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륨경쟁적위산분비차단제(P-CAB)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국내외 P-CAB 개발사들이 조만간 미국에 모여 격전을 치를 것으로도 예상된다. 먼저 일본 다케다제약이 설립한 미국 팬텀 파마슈티컬스가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판매 허가에 성공하며 불을 지폈다.

팬텀은 지난 3일(현지시간) ‘보노프라잔’ 기반 두 가지 제품이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판매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승인 품목은 보노프라잔 삼중요법인 ‘보퀘즈나 트리플 팍(VOQUEZNA TRIPLE PAK)’과 이중요법인 ‘보퀘즈나 듀얼 팍(VOQUEZNA DUAL PAK)’이다. 팬텀은 이번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제를 올 3분기에 출시할 계획이다.

팬텀은 다케다제약이 2019년 벤처캐피탈 프레이저 헬스케어 파트너스와 설립한 위장질환 치료제 전문 기업이다. 보퀘즈나 트리플 팍은 P-CAB 성분의 보노프라잔과 함께 두 개의 항생제 성분(아목시실린·클라리스로마이신)이 포함돼 있다. 보퀘즈나 듀얼 팍에는 보노프라잔과 함께 아목시실린이 들어 있다.

회사는 지난해 9월 이들에 대해 FDA에 신약허가(NDA)를 신청했다. 환자 104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미국 임상 3상(PHALCON-HP) 자료를 제출했다. 양성자펌프억제제(PPI)인 ‘란소프라졸’ 삼중요법(란소프라졸·아목시실린·클라리스로마이신) 대비 보노프라잔 삼중요법 및 이중요법의 헬리코박터 제균율을 비교했다. 시험 결과 모든 환자에서 란소프라졸 삼중요법 대비 우수한 제균율을 확인했다.

보노프라잔 삼중요법의 제균율은 80.8%로 란소프라졸 68.5% 대비 높았다. 클라리스로마이신 내성 균주가 있는 환자에서는 보노프라잔이 65.8%, 란소프라졸이 31.9%로 확인됐다. 보노프라잔 이중요법에서도 전체 환자에서는 77.2%(란소프라졸 68.5%), 클라리스로마이신 내성 환자에게서는 69.6%(란소프라졸 31.9%)로 헬리코박터 제균율이 나왔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장 점막에 사는 0.4~1.2㎛(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나선 모양 균이다. 위 점막의 점액층에 붙어서 위세포를 망가뜨려 소화성 궤양과 위암, 만성 위염, 점막 관련 림프조직 림프종 등의 질환을 유발한다. 현재 미국 내 감염 환자는 약 1억1500만명으로 추정된다.

위장 질환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는 만큼, 다른 P-CAB 개발사들도 헬리코박터 제균으로 적응증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먼저 P-CAB 시장에 진출한 HK이노엔은 2020년 P-CAB 제제인 ‘테고프라잔’ 기반의 ‘케이캡’을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제로도 국내에서 허가받았다. 2015년 케이캡을 기술도입한 중국 뤄신은 지난 3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헬리코박터 제균 임상 3상을 승인받았다.

P-CAB 개발사 美 진출 추진 본격화되나

팬텀은 올 3월 FDA에 보나프라잔을 모든 등급의 미란성식도염(EE) 치료제로도 판매허가를 신청했다. FDA는 허가신청자비용부담법(PDUFA)에 따라 내년 1분기 안으로 허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현재 미국에 약 2000만명의 미란성식도염 환자가 있을 것으로 팬텀은 추정하고 있다.

국내 P-CAB 개발사들도 거대 시장인 미국 진출을 시도 중이다. HK이노엔은 테고프라잔의 위식도역류질환 미국 임상 1상에서 위약 대비 높은 효능 및 위약과 비슷한 안전성을 확인했다.

HK이노엔은 지난해 테고프라잔 미국 임상 중 미국 소화기의약품전문기업인 세벨라의 자회사 브레인트리 래보라토리스에 약 6400억원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브레인트리 래보라토리스가 1상을 바탕으로 후속 임상에 착수할 계획이다.

테고프라잔은 미국 진출 시 보노프라잔보다 빠른 약효와 적은 부작용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내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 제형 다양화도 계획 중이다.

대웅제약은 미국 협력사인 뉴로가스트릭스를 통해 올해 P-CAB ‘펙수프라잔’의 미국 3상에 돌입할 예정이다. 대웅제약은 올 2분기 펙수프라잔을 ‘펙수클루’라는 이름으로 국내에 출시한다.

제일약품의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는 ‘JP-1366’의 국내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이와 함께 유럽 3상도 추진하고 있다.

팬텀은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에 대한 FDA 승인과 함께 사가드 헬스케어 파트너스와 노바퀘스트 캐피탈 매니지먼트 등 투자사로부터 약 2억6000만달러(약 3300억원)의 투자 유치에도 성공했다. 이 자금을 헬리코박터 치료제 및 미란성식도염 치료제 상업화 준비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도희 기자 tuxi0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