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7월 수상자로 신정규 LG화학 연구위원과 홍경수 에이티이엔지 이사를 9일 선정했다.
신정규 연구위원은 바닷물에서 높은 수준의 염분과 몸에 해로운 붕소를 제거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역삼투 분리막 기술을 개발해 국산 해수담수화 기술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이바지했다.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성능을 가늠하는 중요한 잣대는 염분과 붕소 제거율, 투과 유량이지만 그간 분리막 성능의 한계로 두 성능을 모두 확보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신 연구위원은 역삼투 분리막 성능을 높이는 나노소재를 개발하고 같은 에너지로 더 많은 담수를 생산하는 분리막을 상용화해 담수화시설 효율을 끌어올렸다. 이를 바탕으로 오만과 이집트 등 중동지역 국가의 중대형 담수화 프로젝트 4건을 따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신 연구위원은 “동료들과 긍정적인 마음으로 제품 개발에 노력한 결과 성능 좋은 제품을 개발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홍경수 이사는 기계식과 화학식 제습 기술을 이용해 하이브리드 제습기를 개발하고 하이브리드 응축제습기, 공조기를 잇따라 내놓으며 국내 공조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이들 제습기는 조선소 도장과 식품 가공 공정, 탄약고, 문서고, 빙상장, 수영장에 설치돼 실내 공기질과 제습 효과를 높이는 데 활용되고 있다.
홍 이사는 실내 공기를 빨아들여 응축기에서 냉각하고 습기를 흡수해 건조한 공기를 배출하는 ‘데시칸트 건조기’ 기술을 개선해 국내는 물론 미국과 일본에 특허를 내는 등 차세대 먹거리 기술을 개발한 공로도 인정받았다. 홍 이사는 “앞으로도 현재에 만족하지 않고 연구개발을 계속해 앞선 기술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 현장에서 기술 혁신에 이바지하는 현장 엔지니어를 격려하고 이들을 우대하는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제정됐다.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사 등이 주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6월 수상자로 이상봉 현대중공업 차장(왼쪽)과 전용하 한국인식산업 실장(오른쪽)을 11일 선정했다.이상봉 차장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엔진에 사용되는 연료 절감형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 차장은 LNG 운반선 화물창에서 발생한 기화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압축기 용량을 최적화하고 시스템 신뢰성을 높이는 장비를 도입해 국내 조선산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차장은 “시장의 빠른 기술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만이 조선산업 경쟁력을 유지하는 길”이라고 말했다.전용하 실장은 적외선을 이용해 사진 속 이미지의 특징을 원본과 비교해 인증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신분증 진위 확인 서비스에 이를 적용했다. 전 실장은 “얼굴 인식 알고리즘 개발에 수년이 걸렸다”며 “새로운 세계 최고의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 현장에서 기술 혁신에 이바지하는 현장 엔지니어를 격려하고 이들을 우대하는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제정됐다.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사 등이 주관한다.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5월 수상자로 이희철 세메스 책임(왼쪽)과 안정원 오켈케이블 이사(오른쪽)를 7일 선정했다.이 책임은 두께 5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 이하의 웨이퍼 칩을 전자기판에 붙이기 앞서 접착테이프에서 떼어 내는 초박형 칩 박리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물리적으로 힘을 가하는 기존 방식과 다르게 공기를 불어넣어 칩을 떼어 내는 방식이다.이 기술은 50㎛뿐 아니라 두께 30·25·20㎛의 초박형 반도체 후공정에서도 사용돼 국내 반도체 수율 안정성에 기여하고 있다. 이 책임은 웨이퍼에서 칩을 떼어 내는 ‘이젝팅 유닛’에서 헤드를 자동으로 교체하는 기술을 개발해 교체 시간을 6분의 1로 줄이는 등 무인화 기술 개발에도 이바지했다. 이 책임은 “개발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지만 회사와 동료들의 물심양면 지원 덕분에 성공적으로 개발을 마쳤다”며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설비를 계속 개발하겠다”고 말했다.안 이사는 전선의 생산 공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불량률과 비효율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법을 알아내 국내 전선 제조업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전선 제조 과정에서 저선량(제조 과정에서 임시로 감아놓은 전선 용량)을 56% 늘려 작업자 동선을 최소화하고 작업 효율을 끌어올렸다. 전선을 감아 보관하는 ‘보빈’의 교체 빈도를 줄여 전선 폐기량을 줄이고 불량률을 낮추는 방법을 알아내 국산 제품 경쟁력 강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받았다. 안 이사는 “어려운 시기에 부서별 협조를 통해 이룬 성과라 더 큰 보람을 느낀다”며 “현장에서 뛰는 엔지니어가 인정받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게 돼 무엇보다 기쁘다”고 말했다.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에서 기술혁신을 이끈 엔지니어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 제정됐다.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사 등이 주관한다.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일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월 수상자로 조성호 LG전자 책임연구원(왼쪽), 김학근 삼화에이스 대표(오른쪽)를 선정했다.조 책임연구원은 무선청소기용 초고속 소형 터보팬 등을 개발해 국내 가전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김 대표는 인터넷데이터센터(IDC)에서 사용하는 ‘직접식 외기냉방 기술’을 개발해 공조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았다.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 현장에서 기술 혁신을 이끈 대기업과 중소기업 엔지니어에게 준다.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경제신문사 등이 주관한다.박근태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