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미국의 이동통신 망설계·최적화 전문기업인 텔레월드 솔루션즈를 인수했다. 북미에서 5세대(5G) 이동통신 장비시장 주도권을 잡으려는 포석이다.
삼성전자는 텔레월드 솔루션즈 지분 100%를 인수했다고 14일 발표했다. 구체적인 인수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텔레월드 솔루션즈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장비 설계를 도와주는 회사다.
5G는 4G 이동통신(LTE)에 비해 활용하는 주파수와 기지국이 다양하고 망 구조가 복잡하다. 넓은 커버리지(서비스 가능 지역)를 확보하기 위해선 장비 위치를 최적화하는 게 중요하다. 텔레월드 솔루션즈는 그 방법을 알려준다. 실내외 기지국 최적 위치 선정, 무선신호 간섭원 추출, 기지국 셀(cell) 설계에 드는 시간을 50%에서 최대 90% 줄여준다는 게 삼성전자 관계자의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2018년 미국 이동통신사 버라이즌과 계약을 맺고 5G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이번 인수를 통해 북미 시장 입지를 확고히 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 세계 5G 네트워크 장비시장에서 23%의 점유율로 2위를 기록했다. 미국 정부의 제재로 주춤한 화웨이(30%)를 7%포인트 차로 따라잡았다.
전경훈 삼성전자 네트워크사업부장(부사장)은 “텔레월드 솔루션즈의 전문인력과 차별화된 서비스 노하우를 바탕으로 양사 시너지를 극대화해 올해 북미 등 글로벌 시장 공략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네트워크 관련 업체를 인수한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2018년에는 스페인의 망 분석 전문기업 지랩스를 인수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지랩스 인수로 망 품질을 끌어올리는 ‘두뇌’를 확보했다면 텔레월드 솔루션즈 인수로는 효율적인 망 설계 노하우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마켓인사이트 1월 14일 오후 2시42분삼성전자에서 스핀오프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인 에임트가 코스닥시장 상장을 추진한다. 유통업계의 주요 화두인 콜드체인(저온 유통)과 관련된 소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으로 꼽힌다.1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에임트는 최근 미래에셋대우를 기업공개(IPO) 대표주관사로 선정했다. 소부장 특례상장 제도를 활용해 이르면 내년 코스닥시장 입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에임트는 삼성전자 DMC연구소 등에서 근무하던 인력들이 삼성전자의 벤처육성 프로그램(C랩)을 통해 2016년 설립한 회사다. 가스 차단 필름, 가스 흡착제, 심재 등 소재를 개발해 진공 단열재로 제조(패키징)하는 기술을 갖고 있다.에임트가 개발한 진공 단열재는 회사 설립 초기엔 냉장고, 정수기 등 가전제품과 방화문에 주로 쓰였다. 2018년부터 식품 배송 분야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새벽·당일배송 열풍으로 유통기업들이 콜드체인 강화에 나선 덕분이다. 에임트는 국내 대기업에 냉매 없이 식품을 저온보관할 수 있는 포장재를 공급하는 성과를 냈다. 지난해 약 60억원의 매출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 이 회사는 올해 매출이 지난해보다 세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의약품 배송 분야로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에임트에 투자한 벤처캐피털(VC)인 인라이트벤처스 측은 “진공 단열재는 공기를 이용한 단열재보다 보온·보랭 성능이 뛰어나고 콜드체인용 포장재는 냉매를 쓰지 않아 스티로폼 등을 쓴 포장재보다 부피가 현저히 작다”며 “페트병을 활용해 소재를 만들고 주요 소재는 재활용할 수 있어 최근 배송 시장에서 중시하는 친환경 기조에도 부합한다”고 말했다.에임트는 인라이트벤처스, 삼성벤처투자, 롯데액셀러레이터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올해 스마트폰 시장에 180도 다른 전략으로 뛰어들어 주목된다. 삼성전자는 올 한해 스마트폰 라인업을 다변화하면서 그야말로 '총력전'에 나선다. 반면 LG전자는 새로운 폼팩터(특정적 기기 형태) 출시 없이 상반기에 플래그십(전략) 스마트폰 '투톱'을 앞세워 선택과 집중 전략을 구사하기로 했다.◆ "모든 폰 다 만든다" 삼성, 라인업 다변화삼성전자는 올 상반기 프리미엄급 스마트폰의 '번외편'을 내놓는 등 라인업을 다변화한다. 두 번째 폴더블폰인 새 폼팩터도 선보인다. 이와 함께 중저가 폰에서는 ODM(제조업자개발생산)을 확대해 점유율을 지킬 계획이다. 전 소비층을 겨냥한 라인업을 선보이는 셈이다.삼성전자는 새해가 밝자마자 기존 스마트폰 라인업 세분화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3일 지난해 출시된 갤럭시S10과 갤럭시노트10의 보급형 모델인 '라이트' 버전을 선보였다.다음달에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S20' 시리즈와 '조개껍질(클램셸)' 형태 '갤럭시Z 플립'(가칭)을 공개한다. 