 일으키는 염증 부작용은 최소화하는 융합단백질체(항Aβ-Gas6)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메디슨’ 4일자에 실렸다. 김 교수와 정교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를 개발하는 국내 신약벤처 일리미스테라퓨틱스의 공동창업자이기도 하다.미국 바이오젠의 아두헬름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첫 승인을 받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이지만 의료현장에서 널리 쓰이지 못하고 있다. 효능과 부작용 모두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FDA가 이 약을 승인하는 데 근거가 된 임상시험(ENGAGE)에서도 아밀로이드베타 단백질이 모인 아밀로이드 플라크는 효과적으로 제거가 잘 됐지만 정작 1차 평가변수였던 인지행동은 개선되지 않았다. 부작용 문제도 컸다. ‘아밀로이드베타 관련 영상이상(aria)’라 부르는 염증과 출혈 및 부종 문제로 최소 4명의 투약 환자가 사망했다.연구팀은 아두헬름이 아밀로이드 플라크는 효과적으로 제거했음에도 알츠하이머 환자의 인지능력을 개선하지 못한 원인을 식세포과정에서 생기는 염증에서 찾았다. 아두헬름 같은 항체치료제가 몸 속에 투여될 때 생기는 현상이다. 아두헬름은 뇌 속 대식세포라 할 수 있는 미세아교세포(microglia)를 이용해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제거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한 염증반응 때문에 신경세포와 시냅스의 손상이 일어난다는 것이다.&nb
“왜 근육에는 암이 없을까?”국내 연구진이 이 질문에 대한 해답에 접근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주목받고 있다. 영남대학교 체육학부 지현석 교수(사진)가 발표한 고강도 유산소 운동의 암세포 증식 억제에 관한 연구다. 이 연구는 최대 심박수의 90%에 달하는 고강도 유산소 운동이 어떻게 대장암세포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지에 대한 것이다.연구팀은 동물실험 중 ▲운동을 하지 않은 건강한 군(그룹) ▲고강도 유산소 운동을 한 건강한 군 ▲운동을 하지 않은 암 걸린 군 ▲고강도 유산소 운동을 한 암 걸린 군 등 총 4개의 그룹을 관찰했으며, 이 가운데 고강도 유산소 운동을 한 그룹은 이틀에 한 번 꼴로 운동을 진행했다.연구팀은 이 네 그룹의 근육 유전자 발현상태를 분석해 고강도 유산소 운동에 의해 조절되는 골격근에서 유래하는 4개의 암 억제 인자를 찾아냈다. 이 암 억제 인자의 발현조절을 통해 대장암세포의 증식을 20%까지 억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 확인했다.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초기 연구 디자인 단계에서 유산소운동을 통해 체력을 키워놓은 상태의 마우스(생쥐) 암모델을 만들고 실험을 수행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운동의 생활화’에 대한 효과 검증을 위해서다.지현석 교수는 “심근으로 이루어진 심장에 암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근육에는 암이 없다’라는 호기심이 연구의 출발이었다. 근육에 암을 억제하는 ‘무엇인가가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골격근 본연의 기능인 운동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시작했다”며 “이번 연구 결과로 운동의 생활화, 최적 운동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는 계기가
한미약품이 국내 처방의약품 시장에서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해외에서 약을 도입하는 것 대신 국산 개량신약 개발에 집중해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다.한미약품은 지난해 처방의약품 매출이 7420억원으로, 2018년 이후 4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고 9일 발표했다. 국내 제약사의 처방의약품 매출이 7000억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한미약품의 처방의약품 시장 확대를 이끈 것은 고지혈증 치료용 복합신약 로수젯이다. 2020년 처방 매출 1049억원이었던 로수젯은 지난해 1232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17.4% 성장한 것으로, 국내 제약사가 자체 개발한 의약품 중 가장 큰 처방 매출 금액이다.이런 성장세에 힘입어 매출 100억원을 넘는 블록버스터 의약품도 2020년 13개에서 지난해 16개로 늘었다. 과민성방광 치료제 ‘미라벡’, 혈액순환개선제 ‘한미오메가’, 고중성지방혈증치료제 ‘페노시드’ 등이 새롭게 한미약품의 블록버스터 제품군에 이름을 올렸다. 이들은 모두 한미약품이 자체 개발한 약이다.비아그라 등 발기부전 치료제의 특허가 만료된 뒤 비급여 의약품 시장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지난해 발기부전치료제 팔팔은 442억원, 발기부전 및 전립선비대증치료제 구구는 194억원 매출을 기록했다. 이들 비급여 의약품을 포함하면 한미약품의 블록버스터 의약품은 18개로 늘어난다.한미약품은 2000년 국내 첫 번째 개량신약인 고혈압치료제 ‘아모디핀’을 출시했다. 2009년엔 국내 제약사 처음으로 복합신약 ‘아모잘탄’을 선보였다. 이들은 한국 의약품 시장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용량 등을 바꾼 개량신약이지만 혁신 신약 개발의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