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화웨이와의 격차를 벌린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가 미국의 화웨이 제재에 따른 수혜를 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 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가 지난 8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22%로 1위를 차지했다고 29일 발표했다. 반면 화웨이는 16% 점유율로 2위에 머물렀다. 이어 애플(12%), 샤오미(11%)가 3, 4위에 올랐다.
4월 삼성전자를 제치고 ‘반짝 1위’에 올랐던 화웨이는 넉 달 만에 선두를 내줬다. 당시 화웨이는 점유율 21%로 삼성전자(20%)를 근소하게 앞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상반기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S20’의 판매가 부진했던 데다, 공들이던 인도 시장이 록다운(이동 제한조치)된 영향이 컸다.
화웨이 점유율은 4월 정점을 찍은 이후 계속 하락하고 있다. 지난달 점유율이 16%까지 떨어지면서 삼성전자와 차이가 6%포인트로 벌어졌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중국 경제가 마비된 2월을 제외하면 최근 1년 중 가장 큰 격차”라고 설명했다.
업계는 삼성전자와 화웨이 간 점유율 격차가 더 벌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화웨이 제재가 강화되고 있어서다. 미국 정부는 이달 자국 반도체 기술이 적용된 반도체를 화웨이에 공급하려면 정부의 승인을 받도록 했다. 그 여파로 화웨이는 휴대폰 생산에 들어가는 부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강민수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애널리스트는 “유럽 시장에서 다양한 가격대 모델을 선보이며 화웨이와 경쟁하던 삼성전자에 점유율을 높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 시장에서의 기회도 커질 전망이다. 중국 다음으로 큰 스마트폰 시장인 인도는 값싼 중국산 제품이 독차지해 왔다. 그러나 최근 인도와 중국 간 국경 분쟁 이후 인도에서 중국산 불매 운동이 벌어졌고 이것이 국내 업체에 호재로 작용했다. 올 2분기 인도 시장에서 삼성전자는 비보를 제치고 샤오미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기존 갤럭시A·M시리즈에 인도 시장에 특화한 ‘F시리즈’를 추가해 중저가 라인업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F시리즈 첫 제품인 ‘갤럭시F41’은 다음달 인도 시장에 선보인다.
삼성전자가 올 4분기에 특별배당을 실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증권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가 2017년 약속했던 주주환원 전략이 올해 마무리되는 시점에 배당 재원이 남는다는 계산 때문이다.삼성전자는 29일 전날과 같은 5만8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종가 기준 올해 배당수익률은 2.43%다. 삼성전자는 분기배당을 하기 때문에 추석 연휴 후 매수하면 4분기 분기배당부터 받을 수 있다. 연말에 결산배당만 하는 배당주에 비해서는 연말 매수 매력이 떨어진다.하지만 증권업계에서는 올해 삼성전자가 주당 1380원 상당의 특별배당을 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며 배당 매력이 높아지고 있다. 특별배당이 나오면 지금 사더라도 3%의 배당수익률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삼성전자는 2017년 10월 31일 공시를 통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에 걸친 주주환원 전략을 공개했다. 영업현금흐름에서 설비투자액과 기타현금유출을 뺀 잉여현금여력(FCF)에 따른 배당 계획이 담겼다. 3년간 FCF의 최소 50%는 배당하겠다고 밝혔다. 잔여 재원이 발생하면 추가 현금배당 또는 자사주 매입·소각을 하겠다고 명시했다.메리츠증권은 이를 근거로 삼성전자가 올해 9조4000억원 규모의 배당 여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계산했다. 올해 말 기준 3개 년 FCF 추정치인 76조3540억원 중 배당을 약속한 50%는 38조1770억원이다. 여기서 3개 년 분기배당 지급액인 28조8000억원을 빼면 약 9조3770억원이 남는다. 이를 유통주식 수인 67억9300만 주로 나누면 주당 1380원을 배당할 수 있다.김선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지배구조 특수성을 고려하면 자사주 매입보다는 특별배당 가능성이 높다”며 “현금흐름을 추종하는 글로벌 자금 유입 가능성을 고려하면 보통주보다 배당수익률이 높은 삼성전자 우선주가 유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배당주는 배당 권리주주를 확정하는 배당락일이 끝나면 배당수익률만큼 주가가 떨어지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시가총액이 크다 보니 배당락일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고윤상 기자 kys@hankyung.com
쿠팡이 LG전자와 손잡고 스마트폰 LG윙 사전예약을 한다. 전자상거래(e커머스)업체 중 단독이다. 로켓모바일을 앞세운 쿠팡이 온라인 휴대폰 판매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워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쿠팡은 다음달 4일까지 LG윙 사전예약을 받는다고 29일 밝혔다. LG윙은 메인 스크린과 세컨드 스크린의 두 개 화면을 가진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폰이다. 메인 스크린을 T자로 돌려 두 개의 화면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어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다.LG전자가 전략 스마트폰을 먼저 선보일 만큼 휴대폰 판매 시장에서 쿠팡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쿠팡은 지난 7월 비대면 휴대폰 개통 서비스인 로켓모바일을 출시했다.쿠팡에서 휴대폰을 사면서 KT와 LG유플러스, 알뜰폰 등 통신사를 비교하고 요금제 가입까지 마칠 수 있다. 구입 후 통신사 가입을 별도로 해야 하는 자급제폰의 불편함을 해소했다. 쿠팡은 이를 위해 KT와 LG유플러스 대리점 코드를 확보했다.쿠팡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판매점과 통신사 대리점에서 휴대폰을 구입하는 사람이 줄어드는 추세를 날카롭게 파고들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쿠팡 관계자는 “주문 다음날 로켓배송으로 스마트폰을 받아 개통까지 완료할 수 있는 ‘속도’가 로켓모바일의 최대 무기”라고 말했다. 쿠팡은 최대 24개월 무이자 할부 결제와 중고 보상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한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온라인 휴대폰 유통 시장에서 쿠팡의 존재감이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
삼성전자 사측과 노동조합이 추석 연휴 이후 만난다. 단체협약을 논의하기 위해서다.28일 삼성전자와 노조에 따르면 삼성전자 내 4개 노조가 함께 꾸린 교섭대표단은 삼성전자에 10월 중순께 단체협약 등 논의를 위한 단체교섭을 열자고 제안했다. 삼성전자는 노조의 교섭 요청을 응했다. 현재 노사는 단체교섭을 위한 상견례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노조 측 교섭대표단은 삼성전자 내 기존 1, 2, 3노조에서 각 1명씩, 가장 규모가 큰 한국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금속노련) 산하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4노조)에서 7명이 참여해 10명으로 꾸리기로 했다. 다만 노사간 교섭 과정에서 교섭대표단 구성이 바뀔 수 있다는 게 노조의 설명이다.진윤석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 위원장은 "기존 노조에서 사측과 단체교섭을 진행한 적은 있지만, 단체협약 체결에 이르진 못했다"며 "이번에는 공동 교섭대표단을 꾸리고 한국노총에 위임해 단체협약 체결을 목표로 단체교섭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