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T 대표(왼쪽)와 조벤 비버트 조비에비에이션CEO가 지난 2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리나에 위치한 조비에비에이션 생산시설에서 UAM 기체에 함께 탑승했다./사진=SKT
유영상 SKT 대표(왼쪽)와 조벤 비버트 조비에비에이션CEO가 지난 2월 미국 캘리포니아주 마리나에 위치한 조비에비에이션 생산시설에서 UAM 기체에 함께 탑승했다./사진=SKT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UAM(도심항공교통)과 관련해 강한 사업화 의지를 내비쳤다.

유 대표는 2일 SK텔레콤 뉴스룸에 "UAM은 막대한 교통 관련 사회적 비용을 해결할 게임 체인저”라며 “빠른 속도로 UAM 상용화를 완수해 고객에게는 혁신 서비스를, 주주에게는 무한한 성장가치를, 사회에는 쾌적한 교통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우리나라는 사회 인프라와 인구가 수도권에 집중돼 명목 GDP 대비 교통혼잡비용이 3.5% 수준으로 0.2%인 독일의 18배, 0.9%인 미국의 4배에 달한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68조원의 사회적 비용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UAM은 활주로 없이 수직으로 이·착륙할 수 있는 비행체를 이용한 도심 내 항공 이동 서비스다. 흔히 ‘하늘을 나는 자동차’(플라잉카)로 불린다. 전기로 구동돼 운용 시 탄소가 발생하지 않으며, 한국처럼 수도권에 사회 인프라와 인구가 집중돼 있는 지역의 교통 체증과 환경 오염을 해결할 첨단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유 대표는 “UAM은 2030년에나 실현 가능한 기술로 여겨져 왔지만 세계적 혁신 기업들은 그 시기를 앞당기고 있다"며 "2025년 한국 상공에 (UAM) 상용화를 선도하고, 2030년 완전 자율 비행서비스가 가능토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SKT는 UAM 상용화를 위해 하늘로도 연결되는 이동통신, 자율주행, 정밀 측위, 보안, 인공지능(AI) 등 기반 기술 개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또 반도체, 배터리 등 SK그룹 관계사의 역량과 UAM 기체 제작 1위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등과 초협력 체계를 구축해 상용화 준비에 힘 쏟고 있다.

유 대표는 “새로운 SK텔레콤이 추구할 10년 후 미래사업은 아직 어떤 기업도 선점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와 세상을 바꿀 잠재력을 가져야 한다”며 “여기에 우리가 겪는 사회 문제까지 해결하면 금상첨화로, UAM은 이 기준에 부합하는 신사업”이라고 설명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