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대해 올 2분기에 시장 예상치(컨센서스)를 밑도는 매출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3만5000원을 유지했다.
에스티팜의 2022년 2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은 410억원, 영업이익은 11억원으로 추정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6% 늘고 영업이익은 76.8% 감소할 것이란 예상이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컨센서스를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생산 설비 부족으로,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일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위탁개발생산(CDMO) 매출이 이연되면서다. 다만 해외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의 실적 개선으로 영업이익률은 2.8%로, 올 1분기 대비 확대될 것으로 추정했다.
올리고 생산시설 증설 효과는 하반기부터 반영될 것으로 기대했다. 에스티팜은 3분기부터 증설을 마친 반월공장의 1차 시설에서 올리고 본생산을 시작한다. 또 글로벌 제약사와 합작 계약한 2차 증설을 마치고, 연말부터 관련 매출이 반영될 것으로 전망했다.
해외 CRO 사업부의 실적 개선도 기대했다. 올리고동 증설 효과와 함께 고지혈증 치료제의 상업화 매출도 본격화될 것이란 판단이다. 지질나노입자(LNP)의 핵심 원료인 지질 매출 확대도 예상했다.
이지수 연구원은 “후보물질의 임상 단계 진전과 올리고 생산능력 확대에 따른 신규 수주 계약으로 추가적인 실적 상향도 가능하다”며 “다만 코로나19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에이즈 치료제 등 신약 후보물질 관련 연구개발(R&D) 비용 증가와 공장 증설에 따른 인건비 및 감가상각비 증가로 이익 성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하나금융투자는 5일 한미약품이 올 2분기에 시장 예상치(컨센서스)를 웃도는 실적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36만원으로 올렸다. 한미약품의 2022년 2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073억원과 252억원으로 추정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0%와 58.7% 증가한 수치다. 컨센서스인 매출 3026억원, 영업이익 233억원을 넘어설 것이란 예상이다.자회사 북경한미의 성장이 2분기 실적을 이끌 것으로 봤다. 북경한미는 2분기에 우호적인 환율 효과와 기존 제품의 성장으로, 비수기임에도 전년 동기 대비 22.8% 증가한 731억원의 매출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한미약품의 개별 매출은 23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핵심 품목인 ‘로수젯’ ‘아모잘탄 패밀리’의 탄탄한 실적과 일부 호흡기 제품의 매출이 성장할 것이란 분석이다. 2022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0% 증가한 1조2870억원, 영업이익은 14.1% 늘어난 1431억원으로 전망했다. 하반기부터는 주요 후보물질의 성과도 가시화된다는 설명이다. ‘롤론티스’와 ‘포지오티닙’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전문의약품허가신청자비용부담법(PDUFA)에 따른 승인심사 기한은 각각 오는 9월 9일과 11월 24일이다. 4분기에 승인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미국 머크(MSD)에 기술이전한 ‘듀얼 아고니스트’는 작년 8월부터 임상 2a상을 진행하고 있다. 연말 임상을 마칠 예정이다. 박재경 연구원은 “실적 추정치를 상향 조정하며 영업가치를 기존의 3조6120억원에서 3조7190억으로 높여, 목표주가를 소폭 올렸다”고 설명했다.그는 “올 4분기 롤론티스와 포지오티닙의 승인이 결정되면 내년부터 매출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러나 개발 초기와 경쟁 상황이 달라져, 신약 승인 이후 매출에 따른 주가 흐름이 나타날 것”이라고 했다. 김예나 기자 yena@hankyung.com
중국에서 큰 인기를 누리는 셀피앱 개발회사인 메이투가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가상화폐) 투자로 상반기에 거액의 평가손실을 봤다고 밝혔다.4일 외신에 따르면 메이투는 상반기 손실이 2억7490만~3억4990만위안(약 670억원)으로 추정된다고 지난 3일 공시했다. 지난해 상반기 손실액(1억3770만위안)의 3배에 가까운 규모다. 이날 홍콩증시에서 메이투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10.58% 하락 마감했다. 메이투 주가는 최근 1년 동안 90% 이상 떨어졌다. 메이투가 거액의 손실을 내게 된 이유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투자에 있다. 메이투는 지난해 3월 홍콩증시 상장사 중 최초로 비트코인 등을 보유한 회사가 됐다. 당시 회사는 암호화폐를 금, 보석, 부동산보다 나은 가치저장소라고 말했다. 메이투는 1억달러를 투자해 이더리움 3만1000개, 비트코인 940.89개를 사들였다. 그러나 최근 암호화폐 가격이 급락하면서 메이투가 보유한 이더리움과 비트코인의 가치는 ‘반토막’났다. 메이투는 상반기 추정 손실의 대부분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평가손실이라고 설명했다. 메이투의 암호화폐 평가손실은 4560만미국달러(약 590억원)로 추정된다. 메이투는 사진 보정 등의 기능을 갖춘 카메라 앱 뷰티캠을 개발한 회사다. 그러나 최근 바이트댄스, 샤오미 등과의 경쟁이 심화하면서 지난해 월간 활성 이용자 수는 전년보다 12% 줄어드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메이투는 다음달 중 상반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CFRA는 건강 관리 부문이 3분기 뉴욕 증시에서 가장 안전하고 수익이 기대되는 투자 영역이라고 주장했다. 4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CFRA는 안정적 수익과 배당 수준에서 가장 유력한 투자 대상이 헬스 케어 부문이며 전통적으로 미국 중간선거가 있는 해의 3분기에 가장 주가가 오른 부문이기도 했다고 밝혔다. CFRA 데이터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중간선거가 있던 해에 S&P500 이 평균 1.8% 하락하는 동안 건강 관리 섹터는 평균 4.4% 상승했다. 여기에는 화이자(티커:PFE) 애브비(티커:ABBVIE) 월그린부츠(티커:WBA) 암젠(티커:AMGN) 등 제약 및 생명공학회사, 의료유통업체, 의료시설업체 등이 포함된다. 올해 상반기에 S&P 건강 관리 부문은 9% 하락에 그쳐 21% 떨어진 S&P 500을 능가했다. 2분기에 S&P 의료 부문을 대표하는 헬스케어 셀렉트 섹터 SPDR펀드는 6.4% 하락했다. CFRA 데이터에 따르면 S&P 하위 섹터 중 가장 실적이 좋은 것은 담배 업종으로 3분기에 6.4% 올랐다. 담배 업종을 제외하고 수익률이 좋은 업종은 대부분 의료 업종으로 집계됐다. 의료 시설 업종이 평균 6% 상승하고 의약품이 5.1% 상승하며 건강 관리 장비는 2.1%, 의료 유통업체가 2%, 의료 소모품 업종이 1.8%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CFRA는 건강관리 업종 이외에 추가로 두 분야는 잉여현금흐름이 우수하지만, 투자자들이 공매도하고 있어 사랑받지 못하는 은행주와 수익성 좋은 기업들이라고 밝혔다.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