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그룹이 장속 미생물인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신약 개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승부수를 던졌다.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항암제 개발에서 글로벌 선두주자인 영국 4D파마의 후보물질을 모두 인수하면서다.CJ바이오사이언스는 4D파마의 신약 후보물질 9개를 모두 인수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27일 발표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CJ제일제당의 제약·헬스케어 부문 자회사다. CJ그룹은 2021년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기업 천랩을 인수한 뒤 지난해 신규 법인 CJ바이오사이언스를 세우고 제약과 헬스케어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새 법인 출범 후 해외 기업과 기술 인수 계약을 맺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거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4D파마 후보물질과 신약 개발 플랫폼 2개의 특허권까지 인수하기로 했다. 인수 절차가 끝나면 3개 후보물질을 보유한 CJ바이오사이언스 후보물질은 12개로 늘게 된다.4D파마는 마이크로바이옴 생균제로 먹는 항암제 등을 개발하고 있다. 인수 대상엔 주요 후보물질 ‘MRx0518’도 포함됐다. 앞서 4D파마는 세계 1위 면역항암제인 미국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듣지 않던 암 환자에게 MRx0518을 함께 투여했더니 효과가 있었다는 초기 결과를 얻었다. 신장암, 비소세포폐암, 방광암 환자 등을 대상으로 미국에서 임상 1·2상 시험을 하고 있다.전이성 방광암 환자에게 면역항암제인 바벤시오와 MRx0518을 함께 투여하는 임상시험도 하고 있다.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물질 ‘MRx0029’와 ‘MRx0005’, 천식 치료제 후보물질 ‘MRx-4DP0004’ 등도 인수 대상에 포함됐다. 2027년께 출시되면 세계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시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되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종을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정된 제품은 딥노이드의 뇌동맥류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코어라인소프트의 뇌출혈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메디컬에이아이의 심부전·심전도분석소프트웨어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는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평가를 통합적으로 진행해, 의료기기가 허가와 동시에 신속하게 의료 현장에 진입하게 하는 제도다. 딥노이드 제품은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영상을 분석해 뇌동맥류 검출과 진단을 보조한다. 기술 혁신성과 시장 창출 가능성을 인정받아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 코어라인소프트 제품은 뇌 CT 영상에서 뇌출혈 유무와 뇌출혈량을 자동으로 분석할 수 있다. 메디컬에이아이의 소프트웨어는 좌심실 수축 기능 부전을 진단 보조하는 제품으로, 기존 검사법에 비해 신속하게 심부전을 진단할 수 있어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 식약처는 현재 딥노이드와 코어라인소프트 제품을 허가했고 메디컬에이아이 제품은 허가심사 중이라며, 조만간 이들 제품은 비급여로 의료 현장에 진입해 3~5년간 사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광동제약은 안과용제 전문 홍콩 제약사 자오커로부터 소아근시 신약 후보물질(파이프라인) 'NVK002'를 도입했다고 27일 밝혔다. 도입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미충족 의료 수요를 겨냥해 안과용제 파이프라인 확대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NVK002는 소아·청소년 근시에 적응증을 가진 저용량 아트로핀 황산염 용액제다. NVK002는 저농도 제제 제조 시 불안정성을 해결하는 기술이 적용됐으며, 방부제 없이 24개월 이상의 실온보관이 가능하다고 했다.아트로핀은 현재 1mg 이상 고농도 제제로 시판되고 있다. 주로 산동(mydriasis)에 처방된다. 중추신경계에 작용해 동공을 확장하는 것으로 환각과 흥분을 일으킬 수 있어 12세 이상 환자에게만 사용된다고 했다. NVK002가 상용화되면 소아에도 사용 가능한 아트로핀 제제가 된다. NVK002의 개발사는 미국 바일루마다. 작년 10월 3년 간의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안정성과 효능을 입증해, 올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광동제약은 NVK002의 아시아 권리를 가지고 있는 자오커와 계약해 한국 임상개발 및 허가, 수입·유통 등에 대한 독점 권리를 확보했다. 최성원 광동제약 대표는 "NVK002가 광동제약 안과용제 제품군을 확대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신약 도입을 통해 NVK002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 0~19세 소아·청소년 근시 환자는 전체 근시 환자의 55.3%라고 회사 측은 전했다. 2018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0대 어린이 주요 질병에 근시를 포함했다.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