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바이오혁신 포럼…"신약 개발·후기 임상 등 지원 필요"
"코로나19 백신 등 신약 만들려면 민관 합동 5조원 투입해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등 혁신 신약의 국내 개발을 위해서는 5조원 이상의 민관 합동 펀드를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영주 종근당 대표이사 사장은 8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회관에서 열린 '제1차 전경련 바이오 혁신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전경련은 우리나라 바이오·헬스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바이오혁신 포럼을 발족시켰다.

제약업 등 바이오 헬스 산업에 진출했거나 관심 있는 국내 주요 기업·기관 임원으로 구성됐고, 김 대표가 위원장을 맡았다.

김 대표는 인사말에서 "혁신 신약 창출을 위한 투자 규모의 대형화가 필요하다.

5조원 이상의 민관 합동 메가 펀드를 조성해야 한다"며 "정부와 기업이 함께 신약 후보 물질 개발과 후기 임상, 상용화에 이르는 전 주기적 지원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연간 1조원 이상 매출을 올리는 신약이나 세계 최초 승인 신약 등의 혁신 신약 개발 성과가 거의 없는 상태다.

이는 현실적으로 국내 단일 기업이 막대한 후기 임상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국내 1위 제약기업의 연간 매출이 1조6천억원 규모인데 글로벌 임상 3상 비용으로 많게는 1조원이 투입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신흥국을 중심으로 시장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는 '글로벌 바이오·헬스 통합지원센터'도 설립해야 한다"며 "국가별 바이오헬스 산업에 대한 인허가 규정과 규제 등이 다르고 신흥국 정보가 부족해 국내 제약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글로벌 의약품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1조2천652억달러(약 1천374조원)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4.6%인 반면 중국, 브라질, 러시아 등 신흥국 시장은 7.4% 성장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국내 자급도가 낮은 원료의약품을 중심으로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2019년 기준 원료의약품 국내 자급도는 16.2%에 그쳤고, 국내 319개 업체가 중국으로부터 약 9천217억원어치의 원료의약품을 수입했다.

전경련은 "바이오헬스 산업은 연구, 개발, 공정, 생산, 허가 등에서 신속한 의사결정이 중요하지만, 여러 부처로 담당이 나뉘어 있어 비효율이 발생한다"며 "대통령 직속 통합 거버넌스와 범정부 연계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2017년부터 2027년까지 10년간 의약품 제조업 분야의 고용이 1만8천명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일자리 창출 산업으로도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 지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