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포스트 양윤선의 '승부수'…CDMO 진출
‘1세대 바이오벤처’ 메디포스트가 설립 22년 만에 가장 큰 변화를 단행한다. 사모펀드(PEF)에서 1400억원을 끌어와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에 진출한다. 이 과정에서 창업자인 양윤선 대표는 최대주주에서 내려온다. 업계에선 ‘양 대표가 승부수를 던졌다’는 얘기가 나온다.

최대주주 내놓는 창업자

양 대표는 최근 인터뷰에서 “글로벌 사업이 본격화하는 중대한 변화의 시점에 서 있다”며 “변곡점에 조직이 변하지 않을 수 없고, 창업자인 나도 예외가 아니다”고 밝혔다. 최대주주 자리를 내놓는 데 대해선 “감수하는 게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했다.

지난 3월 메디포스트는 스카이레이크PE, 크레센도PE와 경영권 양수도 계약을 맺었다. 거래가 최종 마무리되면 6.2%인 양 대표 지분율은 3%대로 떨어지고 PE 컨소시엄이 지분율 21%로 최대주주에 오른다. 대개 짧은 기간에 수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사모펀드가 호흡이 긴 신약 연구개발(R&D) 바이오벤처의 최대주주가 되는 건 흔치 않은 일이다.

회사 내부에서도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다. 하지만 양 대표는 “하고 싶은 걸 하는 게 아니라 해야 하는 걸 하는 게 상장사 최고경영자(CEO)의 의무”라고 설득했다.

메디포스트는 2012년 세계에서 처음으로 제대혈에서 뽑아낸 줄기세포로 무릎 골관절염을 치료하는 카티스템을 출시했다. 제대혈은 출산 후 탯줄에서 나온 혈액이다.

출시 첫해 7억원이던 카티스템 매출은 지난해 172억원으로 급증했다. 지난해 제대혈은행 사업에서는 25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카티스템 매출이 한 해도 거르지 않고 꾸준히 늘었지만, 이렇다 할 후속작은 없었다. 한때 1조원을 훌쩍 넘던 시가총액은 현재 4000억원대로 내려앉았다.

CDMO 승부수…글로벌 임상도 가속

양 대표가 ‘대규모 투자 유치’라는 승부수를 띄운 건 두 가지 이유에서다. 지금이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사업에 진출할 적기라는 판단 때문이다. 메디포스트는 지난 5월 말 캐나다 CDMO 업체인 옴니아바이오를 886억원에 인수했다. 그는 “우리는 세포치료제 카티스템을 개발해 상업화까지 성공했한 경험이 있다”며 “이는 다른 CDMO 업체에는 없는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메디포스트는 옴니아바이오의 생산설비 규모를 현재 2800㎡에서 2025년 1만700㎡로 네 배 가까이로 증설할 계획이다. 양 대표는 “옴니아바이오는 다수의 미국 유럽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다”며 “옴니아바이오의 사업을 아시아 지역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카티스템과 차세대 주사형 골관절염 치료제(SMUP-IA-01)의 글로벌 임상에도 속도를 낸다는 구상이다. 승부수를 던진 두 번째 이유다. 카티스템은 미국에서 임상 1·2a상을 마친 상태다. 내년 임상 3상 진입을 위해 준비하고 있다. SMUP-IA-01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상을 건너뛰고 곧바로 2상에 들어가도 된다는 의견을 받았다.

양 대표는 “카티스템과 SMUP-IA-01 등의 글로벌 임상에 쓸 시약을 옴니아바이오에서 생산해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로 사업을 다각화할 뿐 아니라 자체 개발 중인 후보물질의 글로벌 임상 효율성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美 법인 역할 확대…R&D도 현지에서

미국법인 메디포스트아메리카의 기능도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 여태까지는 현지 임상 관리 기능에 그쳤는데, 앞으로는 R&D와 사업 개발까지 맡는다. 양 대표는 “카티스템은 물론 주사형 줄기세포치료제의 치료 분야(적응증) 확장을 위한 R&D 및 사업 개발을 미국법인이 맡을 것”이라고 했다.

한재영 기자 jy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