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와 GS리테일이 협력해 만든 VR(가상현실) 게임 시설 'VRIGHR(브라이트)'/사진=KT
KT와 GS리테일이 협력해 만든 VR(가상현실) 게임 시설 'VRIGHR(브라이트)'/사진=KT
누구나 한번쯤은 호기심을 가져봤을 법한 VR(가상현실) 게임. HMD(머리에 쓰는 영상표시장치)를 쓰면 눈앞에 전혀 다른 신세계가 펼쳐진다. 게임 컨트롤러를 잡고 팔을 한번 휘두르면 마치 내가 눈앞에 나온 괴물을 물리치고 있다는 느낌까지 난다.

이동통신 업계가 VR 게임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는 5G(5세대 이동통신) 시대의 사업 모델로 VR이 주목받을 것이란 업계의 기대감이 깔려있다. 시장조사업체 IDC는 2020년까지 세계VR 시장 규모가 700억달러(약 81조9000억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VR이 5G 시대 사업 모델로 각광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 중 하나는 역설적이게도 VR 게임의 치명적인 단점으로 꼽히는 '어지럼증'이다. HMD를 쓰고 게임 지시에 맞춰 고개를 돌렸는데 화면 전환 시간이 늦다거나, 이전에 봤던 잔상이 남아있는 느낌은 사용자들을 불편하게 했다.

업계는 VR 게임의 이러한 문제점을 5G가 보완해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는 보통 VR 콘텐츠가 대부분 대용량이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다. 1톤 트럭 100대가 무리없이 지나가기 위해서 넓은 도로가 필요한 것 처럼 대용량의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더 넓은 대역의 주파수가 필요하다.
[최수진의 5G탐험] 가상현실(VR)의 현실화…어지럼증 백신 '5G'
5G의 주파수 대역은 기존 900MHz(메가헤르츠)~2.1GHz(기가헤르츠) 대역의 LTE(4G, 롱텀에볼루션) 주파수와 다른 3.5 GHz, 28 GHz 의 고주파와 초고주파 대역을 사용할 계획이다. 5G가 LTE 보다 훨씬 더 빠른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업계는 LTE보다 최소 20~50배까지 속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예를 들어 2GB(기가바이트) 용량의 영화를 다운로드 한다고 가정하면, LTE는 3분 38초 가량 걸리는 반면 5G는 13초면 충분하다.

또 다른 5G의 특성이 있다. 바로 '초저지연'이다. 지연(늦어지는 것) 현상이 극히 적어진다는 얘기다. 단말기와 통신사 사이에서 신호가 오가는 간격을 지연시간이라고 한다. 지연시간이 줄어들면 반응속도가 높아지고 정확도는 올라간다.

이러한 초저지연 현상을 VR을 게임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화면이 끊기는 듯한 '렉' 현상이 줄어든다고 볼 수 있다. VR 게임을 할 때 팔을 휘두르면, 내가 흔드는 시간과 화면에 동작이 나타나는 시간 격차가 극히 줄어 마치 현실세계에서 휘두르는 듯한 착각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LTE 기준 보통 지연시간은 0.0025초 수준이다. 그러나 5G 환경이 되면 이 시간이 0.001초까지 줄어들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전혀 어색함 없이 현실 세계의 감각을 가상현실에서도 인지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이유로 이동통신사들은 5G 시대를 위한 준비로 VR을 활용한 사업 계획을 내놓고 있다. 5G 상용화 시대에 대비한 준비라고 볼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5G 망을 이용한 한-중 VR 게임 생중계를 진행했고, KTGS리테일과 협업해 VR 게임방 'VRIGHT(브라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HMD를 쓰기만 하면 마치 내가 유럽이나 남미에 있는 듯한 황홀감에 빠지는 경험을 느낄 수 있고, 이역만리에 있는 친구들과 HDM만 쓰고도 같은 공간에서 축구를 보는 듯한 경험을 겪을 수도 있다. 이 모든게 5G 시대가 도래하면 VR을 통해 우리가 흔히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풍경일지 모른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