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앞에서 드론 배송이 시연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10월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앞에서 드론 배송이 시연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에서도 배송용 드론(무인항공기) 상용화 작업이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최근엔 드론을 활용한 최초의 국내 산간지역 배송이 성공해 ‘드론 배송시대’의 기대가 커지고 있다.

국내 드론 시장에서 가장 두각을 나타내는 곳은 우체국 택배를 운영하는 우정사업본부와 CJ대한통운, 롯데택배 등 물류 관련 기업이다.

우정사업본부가 이달 초 강원 영월에서 성공한 첫 산간지역 배송은 30분가량 걸리는 배송시간을 8분으로 줄였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해당 드론은 최대 1시간 가까이 비행하며 20㎏까지 운송할 수 있다. 안정적인 배송을 위해 시속 30㎞로 운영하며 카메라와 택배화물 보관함, 이착륙 제어장치 등을 갖추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직원들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해당 드론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작동 과정은 이렇다. 직원은 스마트폰으로 전용 드론 서비스인 ‘포스트넷(Postnet)’(가칭)에 접속해 배송지 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포스트넷은 해당 정보를 관제 서버에 전달해 드론을 호출하고 배송한다.

이 과정에서 사람은 개입하지 않는다. 드론에 달려 있는 카메라로 비행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뿐이다. 2021년까지 배송용 드론을 상용화하는 게 우정사업본부의 목표다.

민간 업체인 CJ대한통운도 드론 사업에 적극적이다. 국가재난처와 함께 재난이 발생했을 때 구조에 나서는 드론을 개발하기로 하고 영월에서 안전성 검증 사업을 하고 있다. 롯데택배는 유콘시스템과 드론 택배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개발 연구를 하고 있다.

정부도 한국형 ‘K-드론’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드론의 등록과 이력을 관리하고 원격으로 자율비행과 군집비행을 감독하는 게 목표다. 정부는 중장기적으로 △건설 △대형 시설물 안전관리 △국토조사 △하천 측량·조사 △도로·철도 관리 △해양시설 관리 △실종자 수색 △재난 대응 △산불 감시 등의 업무에 드론을 활용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5년간 드론 3700여 대를 운영하겠다는 목표도 내놨다.

세계적으로도 드론시장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세계 드론시장은 연 29% 성장해 2026년에는 820억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미국 아마존이 적극적이다. 아마존은 2016년 영국에서 세계 최초로 드론 배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드론 배송과 관련한 자체 항공교통관제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지난해엔 해킹방지 대응 특허까지 출원했다.

미국 UPS는 2017년 택배차량의 지붕에서 출발하는 가정용 택배 드론의 시험 운영에 성공했다. 독일 DHL은 2014년 정부 허가를 받고 긴급배송이 필요한 의약품 드론배송 개발에 나섰다. 그 결과 2016년에는 악천후에서도 가능한 드론 배송 자동화 시스템을 완성해 각종 시범 운영을 하고 있다.

드론 강국인 중국에서도 다양한 실험이 이뤄지고 있다. 알리바바의 온라인 음식 배달 업체인 어러머는 지난 5월 상하이에서 드론 음식배달을 승인받고 시범 배달을 하고 있다. 중국 드론 제조사 이항은 2년 전 사람을 태울 수 있는 드론을 선보이기도 했다.

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