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OS 리눅스와 유사한
개방형 반도체 설계자산 시스템
리스크파이브 이용해 칩 생산
내년 스마트폰·車에 첫 적용
삼성전자가 해외 업체에 특허 이용료(로열티)를 내지 않는 시스템 반도체를 생산한다. 새로운 방식으로 양산하는 5세대(5G) 이동통신칩은 내년에 나올 삼성 스마트폰에, 인공지능(AI) 이미지 센서는 향후 생산될 자동차에 들어간다. 삼성전자가 새로운 반도체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2030년까지 인텔을 제치고 시스템 반도체 세계 1위로 올라서는 게 삼성전자가 내세운 목표다.
반도체판 ‘리눅스’ 시대 연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0일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린 ‘리스크파이브(RISC-V) 서밋’에 참가해 리스크파이브를 활용한 반도체 생산 계획을 공개했다.
리스크파이브는 2010년 한국인 이윤섭 박사를 포함해 미국 UC버클리 학자 세 명이 주축이 돼 개발한 개방형 반도체 설계자산(IP) 시스템이다. 1990년대 마이크로소프트(MS) PC 운영체제(OS)인 윈도에 대항해 나온 무료 OS 리눅스와 비슷하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리스크파이브를 ‘반도체판 리눅스’로 부르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처음으로 리스크파이브를 이용해 2세대 5G용 통신칩을 생산했다. 이 칩을 내년에 나올 삼성의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넣을 계획이다. 리스크파이브의 IP로 개발한 AI 이미지센서는 같은 시기 자동차용 반도체에 장착한다.
삼성전자는 시스템 반도체를 개발할 때마다 해외 업체에 로열티를 지급했다. 모바일 반도체는 영국 ARM에, PC와 서버용 반도체는 미국 인텔에 돈을 냈다. 두 회사가 시스템 반도체 설계도의 원본이나 마찬가지인 IP를 보유하고 있어서다.
앞으로 삼성전자가 리스크파이브의 무료 반도체 설계도를 쓰면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삼성전자와 경쟁하는 인텔의 견제 및 영향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를 설계하는 팹리스 업체와 생산만 전담하는 파운드리 업체, 그리고 모든 부품 업체가 반도체 원천 특허를 보유한 인텔과 ARM이 정하는 원칙에 따라 움직였다”며 “앞으로 삼성이 무료 설계도인 리스크파이브를 이용하면 대부분 업체가 그에 맞게 생산하게 돼 시스템 반도체 생산 패러다임이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인텔과 ARM은 리스크파이브를 견제하고 있다. 하지만 삼성전자를 비롯해 퀄컴과 구글, 엔비디아 등이 리스크파이브 회원사로 가입해 있어 저울추가 기울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리스크파이브를 중심으로 한 반도체 생태계가 더 커질 것이란 얘기다.
‘3대 전략’으로 인텔 넘는다
리스크파이브의 등장으로 삼성전자가 운신할 수 있는 폭이 넓어졌다. 삼성전자는 세계 1위 메모리 반도체 업체지만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선 후발주자다. 리스크파이브 등이 제공하는 IP가 꼭 필요한 상황이다.
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주요 시스템 반도체를 자체 생산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스마트폰의 두뇌로 불리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는 지금처럼 ARM의 유료 설계도를 활용하겠지만 다른 분야에선 대안을 모색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자체 개발과 제휴, 리스크파이브가 삼성전자가 고를 수 있는 선택지다.
미래 AI 시대 핵심 반도체로 꼽히는 신경망처리장치(NPU)는 삼성전자 스스로 개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어 스마트폰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는 그래픽처리장치(GPU)는 미국 AMD와 제휴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6월 AMD와 GPU IP를 공유하기로 합의했다. 일반 센서와 통신칩 같은 분야에선 리스크파이브 자산을 활용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리스크파이브 체계가 더욱 정교해지면 AP 같은 고사양 반도체를 개발하는 게 쉬워진다”며 “리스크파이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부별 목표달성 장려금…스마트폰 사업부는 50%연간 실적 초과 이익 배분하는 내년 초 OPI는 감소할 듯삼성전자가 반도체 업황 부진에도 반도체 사업부 직원들에게 100% 성과급을 24일 지급할 것으로 알려졌다.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직원들에게 사업부별 하반기 '목표달성 장려금'(TAI·옛 PI) 지급률을 통보했다.TAI는 성과급 중 하나로 매년 상·하반기 한 차례씩 실적을 토대로 소속 사업 부문과 사업부 평가를 합쳐 최대 월 기본급의 100%까지 차등 지급한다.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의 반도체 사업부, 소비자가전(CE) 부문의 생활가전 사업부, 영상디스플레이 사업부가 최대치인 100% 성과급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반도체 업황이 미중 무역분쟁, 일본 수출규제 등 영향으로 침체를 겪긴 했으나 목표를 달성하며 최대치 성과급을 지급하는 것으로 풀이됐다.5세대 이동통신(5G) 장비 등을 다루는 네트워크 사업부는 75%, 갤럭시 등 스마트폰 관련 무선 사업부는 50% 성과급을 받을 것으로 전해졌다.작년 하반기 삼성전자가 지급한 성과급은 DS 부문 100%, CE 부문 50∼70%, IM 부문은 최저 25% 수준이었다.삼성전자는 내년 초에는 각 사업부가 연간 실적 목표를 달성하면 초과 이익을 배분하는 '초과이익성과금'(OPI·옛 PS)도 지급한다.전년 사업부 실적을 기준으로 매년 초 연봉의 최대 50% 내에서 준다.올해 회사 실적이 전년보다 감소하면서 내년 초 OPI 지급률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연합뉴스
