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1년부터 올해까지 112차례…스크리클런드, 210명 수상자 중 세번째 여성수상자
아서 애슈킨, 최고령 물리학상 수상자 기록 8살이나 '경신'…3명 공동수상은 33번째
55년만에 '유리천장' 깨진 노벨물리학상…96세 최고령 기록도
올해 노벨물리학상의 영예는 미국의 아서 애슈킨, 프랑스의 제라르 무루, 캐나다의 도나 스트리클런드 등 3명이 공동으로 가져갔다.

레이저 물리학 분야에서 신기원을 이룬 공을 인정받았다는 게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의 설명이다.

특히 스트리클런드는 지난 1963년 이후 55년 만에 '유리 천장'을 깬 여성 수상자여서 더욱 눈길을 끈다.

◇ 노벨물리학상 총 112차례, 수상자는 210명 = 노벨상 공식 웹사이트(nobelprize.org)에 따르면 노벨물리학상은 1901년 첫 수상자를 시작으로 올해까지 총 112차례 수상자를 배출했다.

제1차 세계대전 중이던 1916년과 1931년, 1934년,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기간이었던 1940년, 1941년, 1942년 등 모두 6차례는 수상자 선정이 없었다.

단독 수상자가 나온 경우는 47차례이고, 두 명이 상을 받은 경우는 32차례였다.

올해를 비롯한 33차례는 3명이 공동 수상했다.

공동수상자를 포함해 지금까지 112차례에 걸쳐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물리학자는 총 210명에 달한다.

다만 존 바딘이 1956년과 1972년 두 차례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만큼 상을 받은 개인으로 따지면 209명이다.
55년만에 '유리천장' 깨진 노벨물리학상…96세 최고령 기록도
◇ 물리학상 '유리 천장' 55년 만에 깨졌다 = 지금까지 112차례에 걸쳐 노벨물리학상이 수여되는 동안 여성이 영예의 주인공이 된 사례는 지난해까지 단 두 차례에 불과했다.

1903년 마리 퀴리와 1963년의 마리아 메이어 두 명만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노벨물리학상은 반세기 넘게 여성 물리학자들 앞에 가로 막힌 벽인 셈이었다.

그러나 이번에 도나 스트리클런드가 공동 수상의 영예를 안으면서 '유리천장'은 55년 만에 깨지게 됐다.

스트리클런드는 여성으로서는 세 번째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라는 영예도 함께 얻었다.

◇ 애슈킨 무려 96세…최연장 수상자 기록 '8살' 경신 = 1901년부터 지난해까지 수상자들의 평균 나이는 55세였다.

다만 올해 공동수상자인 미국의 아서 애슈킨이 96세, 프랑스의 제라르 무루가 74세, 캐나다의 도나 스트리클런드가 59세인 만큼, 수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더 올라가게 됐다.

특히 지난해까지 물리학상 수상자 중 최연장자는 2002년 수상자 레이먼드 데이비스 2세로 당시 88세였지만, 이번에 애슈킨이 '8살'이나 높여 또 다른 기록의 주인공이 됐다.

가장 어린 나이에 노벨물리학상을 받는 이는 1915년 수상자인 로런스 브래그로 당시 25세였다.

그해 자신의 아버지와 공동 수상했다.

◇ 부부와 부자(父子) 나란히 수상…노벨물리학상 '명문가' = '퀴리 부인'으로 유명한 프랑스의 마리 퀴리는 1903년 남편 피에르 퀴리와 노벨물리학상을 함께 받았다.

두 사람의 딸인 이렌 졸리오 퀴리와 그 남편 프레데릭 졸리오는 1935년 노벨화학상을 공동 수상하면서 '노벨상 가문'으로 명성을 높였다.

아버지와 아들이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경우도 모두 네 차례다.

다만 같은 해에 공동 수상한 것은 1915년 윌리엄 브래그-로런스 브래그 부자(父子)가 유일하다.

나머지 세 경우는 아버지와 아들이 각각 다른 해에 물리학상을 받았다.

노벨상 상금은 스웨덴 화폐인 크로나(SEK) 기준으로 1인당 900만 크로나(약 11억2천여만원)에 이른다.

