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건강상식] 젊은 층 괴롭히는 ‘턱관절 장애’…원인은 스트레스?
턱은 우리 신체 기관에서도 유독 많이 사용되는 곳이다. 따라서 평소에 관심을 갖고 턱 관절 건강을 챙겨야 한다. 턱이 뻑뻑하고 입을 벌릴 때 아프거나, 한 쪽 턱에 뭔가 걸리는 느낌이 나면서 통증이 있다면 턱관절 장애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이는 입을 벌리고 다물 때 지렛대 역할을 하는 양쪽 귀 밑의 턱관절에 이상이 생겨 나타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5년 턱관절 장애 환자는 35만명이었다. 이중 20대가 9만4000명으로 26.9%를 차지했으며 10대 6만명(17.1%), 30대 5만6000명(16.1%)으로 그 뒤를 이었다. 턱관절 장애를 앓는 젊은층이 많은 이유 중 하나로 스트레스를 들기도 한다. 학업과 취업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스트레스가 쌓이면 어깨나 경추, 두개골 근육이 경직된다. 어깨나 목, 두개골은 턱관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이 부위의 경직은 턱관절의 주변 근육에도 영향을 준다. 결국 두통이나 어깨 통증, 뒷목 결림, 턱관절 장애 등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실제로 턱관절 질환을 의심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전조증상은 어깨가 뻣뻣하거나 두통·편두통이 발생하는 것이다. 턱관절 장애는 단기간에 발생하진 않는다. 대부분 대수롭지 않게 넘긴 통증이나 증상이 오래돼 턱의 이상이 심각해진 상태가 되어야 자각하고 병원을 찾아 알게 되는 경우가 대다수다.

한방에서는 추나요법으로 턱관절 장애를 치료한다. 추나요법은 턱관절 운동의 중심축이 되는 경추와 머리 위치를 조정해주고, 서로 연관되어 있는 척추와 턱관절, 그리고 경추 주변의 긴장도 근육을 풀어주어 치료 효과를 더욱 높여준다.

자가검진을 통해서도 턱관절 장애를 진단할 수 있다.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세 손가락을 나란히 붙여 세워서 입에 넣어 본다. 손가락 세 개가 잘 들어가지 않은 정도로 입이 벌어지지 않으면 턱관절 이상이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으니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턱관절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자신의 일상을 되돌아 보는 것이 중요하다. 생활습관, 스트레스 등 일상에서 크게 신경쓰지 않았던 부분도 한 번쯤 점검하고 질환의 원인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오늘 하루 쯤은 건강을 점검하고 질환의 전조증상은 없는지 자신의 몸에 귀를 기울여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