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전  교수·김윤이 대표
이경전 교수·김윤이 대표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한국 사회와 기업, 개인에게 AI를 활용해 어떤 목표를 세울 것인지 묻는 질문이기도 합니다.”(이경전 경희대 교수)

“향후 몇 년 안에 AI가 사람을 대체할 수 있는 분야를 솔직히 알리고 교육 비중을 축소하는 등 교육제도의 개선이 필요합니다.”(김윤이 뉴로어소시에이츠 대표)

17일 열린 AI미래포럼 창립 웨비나(웹세미나)에서 현장 참관객은 물론 온라인 생중계를 본 이들 사이에서 가장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낸 주제가 ‘좋은 사회를 위한 AI 만들기’다. 각계 전문가들의 토론도 그만큼 열기를 더했다.

“공유문화·플랫폼 기술이 AI 발전 날개”

"공무원 선발 때 AI활용 능력 봐야…AI가 더 잘 풀 문제는 빼라"
이경전 경희대 경영학·빅데이터응용학과 교수는 AI 개념에 ‘더 나은 사회를 만든다’는 의미가 내재돼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AI는 기계와 인간, 환경이 자신이 속한 시스템의 궁극적 목표 달성을 위해 적절히 행동하도록 하는 방법론”이라며 “보다 나은 사회를 위해 AI를 활용하는 것이야말로 AI의 정의에 가장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AI 발전이 인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 이 교수는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법치주의가 확립된 사회에선 잘못된 AI가 자리잡을 수 없다”며 “AI에 대한 오해가 AI 발전을 더디게 함으로써 오히려 사회에 더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역설했다.

정지훈 모두의연구소 최고비전책임자(CVO)는 최근 AI 기술의 빠른 발전은 공유 문화와 이를 뒷받침하는 플랫폼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활성화와 분산관리 호스팅 서비스인 깃허브(GitHub·웹호스팅)를 통한 코드, 데이터 공유로 AI 기술 발전에 속도가 붙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 전문기업인 뉴로어소시에이츠의 김윤이 대표는 사회 제도를 AI 친화적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민간과 공공의 AI 이해도 격차를 줄이는 것이 필수”라며 “공무원 선발 시험에서 AI가 잘해낼 수 있는 자료해석과 상황 판단 등의 비중을 축소하고 AI 활용 능력 관련 시험을 추가한다면 사회 전반의 AI 능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교육 역시 AI 기술 발전에 맞춰 바꿔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10년 뒤 AI가 사람을 대체할 수 있는 영역을 사람들에게 알리고 이에 대한 교육 비중을 줄이는 것도 공공이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전문가 다양성 확보도 과제

오혜연 KAIST AI통합연구센터 소장은 AI 연구 과정에서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현재 국가 지원 연구사업이 몇 가지 지표만으로 연구자나 연구 과제를 평가하고 있다”며 “AI 분야가 굉장히 넓은 만큼 다양성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전문가를 다양화할 경우 성별, 인종 등을 구색 맞추기 식으로 끼워넣는 게 아니라 누구에게든 중요한 역할과 과제를 주고 책임을 맡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주재걸 KAIST AI대학원 교수는 산학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주 교수는 “AI 연구 트렌드가 대규모 데이터와 대규모 모델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흘러감에 따라 컴퓨팅 인프라가 부족한 학교 연구실 차원에서 쫓아가기 힘든 것이 사실”이라며 “학계와 산업계, 정부까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서로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AI 반도체 전문 기업인 퓨리오사AI의 백준호 대표는 AI 알고리즘과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세 분야가 균형적으로 발전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그는 “한국은 연간 반도체 분야에 100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지는 반도체 강국인 만큼 여러 플레이어가 힘을 합치면 AI 경쟁력을 더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승우/이시은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