삼성전자가 상반기에 두 개의 플래그십을 선보이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올 상반기 주력 모델이 될 것으로 보이는 갤럭시S20 시리즈는 ▲갤럭시S20(LTE·5G) ▲갤럭시S20 플러스(LTE·5G) ▲갤럭시S20 울트라(5G)로 라인업을 잘게 쪼갠 게 특징. 삼성전자는 지난해 갤럭시S10과 갤럭시노트10의 기종을 다양화해 좋은 성적을 거뒀다. 특히 갤노트10은 노트 시리즈 중 처음으로 2종으로 출시돼 호평을 이끌어냈다.새 폴더블폰인 '플립' 모델은 2월에 공개한 뒤 기존 갤럭시폴드를 잇는 모델을 하반기에 선보여 폴더블 역시 상·하반기 정규 라인업으로 편성될 가능성이 있다.중국과 인도 시장을 중심으로 중저가폰 점유율 확보에도 나선다.삼성전자는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 업체들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부터 ODM 물량을 대폭 늘려 생산비용을 효율화하고 점유율을 늘리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또 화웨이·샤오미 등 중국 제조사들이 시장을 장악한 인도 등 신흥 시장에서 스마트폰 생산을 늘리기로 했다.◆ "올해는 버텨야"…LG, 듀얼스크린 그대로19분기째 스마트폰 사업에서 영업적자를 내고 있는 LG전자의 올해 전략은 '버티기'다.LG전자는 차기 전략 스마트폰 'V60 씽큐'와 'G9' 2개 모델을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에서 함께 공개해 스마트폰 시장에 대응할 예정이다. V60은 5G 모델로, G9은 LTE와 5G 두 가지 버전으로 출시될 것으로 보인다.LG전자는 올해 폴더블 등 새로운 폼팩터 출시보단 스마트폰 사업 적자 탈출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듀얼스크린에 중점을 두면서 중저가 스마트폰 ODM을 확대, 적자 폭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는 행보다.업계 관계자는 "스마트폰 사업 부문 영업적자가 5년 가까이 이어진 LG전자로선 투자 대비 이익이 확실히 보장되지 않는 폴더블폰이나 불확실성이 짙은 새로운 폼팩터를 출시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
한국 증시의 대장주인 삼성전자가 또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6거래일 연속 상승세다. 삼성전자는 올해 반도체 및 휴대폰 부문을 중심으로 한 실적개선이 기대된다. 삼성전자를 주요 고객사로 둔 기업들도 잇따라 52주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다. 14일 오후 1시35분 현재 에이디테크놀로지는 전날보다 2950원(13.63%) 급등한 2만4600원에 거래 중이다. 한때 2만6000원(20.09%)까지 올라 1년래 가장 높은 주가를 기록했다. 에이디테크놀로지는 시스템(비메모리) 반도체 설계 전문업체(칩리스)다. 칩리스는 고객으로부터 설계를 수주받아 개발(용역매출) 후 위탁생산업체(파운드리)를 통해 생산해 고객사에 납품(양산 매출)한다.이베스트투자증권에 따르면 에이디테크는 전날 기관투자자 대상 설명회(IR)에서 지난해 매출 추정치를 기존 2000억원에서 2200억원으로 높였다. 2020년 실적 추정치로는 3000억원과 한자릿수 후반대 영업이익률을 제시했다. 최영산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S사의 주력 디자인 하우가 될 가능성을 재확인했다"며 "무엇보다 S사의 미세공정 대응을 위해 올해 연구인력을 100명 가까이 추가로 영입한다는 점에서 향후 성장성에 대한 강한 근거를 확인했다"고 말했다. ◆ 후공정업체 하나마이크론, 휴대폰 부품주 엠씨넥스도↑ 반도체 후공정(패키징) 전문업체 하나마이크론과 휴대폰 부품주인 엠씨넥스도 이날 장중 52주 최고가를 찍었다. 현재 각각 4%와 3% 상승 중이다. 하나마이크론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반도체 패키징은 회로가 설계된 반도체 칩에 전기적 특성 등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해 제품화하는 최종 과정이다. 하나마이크론은 여기에 지난해부터 비메모리 테스트 사업 투자를 시작했다. 김장열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장은 "비메모리 테스트 사업으로 성장동력이 입증되면 주당 8220원의 가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주요 고객사의 비메모리 테스트 다변화 및 확대라는 방향성이 유지되는 한 당분간 우상향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했다. 엠씨넥스는 삼성전자의 휴대폰에 카메라 모듈 및 액츄에이터(구동부)를 공급 중이다. 액츄에이터는 조리개(IRIS)와 자동 초점(AF), 손떨림 보정(OIS) 등의 기능을 담고 있다. 엠씨넥스의 기대 요인은 삼성전자 스마트폰의 출하량 증가로 카메라 모듈 역시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이동주 SK증권 연구원은 "그동안의 성장을 이끈 것이 듀얼이라면 올해부터는 트리플과 쿼드 카메라가 주력 제품의 기본 사양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2020년 삼성전자 스마트폰 출하량은 화웨이 제재에 따른 반사 수혜까지 기대됨에 따라 2000만대 가량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엠씨넥스는 삼성전자 카메라 모듈 납품 점유율 확대로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이란 판단이다. 베트남 4공장 증설로 추가적인 생산여력도 확보하고 있다고 봤다. 한민수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