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가기간 행정망을 기존 유선망에서 5세대(5G) 이동통신 기반 무선 인프라로 전환하는 ‘5G 정부망(국가망) 구축사업’이 본격화된다. 본사업 규모만 수천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통신 3사는 국내 통신장비업체 등과 컨소시엄을 꾸려 본사업에 앞서 진행되는 선도사업 수주에 나선다.

30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최근 ‘2022년 5G 정부망 구축 선도사업’의 사업자 공모에 착수했다. 구축대상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특허청과 외교부·인사혁신처 등 두 개의 그룹이다. 각각 예산(5G정부망 구축비+2027년까지 발생하는 통신비)으로 93억1500만원, 88억8100만원이 배정됐다.

선도사업은 행안부가 2025년까지 4개 정부종합청사 및 17개 광역시도에 5G 정부망을 구축하는 본사업에 앞서 진행되는 '전초전'의 성격을 갖는다. 행안부는 다음달까지 선도사업자 공모를 받은 뒤 그룹별로 각 한 곳의 통신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두 곳의 통신사가 사업을 하나씩 수주할 수도 있지만, 두 사업을 한 통신사가 전담하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무선망으로 구축되는 5G 정부망이 깔리면 공무원도 ‘원격 근무’가 가능해진다. 노트북, 스마트패드 등의 개인 5G 모뎀으로 접속할 수 있어 출장 중이나 재택 근무시에도 안전하게 업무를 볼 수 있게 된다는 설명이다. 선도사업을 통해 5G 정부망을 사용할 수 있는 공무원은 외교부 900명, 과기정통부 800명, 특허청 720명, 인사처 510명 등이다. 디지털 뉴딜의 핵심 사업 중 하나인 5G 국가망 구축은 앞서 진행된 실증사업을 통해 도입 가능성을 검증했다.

행안부는 공모에 입찰하는 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등을 적용한 전용망 구축, LTE를 제외하고 5G만을 사용하는 5G 단독모드(SA) 지원 등을 다방면으로 평가해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전용망은 상용망과 별도로 분리돼 있어 보안에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주파수 대역은 현재 쓰는 3.5㎓(기가헤르츠) 주파수 대역을 기본으로 하되 정부부처 내 일부지역에선 초고주파수 대역인 28㎓ 대역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행안부는 5G 정부망 선도사업이 끝난 뒤 본사업에 착수한다. 본사업 규모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선 2000억~3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보화전략계획(ISP)에서 수립된 5G 정부망 사업에 따르면 3322억원으로 책정됐다.

통신 3사는 모뎀, 라우터, 모듈, 스몰셀(소형기지국) 등을 생산하는 국내 통신장비업체 등과 컨소시엄을 꾸려 선도사업에 입찰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선도사업 선정이 추후 본사업 수주로까지 이어지는 계기가 될 수도 있는 만큼 차질없이 사업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