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쏘카·풀러스… 기로에 선 '이재웅표 카셰어링'
단기 렌터카 방식의 차량공유업체 쏘카와 카풀 기반의 승차공유업체 풀러스. 둘은 국내 대표적인 카셰어링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이란 것 외에 또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포털 사이트 다음의 창업자인 이재웅 씨(사진)가 두 회사 설립 초창기부터 돈을 댄 최대주주라는 점이다.

그는 다음을 떠난 뒤 소셜벤처(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 발굴에 주력했다. 교통체증과 환경오염을 줄이는 카셰어링산업에 주목했다. 다음 출신을 주축으로 창업한 쏘카와 풀러스는 각자 시장에서 1위에 오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두 회사는 성장과 정체를 가를 고비에 직면했다. 이씨는 최근 쏘카에서 경영 전면에 나서 ‘공격 투자’를, 풀러스에는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주문해 눈길을 끈다.
위기의 쏘카·풀러스… 기로에 선 '이재웅표 카셰어링'
◆10년 만에 CEO 복귀

그는 쏘카 이사회 의장에 이어 지난 4월 대표를 겸임하면서 10년 만에 벤처 최고경영자(CEO)로 복귀했다. 매일 사무실로 출근해 경영 전반을 챙긴다고 한다.

2012년 서비스를 시작한 쏘카는 2015년 즈음부터 성장에 불이 붙었다. SK(560억원)와 IMM프라이빗에쿼티(600억원) 등에서 대형 투자를 유치했고, 보유 차량을 매년 1000대 이상 늘렸다. 해마다 영업수익(매출)은 300억~400억원, 회원은 100만 명꼴로 뛰고 있다.

쏘카는 “국내 최대 종합 모빌리티 플랫폼을 목표로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기술 연구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자동차를 자체 확보해야 하는 업종 특성상 손익분기점까지는 갈 길이 멀다. 지난 4년간 발생한 영업손실만 500억원에 육박한다. 차량유지비와 보험료 등이 큰 몫을 차지한다. 롯데그룹이 인수한 그린카, 아주그룹 품에 안긴 링커블 등 후발주자의 추격도 차단해야 한다.

◆규제에 발목 잡힌 풀러스

풀러스는 김태호 대표가 이사회와 마찰 끝에 물러나고 직원 70%가 해고 통보를 받으면서 설립 2년 만에 존폐 기로에 섰다. 풀러스는 “규제로 인한 실적 정체 등으로 사업모델 재점검과 구조조정이 이뤄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정부의 ‘카풀 규제’가 단기간 내 풀릴 것으로 기대하기 어려워진 점을 상황 악화의 원인으로 꼽는다.

현행법은 카풀을 출퇴근 시간에만 허용하지만 구체적인 시간대는 명시하지 않았다. 풀러스는 운전자별로 출퇴근시간을 설정하게 하는 ‘우회로’를 찾아내 24시간 카풀 서비스를 시도했다.

하지만 서울시가 ‘불법’이라며 경찰조사를 의뢰한 이후 운전자가 감소하는 등 사업이 계획대로 굴러가지 않았다. 택시업계를 의식한 정부는 중재나 해법 마련에 별다른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는 “풀러스는 규제가 점차 개선돼 해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시작했지만 오히려 미래 불확실성이 갈수록 커지는 상황”이라며 씁쓸해했다.

◆“쏘카 면접보라” 논란

쏘카는 설립 이후 세 차례, 풀러스는 두 차례 대표가 교체됐다. 업계에서는 최대주주인 이 대표가 ‘교통정리’에 나선 뒤 쏘카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역량을 집중할 것으로 본다.

전문가들은 이 대표를 포함한 여러 업체의 카셰어링 도전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교통과 관련한 ‘철통 규제’가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황기연 홍익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해외 카셰어링 시장은 쏘카 같은 기업·소비자 간 거래(B2C) 방식과 풀러스 같은 개인 간 거래(P2P) 방식이 연계·통합하는 것이 대세”라고 말했다. 그는 “카풀 등 일부 영역의 규제가 너무 강한 한국에서는 기업이 효율성을 높이고 채산성을 맞춰나가기 힘들 것”이라며 “외형이 커질수록 비용 부담이 버거워지는 ‘규모의 불(不)경제’로 갈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21일 스타트업업계에서는 풀러스가 해고를 통보하면서 “원한다면 쏘카 면접 기회를 주겠다”고 한 것을 놓고 뒷말이 적지 않았다. 복수의 업계 관계자는 “김 대표와 무관하게 대주주의 뜻대로 일방적인 해고가 이뤄져 충격”이라고 전했다. 이 대표의 입장을 들으려 했지만 그는 취재에 응하지 않았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