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의 성지(聖地)라는 스위스 주크에서도 한국 하면 ‘가상화폐 중심국’이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더군요. 싱가포르보다 한국에서 블록체인 사업을 하고 싶다는 투자자도 있었습니다. 국내에서는 가상화폐공개(ICO)도 안 되는데 말이죠. 그만큼 글로벌 시장이 한국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는 겁니다.”

"'블록체인 성지' 주크도 韓 잠재력 인정"
오는 23~24일 열리는 ‘2018 코리아 블록체인 엑스포’에서 기조강연에 나서는 우태희 한국블록체인협회 산업발전위원장(사진)은 한국이 ‘블록체인 프런티어’로 도약 할 수 있는 이유를 이같이 설명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기술(IT) 인프라, 가상화폐에 친숙한 젊은 층 등 블록체인산업 발전에 최적화된 환경을 보유했다는 것이다.

단 ICO 관련 규제 정비 및 법제화가 필수라고 봤다.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출신인 그는 블록체인산업에 대한 정부의 ‘확실한 육성 의지 표명’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다. “정책적 불확실성만 없애면 자금 조달, 연구개발(R&D)은 업체들이 알아서 잘할 것”이라고도 했다.

왜 블록체인에 전력투구해야 하는 것일까. 우 위원장의 답은 명쾌했다. 한국이 글로벌 리딩(선도) 국가가 될 만한 분야라는 이유다. 그는 “4차 산업혁명 분야 가운데 한국이 앞서가는 게 안 보인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는 미국, 로봇은 일본, 드론은 중국이 선점하는 추세”라며 “하지만 블록체인 분야는 한국이 글로벌 시장을 이끌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기 위해선 속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우 위원장은 “정부가 지금은 조심스러워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블록체인산업이 크게 발전할 것으로 보지 않겠나. 결국 지금 얼마나 빨리 움직이느냐가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블록체인협회가 이달 들어 국회 정무위, 과학기술정보통신위와 공동으로 토론회를 여는 등 관련규정의 ‘압축적 입법’에 발 벗고 나선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동시에 단기적으로는 협회 차원의 자율규제 강화에 힘쓸 방침이다.

김봉구 한경닷컴 기자 kbk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