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웅 패스트트랙아시아 대표 인터뷰

박지웅 패스트트랙아시아 대표
박지웅 패스트트랙아시아 대표는 최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망설임 없이 답했다. 박 대표는 스톤브릿지캐피탈에서 심사역으로 일하다 2012년 신현성 차이코퍼레이션 대표, 노정석 비팩토리 대표와 의기투합해 패스트트랙아시아를 세웠다. 박 대표는 "만약 더 늦은 나이에 나왔다면 이렇게까지 열심히 일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창업은 다른 여러 목표나 목적을 떼어놓고 보더라도 아주 흥미로운 인생 경험"이라고 했다.
8000억 가치 만든 컴퍼니빌더, '또라이' 찾는 까닭
박 대표가 성장을 함께할 창업팀을 공개적으로 찾아 나섰다. 패스트벤처스의 배치(batch) 기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인 'FV START'를 통해서다. 박 대표는 "선발팀엔 파격적인 조건으로 돈, 공간, 사람을 제공한다"고 했다. 공유오피스인 패스트파이브의 사무공간을 제공하고, 경력직 개발자 기획자 등 인력을 연결한다. 창업팀이 필요로 하는 요소들을 적극 지원해 동반 성장하겠다는 전략이다. 박 대표도 직접 붙어 팀의 성장을 돕기 위한 모든 미팅과 활동을 진행한다.패스트트랙아시아는 사업 아이디어를 발굴한 뒤 회사를 직접 만들고 운영하는 '컴퍼니빌더'로, 벤처투자사인 패스트벤처스를 비롯해 공유오피스 업체인 패스트파이브, 성인교육기업 데이원컴퍼니 등을 자회사로 두고 있다. 박 대표가 창업 후 10년 동안 만들어낸 회사만 11개, 기업가치를 다 합치면 8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8000억 기업 만든 박지웅 "거인과 맞짱 뜰 '또라이' 찾아요" [인터뷰]](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01.29960882.1.jpg)
대표적인 예로는 배달의민족을 꼽았다. 박 대표는 "배민 창업자는 처음 만났을 때부터 본인만의 주관이 뚜렷했고 특이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과거 배민과 블루홀(크래프톤), 티몬 등에 발 빠르게 투자했다.
아이템으론 '명백하게 큰 시장'을 노리는 것을 선호한다고 했다. 박 대표는 "정면 승부로 경쟁하는 걸 좋아한다. 소비 지출이 명백하게 큰 시장이 있는데, 자투리 시장을 목표로 하는 건 매력이 없다. 이미 큰 기업이 있어서 못 들어가겠다고들 하지만, 큰 기업도 다 약점이 있다. 그 약점을 후벼파서 거인과 그냥 맞짱을 뜨겠다고 도전하는 팀, 그런 큰 플레이어들을 쓰러뜨릴 만한 전략을 가진 팀을 높이 평가한다"고 했다. 대학생 창업팀의 경우 대학 내 서비스나 과외나 소개팅 같은 작은 아이템을 택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보다는 세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과감한 도전을 원한다는 얘기다.
"당장 아이템 없어도…만들어줄게"
박 대표는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이유에 대해 "세상에 알려져 있지 않은 팀을 만나기 위해서"라고 했다. 그는 "시장 평균보다 큰 투자 수익을 내려면 초기 단계에 들어가야 한다. 심사역들이 발품만 팔아서는 해결이 안 되는 영역이다. 예컨대 오늘 저녁에도 카이스트 컴공과 대학생 셋이 모여서 밥을 먹으며 창업하자고 결심할 수도 있다. 공개되지 않는 정보기 때문에 이런 팀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찾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종 선발 규모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오는 30일 최종 선발팀이 결정되고, 다음달 초부터 3개월간 START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 패스트벤처스는 선발팀에 조건부지분인수계약(SAFE) 방식을 적용해 가치 상한 없이 30% 할인율만 적용되는 방식으로 투자를 진행한다. 스타트업은 1억원을 이 조건으로 투자받고, 프로그램이 끝난 뒤 추가로 2억원을 같은 조건으로 투자받을 수 있다.
![8000억 기업 만든 박지웅 "거인과 맞짱 뜰 '또라이' 찾아요" [인터뷰]](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01.29960786.1.jpg)
![8000억 기업 만든 박지웅 "거인과 맞짱 뜰 '또라이' 찾아요" [인터뷰]](https://img.hankyung.com/photo/202205/01.29960809.1.jpg)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