노벨이 남긴 유산 약 3천100만 크로나(현재 가치로는 약 17억200만 크로나)를 기금으로 노벨재단이 운영한 자금에서 나온다.
55년만에 '유리천장' 깨진 노벨물리학상…96세 최고령 기록도
다음은 1996∼2018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및 수상업적.
▲ 2018년: 아서 애슈킨(미국), 제라르 무루(프랑스), 도나 스트릭랜드(캐나다)
= 레이저 물리학 분야의 대변혁. 산업·의학 분야 적용의 새 지평
▲ 2017년: 라이너 바이스(미국), 배리 배리시(미국), 킵 손(미국)
= 고급레이저간섭계중력파관측소(라이고·LIGO)로 중력파 존재를 실제로 확인
▲ 2016년 : 데이비드 사울레스(영국), 덩컨 M 홀데인(영국), J 마이클 코스털리츠(영국)
= 위상(位相)적 상전이와 물질의 위상적 상을 이론적으로 발견
▲ 2015년: 가지타 다카아키(일본) 아서 맥도널드(캐나다)
= 중성미자 진동 발견
▲ 2014년: 아카사키 이사무·아마노 히로시(이상 일본) 나카무라 슈지(미국)
= 청색 발광다이오드(LED) 개발
▲ 2013년: 피터 힉스(영국)·프랑수아 앙글레르(벨기에)
= 힉스 입자 존재 예견
▲ 2012년: 세르주 아로슈(프랑스)·데이비드 J. 와인랜드(미국)
= 양자 입자 파괴 없이 측정 가능한 방법 발견
▲ 2011년: 사울 펄무터(미국)·브라이언 P. 슈미트(미국·호주)·애덤 G. 리스(미국)
= 초신성 연구로 우주의 '가속 팽창' 성질 규명
▲ 2010년: 안드레 가임(네덜란드)·콘스탄틴 노보셀로프(러시아·영국)
= 차세대 나노 신소재로 주목받는 2차원 그래핀(graphene) 연구 업적
▲ 2009년: 찰스 K. 가오(高)(영국·미국)
= 광섬유의 빛 전달과정 연구로 광통신 기초 마련
윌러드 S. 보일(캐나다·미국)·조지 E. 스미스(미국)
= 디지털영상 촬영에 쓰이는 전하결합소자(CCD) 센서 개발
▲ 2008년: 고바야시 마코토(小林誠)·마스카와 도시히데(益川敏英)(이상 일본)
= 자연계에서 쿼크의 존재를 보여주는 대칭성 깨짐의 기원 발견
난부 요이치로(南部陽一郞)(미국)
= 아원자물리학에서 자발적 대칭성 깨짐의 메커니즘 발견
▲ 2007년: 알베르 페르(프랑스)·페테르 그륀베르크(독일)
= 나노 기술 및 거대자기저항(GMR) 발견에 기여
▲ 2006년: 존 매더·조지 스무트(이상 미국)
= 극초단파 우주배경복사의 흑체 형태와 이방성(異方性) 발견, 은하와 별의 기원 연구에 기여
▲ 2005년: 로이 글로버(미국)
= 양자 광학이론 이용, 빛의 결맞음 이론 정립 공헌
존 홀(미국)·테오도어 헨슈(독일)
= 레이저 정밀 분광학 개발 기여
▲ 2004년: 데이비드 그로스·데이비드 폴리처·프랭크 윌첵(이상 미국)
= 원자핵 내의 강력과 쿼크의 작용 규명
▲ 2003년: 알렉세이 아브리코소프(러시아)·앤서니 레깃(영국)·비탈리 긴즈부르크(러시아)
= 양자역학 분야의 초전도와 초유동 현상 연구
▲ 2002년: 레이먼드 데이비스 주니어(미국)·고시바 마사토시(일본)
= 우주 중성미자 연구
리카도 지아코니(미국)
= 우주 X선 원천 발견으로 천체물리학에 기여
▲ 2001년: 에릭 코널·칼 위먼(이상 미국)·볼프강 케테르레(독일)
= 보스-아인쉬타인 응축물로 알려진 새로운 초저온 기체 물질 생성
▲ 2000년: 조레스 알페로프(러시아)·헤르베르트 크뢰머(독일)·잭 킬비(미국)
= 현대 정보기술(IT) 개척에 기여
▲ 1999년: 헤라르뒤스 토프트·마르티뉘스 펠트만(이상 네덜란드)
= 양자 전자기학 분야 공헌
▲ 1998년: 로버트 러플린·대니얼 추이(이상 미국)·호르스트 슈퇴르머(독일)
= 극한 상황에서 새로운 형태인 양자 유체 발견
▲ 1997년: 스티븐 추(미국)·클로드 코엔타누지(프랑스)·윌리엄 필립스(미국)
= 레이저 광선에 의한 원자 냉각 포착법 개발, 새로운 원자 광학 분야 개척
▲ 1996년: 데이비드 리·로버트 리처드슨·더글러스 오셔로프(이상 미국)
= 헬륨3이 극초저온에서 상전이(相轉移)를 일으켜 점성 없는 유동체가 되는 현상 발견, 저온 물리학 발전에 공헌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