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승재 라이프시맨틱스 대표가 암 환자 자가 관리 플랫폼 '에필 케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송승재 라이프시맨틱스 대표가 암 환자 자가 관리 플랫폼 '에필 케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요즘 뜨거워지고 있는 의료 빅데이터 이슈는 빅데이터의 잠재력에 집중할 뿐 환자 복지에 대해 얘기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환자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해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써 데이터는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선순환을 만들려고 합니다."

송승재 라이프시맨틱스 대표(사진)는 옛날 한창 인기를 끌었던 '싸이월드'를 예로 들었다. 송 대표는 "싸이월드는 데이터 축적보다 추억을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을 중시해 호평을 받았다"며 "의료 데이터 논의에서는 고객은 없고 데이터만 있어 아쉽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대 치대에서 의료정보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한국헬스데이터그룹을 창립하는 등 줄곧 의료 데이터 분야에 몸 담아 왔다. 현재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장을 맡고 있기도 하다.

2012년 설립된 라이프시맨틱스는 '개인건강기록(PHR)을 잘 다루는 기업'을 표방한다. 병원에서 얻을 수 있는 방대한 의료 데이터로 질병을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환자가 직접 집에서 건강을 관리하는 플랫폼을 만들었다. 두 성과물을 합한 것이 암 환자 자가 관리 시스템인 '에필 케어'다. 그는 "많은 암 환자가 수술이나 항암 치료를 받은 뒤 거의 방치되다시피 한다"며 "집에서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예후 차이가 크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폰 앱(응용프로그램) 형식의 에필 케어는 질환별 증상 기록 및 자가 관리 지원 기능이 있다. 오심, 통증, 발열 등 암 환자가 집에서 생활하면서 겪는 다양한 증상을 앱에 입력한다. 혈압계, 체중계, 혈당계 같은 측정 기기와 연동돼 기본적인 건강 상태를 기록한다. 증상을 완화하는 데 유용한 콘텐츠도 제공한다. 이렇게 모인 데이터는 앱에 간명히 정리돼 의료진에게 전달된다. 송 대표는 "환자가 항암 치료를 받기 전 주치의와 대면 상담하는 시간은 3분 정도밖에 안 된다"며 "의료진이 환자 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에필 케어는 환자 건강을 증진하는 것은 물론 데이터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병원은 환자가 집에서 어떤 증상을 보이는지 세세하게 파악하기 힘들다. 그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환자 건강도 챙기고 병원이 확보하기 어려운 일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고 했다.

라이프시맨틱스는 에필 케어에 자체 개발한 질병 예측 알고리즘을 탑재할 계획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기관 등이 가지고 있는 700만 건 이상의 데이터로 심뇌혈관 질환, 폐렴, 유방암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 7개를 만들었다. 정확도는 90% 이상이다. 송 대표는 "암 환자 가운데 운동 안 하고 술·담배를 하는 사람이 꽤 많다"며 "암 재발 확률을 알려 주면 환자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라이프시맨틱스는 지금까지 6개 병원의 환자 700여 명을 대상으로 에필 케어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평균적으로 환자의 95%, 의료진의 85%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특히 환자와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고 진료 시 앱에 있는 정보를 참고할 수 있다는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현재 분당서울대병원에서 하고 있는 마지막 임상시험은 9월 마무리할 예정이다.

올 하반기에 에필 케어를 본격 출시한다. 에필 케어와 측정 기기, 맞춤 영양제, 에필 허브(복약 돕는 기기) 등 여러 요소를 세 유형으로 묶여 판매할 계획이다. 가격은 최소 30만원에서 최대 180만원이다. 송 대표는 "지난해 매출액이 25억원인데 내년 예상 매출액은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지난 6월 헬스케어 O2O(온·오프라인 연계) 기업 케어랩스로부터 64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코스닥 상장도 조만간 추진한다.

그에게 포부를 물었다. "라이프시맨틱스를 '디지털 신약' 시장의 선도 기업으로 만드는 것"이라는 대답이 돌아왔다. 디지털 신약은 병원이 환자에게 의약품처럼 헬스케어 앱을 처방하는 것을 뜻한다. 아직 생소한 분야지만 디지털 신약 시장이 국내에 열린다면 이 기업을 주목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임유 기자 free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