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은 10일 코로나19 백신 지적재산권 면제가 당장 현실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다양한 특허가 여러 기업에 나눠져 있는데다, 유럽 국가가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재권보다는 원자재와 생산능력(CAPA) 확보가 우선으로, 위탁생산(CMO) 협력관계 확대에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박병국 연구원은 “지난 5일 미국 무역대표부가 백신 불평등 해결을 위한 지재권 면제를 지지한 것은 중국과 러시아가 백신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도 존재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미국 백신은 자국우선주의인 반면 중국과 러시아 백신은 저소득 국가와 신흥국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공급되고 있다. 패권에 대한 고민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다.

박 연구원은 “지난달 러시아 ‘스푸트니크V’, 이달 중국 ‘시노백’에 대한 유럽의약청(EMA)의 동반 심사가 시작되면서 선진국까지도 공급 가능성이 확대됐다”며 “미국은 중국과 러시아가 백신을 통한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미국산 백신을 지원하거나 지재권을 우방국에 양보해 백신 생산을 늘리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고 했다.

미국의 공식 선언으로 모더나 등 백신 기업의 주가는 일시적으로 급락했다. 이후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반대 의사를 밝히며, 실질적인 문제는 특허가 아닌 생산기지와 원자재라는 점이 언급됐다. 관련 기업의 주가도 회복됐다.

박 연구원은 백신 지재권 면제가 현실화되기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19 백신 관련 특허는 한두 개 수준이 아니며, 여러 글로벌 기업과 기관이 소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특허는 모더나 큐어백 바이오엔텍 GSK 등 4개 기업이 절반을 갖고 있다. 이 외에 베링거인겔하임 바이엘 등 대형 제약사가 소유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특허 보유기업 중 상당수가 독일 기업인 것을 보면, 메르켈 총리가 미국의 지지 바로 다음날 반대의사를 언급한 것이 이해된다”며 “주말 유럽연합(EU) 회담에서 주요국 정상들이 반대 의사를 밝혔으며, 당장 지재권보다는 원자재와 생산능력 확보 등으로 개선방향이 잡힐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CMO 협력관계 확대에 주목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선진국의 확진자 감소에도 세계 일일 확진자는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백신 개발사들의 생산 목표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노바백스는 원자재 부족으로 유럽 공급이 지연되고 있고, 모더나는 최근 생산목표를 연간 30억 도스로 늘리는 등 생산목표를 확대했다”고 말했다.

김예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