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임대한 망에서 저렴한 요금으로 쓸 수 있는 ‘알뜰폰’ 가입자가 9개월 연속 줄었다. 1년 새 7% 가까이 감소했다. 통신 3사의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 유치 경쟁에 상대적으로 저가인 3세대(3G)·4세대(4G) 중심 알뜰폰 시장이 위축되는 모습이다. 가계 통신비 절감을 위해 정부 주도로 탄생한 알뜰폰이 서비스 10년 만에 위기에 봉착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5G 경쟁에 가입자 빼앗겨

통신3사, 5G 유치 경쟁에…알뜰폰 가입자 급감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무선통신서비스 통계 현황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알뜰폰 가입자는 756만3580명으로 나타났다. 작년 6월 이후 9개월 연속 감소세다. 알뜰폰 가입자는 지난해 4월 810만2482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세로 돌아섰다.

대기업 계열이 아닌 중소 알뜰폰 사업자들은 “통신 3사의 5G 서비스 가입자 유치 경쟁이 알뜰폰 가입자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했다. 알뜰폰 가입자가 가장 많았던 작년 4월은 한국에서 5G 서비스가 상용화되던 시점이다. 서비스 초기 가입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통신 3사가 대대적으로 마케팅에 나섰다. 고가 요금제를 선택하면 불법 보조금 등을 통해 최신 5G 스마트폰을 공짜로 주는 일도 빈번했다. 이 과정에서 알뜰폰 업체들은 일방적으로 가입자를 빼앗길 수밖에 없었다는 주장이다.

지난달 28일 알뜰폰 사업자 단체인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는 “통신사들의 차별적 보조금 지급을 통한 알뜰폰 가입자 빼가기는 불법적이고 불공정한 행위”라며 “이 같은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재발 방지대책을 수립하라”고 성명서를 냈다. 협회는 올 들어 통신 3사가 알뜰폰 가입자를 자사 가입자로 유치하면 추가적인 보조금을 대리점에 지급하는 사례가 빈번해졌다고 했다.

‘알뜰’ 벗어나 특화 서비스로 승부해야

통신3사, 5G 유치 경쟁에…알뜰폰 가입자 급감
알뜰폰은 2011년 7월 서비스를 처음 시작했다. 기간통신사업자(MNO)인 통신 3사의 망을 빌려 서비스하는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다. 음성 문자 데이터 등을 도매로 싼 가격에 대량 구매해 소비자에게 재판매하면서 차액으로 이익을 보는 구조다. 정부가 알뜰폰 활성화에 발 벗고 나선 결과 서비스 4년여 만인 2015년 가입자 500만 명을 넘기며 점유율 10%를 돌파했다. 지난 3월 기준으로도 3G 알뜰폰 가입자(366만4287명)는 SK텔레콤(177만4731명)과 KT(164만1404명)를 합친 숫자보다 많았다.

하지만 2017년 정부가 통신비를 낮추기 위해 통신 3사의 선택약정 할인폭을 기존 20%에서 25%로 올리고 보편요금제를 도입하면서 값싼 요금제를 무기로 삼던 알뜰폰의 차별화가 힘들어졌다.

정부는 상반기 알뜰폰 업계를 위한 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업계에선 5G 스마트폰 수급 안정화, 도매대가 인하 등의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고 있다.

알뜰폰이 가격뿐만 아니라 서비스 측면에서 기존 통신사와 차별화해야 한다는 ‘자성론’도 제기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MVNO 서비스는 원래 금융 유통 문화 등 특화 서비스를 내놓는 게 일반적인데 국내에선 ‘알뜰폰’이란 이름으로 싼 요금제만 부각됐다”며 “최근 국민은행이 금융 상품과 결합한 알뜰폰 사업을 시작하는 등 새로운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