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블록체인 공시 심사 제도 설명회'에서 발표중인 김준우 크로스앵글 대표(사진=김산하 기자)
23일 '블록체인 공시 심사 제도 설명회'에서 발표중인 김준우 크로스앵글 대표(사진=김산하 기자)
국내 주요 가상화폐(암호화폐) 거래소들이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 공시 플랫폼 기업 크로스앵글과 손잡고 전자공시 시스템을 도입한다.

지난 23일 서울 강남구 코빗 라운지에서 열린 '블록체인 공시 심사제도 설명회'에서 크로스앵글과 빗썸·코빗·고팍스·CPDAX 등 거래소들은 암호화폐 공시 플랫폼 '쟁글(Xangle)' 도입을 알리고 투명한 공시 문화 정착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쟁글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전자공시시스템 에드가(EDGAR)를 벤치마킹해 만든 암호화폐 공시 플랫폼이다. 기존 암호화폐 시장의 문제점인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하고 투자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

김준우 크로스앵글 대표는 "기존 암호화폐 시장에선 투자자들의 정보접근성이 굉장히 제한적이었다. 투자자들은 암호화폐 가격이 어떤 의미인지, 왜 그 가격인지 논리적으로 분석해 투자하기보다는 직감이나 루머를 활용한 '투기'가 활성화되는 경향이 있었다"고 짚었다.

이어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고 건전한 시장을 만들기 위해 쟁글은 기관투자자들이나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개인들 입장에서 필요한 모든 프레임워크를 기준으로 공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23일 개최된 '블록체인 공시 심사 제도 설명회'에서 발표중인 정석문 코빗 이사 (사진=김산하 기자)
23일 개최된 '블록체인 공시 심사 제도 설명회'에서 발표중인 정석문 코빗 이사 (사진=김산하 기자)
정석문 코빗 이사는 "대중에게 어느정도 검증된 회사가 공개돼야 일반 투자자들도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을 텐데 지금은 무수한 프로젝트들이 난립하는 상황이다.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가 부재한 상태"라고 쟁글 도입 배경을 부연했다.

그는 "가령 증권시장은 1956년 3월3일 대한증권거래소가 생겼고 상장사 12개, 첫 해 거래량 4억원으로 시작했다. 공시 시스템이 없었고 정보의 비대칭성이 극단적인 상황이라 루머에 의한 투자가 성행했다"면서 "그러나 1999년 전자공시(DART) 시스템이 생기며 체질 개선이 이뤄졌다. 암호화폐도 같은 맥락에서 이러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크로스앵글과 빗썸·코빗·고팍스·CPDAX는 앞으로 쟁글을 블록체인 프로젝트 업데이트 및 상장 유지 심사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거래소들은 "불성실 공시로 투자자들에게 해를 끼치는 등 공시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증권 거래소와 유사한 기준을 제정해 상장폐지 절차도 밟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산하 한경닷컴 기자 sanha@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