정부가 공기업의 퇴직금 산정 기준에 성과급을 반영하도록 지침을 바꾼 가운데 민간기업에서는 성과급의 퇴직금 반영을 둘러싼 소송이 잇따르고 있다.23일 서울중앙지방법원과 수원지방법원 등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에 대한 퇴직자들의 소송이 접수됐다. 소송의 골자는 퇴직금 산정 기준인 평균임금(퇴직 전 3개월간의 임금 평균)에 성과급을 넣어 재산정하라는 것이다. 1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퇴직자로 시작된 소송이 8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까지 점차 확대되는 모양새다. 삼성SDS에도 비슷한 소송이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퇴직자들이 성과급 산입을 통해 추가로 요구하는 퇴직금은 2000만~6000만원에 이른다. 특히 삼성전자에 대해서는 2017년 한국HP에 매각된 옛 삼성전자 프린터 사업부 1100여 명이 참여한 대규모 집단 소송이다. 소송 대상 기업은 반도체·디스플레이 호황 기간 거액의 성과급을 지급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삼성전자는 2013년부터 OPI(초과이익분배금), TAI(생산성장려금) 등을 사업부 성과에 따라 연봉의 50% 이상 지급하고 있다. SK하이닉스의 지난해 성과급은 월 기본급의 1600%에 이르렀다.해마다 경영실적의 편차가 큰 민간기업 성과급은 퇴직금에 산입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돼왔다. 2017년 액정표시장치(LCD) 가격 상승 호재로 성과급을 지급했던 LG디스플레이가 올 들어 희망퇴직을 시행하고 있는 것이 단적인 예다. 법원도 2006년, 2013년 당시 성과급은 퇴직금의 근거가 되는 평균임금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판결을 내렸다. 하지만 이 같은 원칙이 지난해 10월 한국감정원, 12월 한국공항공사 퇴직자에 대한 판결과 기획재정부의 지침 변경으로 흔들리고 있다.당장 다음달로 예정된 SK하이닉스의 판결 결과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결과에 따라 산업현장은 상당한 혼란을 겪을 전망이다. 한 대형로펌 노동 담당 변호사는 “SK하이닉스 소송에서 퇴직자가 승소하면 비슷한 소송이 잇따르며 기업들은 통상임금 사태 이상의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등 민간기업들은 “기재부가 예산 범위 내에서 평가등급에 따라 나눠주는 경영실적 성과급과 언제, 어느 정도의 실적을 올릴지 알 수 없는 민간기업 성과급은 성격이 전혀 다르다”고 지적했다.노경목/신연수 기자 autonomy@hankyung.com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 A사 직원들은 올초 성과급을 한푼도 받지 못했다. 너도나도 ‘두둑한 보너스’를 챙겼던 작년 초와 너무 달랐다. 대놓고 불만을 드러낼 순 없었다. 성과급은 직전 연도 실적을 근거로 지급된다는 걸 알기 때문이다. 이 회사의 작년 영업이익은 2017년 대비 약 96% 급감했다.퇴직금에 성과급을 산입해야 한다는 주장의 근거는 “성과급도 임금”이라는 것이다. 이 논리가 인정받으려면 성과급이 고정성, 일률성, 정기성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경제계에선 성과급은 임금과 거리가 있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매년 변하는 ‘실적’에 근거해 성과급 규모가 바뀌기 때문이다. 민간기업 직원들은 성과급으로 ‘차 한 대 값’을 받는 해도 있지만 손가락만 빨 때도 적지 않다.삼성전자가 좋은 사례다. 삼성전자는 ‘성과 있는 곳에 보상 있다’는 이건희 회장의 경영 원칙에 따라 2000년부터 조직 실적에 기초한 성과급을 지급하고 있다. OPI(초과이익분배금)가 대표적이다. 직전 연도 사업부 실적을 기준으로 매년 1월 말~2월 초 ‘작년 연봉’의 최대 50%(일반 직원 기준)를 지급한다.사업 성적에 따라 매년 희비가 엇갈린다. 삼성전자에서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은 2018년 44조원대에 달하는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거뒀다. 올해 초 DS부문 직원들은 연봉의 50%를 OPI로 받았다. 내년엔 OPI가 급감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회사는 지난 8월 OPI 예상치를 공지하며 DS부문 예상 범위로 ‘22~30%’를 제시했다. 올해 영업이익이 13조원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돼서다.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등의 분위기도 비슷하다. 올해 실적이 전년 대비 50% 이상 줄어들게 되자 “성과급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한 경제단체 고위관계자는 “판례를 보면 성과급은 ‘불확실한 사실’에 따라 좌우되는 ‘확정되지 않은 금품’으로 정의된다”며 “민간 기업들은 예측 불가능한 변수인 ‘실적’에 근거해 성과급을 줄 수도 있고 지급을 안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성과급을) 임금으로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