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과 싸우기 위한 인류의 노력이 최근 성과를 내고 있다. ‘키트루다’ 같은 면역관문억제제부터 ‘킴리아’ 같은 세포치료제는 암에 대적하기 위한 인류의 새로운 무기로 손꼽힌다. 이 연재는 다양한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관련 동향과 과학기술적 배경을 기술할 것이다.
CAR-T 세포의 적응증을 넓히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항원 발굴, CAR 개발, T세포 배양법 개발 등의 다양한 개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CAR-T 세포의 적응증을 넓히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항원 발굴, CAR 개발, T세포 배양법 개발 등의 다양한 개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면역항암제는 암세포를 인지하고 살해할 수 있는 면역세포를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비교적 새로운 개념의 항암치료제다. BMS가 2010년 CTLA-4라는 면역관문을 차단하는 항체인 이필리무맙(Ipilimumab)의 전이성 흑색종에 대한 임상 3상에 성공하고 FDA의 승인을 받아 2011년 여보이를 출시하면서 본격적인 면역항암제의 시대가 열렸다.

이후 또 다른 면역관문인 PD-1과 PD-1의 리간드인 PD-L1을 차단하는 항체들이 연이어 FDA의 승인을 받고, 현재 폐암, 두경부암, 방광암, 신장암 등 다양한 암종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면역관문억제제 중 하나인 MSD의 ‘키트루다’는 2020년 144억 달러(약 15조 원)의 매출로 전 세계 의약품 중 두 번째로 높은 매출을 보였다(1위는 203억 달러 매출의 자가면역질환 치료 항체인 휴미라다). 이는 전년도 대비 30% 가까이 향상된 매출로, PD-1/L1 차단제 기반 면역관문억제제가 항암치료제에서 대세가 되었음을 시사한다.
[도준상의 면역항암제 이야기] 다가올 면역항암제의 미래
면역항암제의 시대가 열리다
면역관문억제제와 함께 면역항암제의 시대를 연 것은 키메릭 항원 T세포(CAR-T) 치료제다.
환자의 혈액에서 분리한 T세포에 ‘CAR’ 라는 합성수용체를 주입해 암세포를 인지하고 살해하는 기능을 향상시킨 후 대량 배양하여 다시 주입하는 CAR-T 치료제는 일부 혈액암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에서 60~80%의 높은 완전관해율을 나타내 궁극의 암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이며 뜨거운 관심을 끌었다.

2017년 노바티스가 최초의 CAR-T 치료제인 킴리아를 출시하였고, 그 뒤로 카이트파마를 119억 달러에 인수한 길리어드가 ‘예스카타’를 출시했다.

면역관문억제제와 CAR-T 치료제의 눈부신 성공에 힘입어 면역항암제는 지난 10년간 항암치료의 변방에서 주류로서 자리 잡았고, 필자는 면역항암제의 역사, 원리 및 현재 개발 동향 등을 정리한 책을 2019년 12월에 출판하기도 했다. 책을 출간한 지 1년 반 정도의 시간이 흐른 2021년 현재 새로운 면역항암제 개발의 열기는 전 세계적으로 아주 뜨겁다.

PD-1/L1 차단제는 다수의 암종에서 환자의 생존기간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으나 20% 정도의 환자에게만 효능이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현재 다양한 다른 종류의 치료제와 PD-1/L1 차단제를 병용투여 하는 임상이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2020년 9월 기준으로 진행 중임 임상은 전 세계적으로 4400건이다). 관련 임상의 전반적인 동향은 ‘Cancer Research Institute’ 홈페이지*에 잘 정리되어 있다.

이는 흥미롭고 중요한 일이지만, 개인이 구체적 내용을 모두 파악하고 추적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래서 연재의 주제로 삼기는 너무 크고 방대한 내용이다.


여전히 가능성 큰 세포치료제 시장
면역관문억제제 못지않게 CAR-T 치료제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노바티스는 2020년 4억7000만 달러(약 5000억 원, 전년 대비 68% 증가)의 매출을, 길리어드는 6억1000만 달러(전년 대비 33% 증가)의 CAR-T 치료제 매출을 기록했다.

매출 측면에서는 면역관문억제제에 비해 아직 미미하지만, CAR-T 치료제가 현재 CD19를 발현하는 B세포 유래의 특정 혈액암에만 적용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성장 가능성 측면에서는 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가 합쳐져 새로운 치료제를 만들어냈다는 측면에서 향후 많은 기술적 발전도 가능할 것이다.

현재 CAR-T 세포의 적응증을 넓히고 효능을 향상시키고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암세포 특이적인 항원의 발굴, 항원에 최적화된 CAR 개발, 다양한 아형(subset)의 T세포 배양법 개발 및 합성생물학과의 접목을 통한 다양한 기능 추가 및 조절 등의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CAR-T 치료제와 관련해 2020년 6월 전 세계적으로 600여 건의 임상이 진행 중인데, 이 중 절반 이상이 중국에서 진행 중이다. CAR-T 세포의 성공으로, NK세포, γδ T세포, NKT세포, 대식세포 등 T세포 이외의 다양한 면역세포를 이용한 면역세포치료제 개발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도준상의 면역항암제 이야기] 다가올 면역항암제의 미래
본 연재에서는 이와 같은 CD19 CAR-T 치료제 성공 이후의 다양한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관련 동향을 근간에 있는 과학기술적 배경을 기반으로 기술할 것이다.
<저자 소개>

[도준상의 면역항암제 이야기] 다가올 면역항암제의 미래
도준상

면역학을 공부하는 공학자다. 2006년 MIT에서 화학공학·고분자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UCSF 의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이후 포스텍 시스템생명공학부·기계공학과 교수로 부임해 11년간 근무했고, 2019년 3월부터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에서 생체재료를 면역치료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면역항암제를 이해하려면 알아야 할 최소한의 것들>이라는 대중서를 집필했다.

*이 글은 <한경바이오인사이트> 매거진 2021년 6월호에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