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AI 세미나 "새 행성 2개 찾는 쾌거…잠재력 매우 커"
'인터스텔라 꿈꾸는 AI'… 우주 보며 새 행성 찾는다
인공지능(AI)이 과거 인간의 인식 바깥에 있던 먼 우주의 행성을 찾아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구글의 크리스 샬루 수석 리서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31일 서울 강남구 구글코리아에서 열린 화상 세미나에서 AI의 행성 탐사 사례를 소개하며 "이 기술의 한계는 '우리가 아는 우주 공간 끝까지'라고 할 정도로 잠재력이 크다"고 강조했다.

천체물리학자들은 우주 망원경이 찍은 무수한 이미지 데이터를 직접 손이나 소프트웨어로 분석해 행성을 찾지만, 이는 '캄캄한 밤에 바늘 찾기'로 비유될 정도로 까다로운 작업이다.

직접 빛을 내는 별(항성)과 달리 행성은 어둡고 크기도 작아 고성능 컴퓨터로도 데이터 속의 자취를 포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예컨대 대중이 가장 잘 아는 별인 태양이 쉽게 우주에서 눈에 띄지만, 그 태양의 빛을 받아야 모습을 드러내는 작은 지구는 상대적으로 찾기 어렵다.

이에 따라 샬루 수석은 미국 텍사스대의 천체물리학자들과 협업해 시각인지 AI가 머신러닝(자율학습)을 통해 스스로 데이터 속 행성을 찾아내도록 훈련했다.

실제 행성 자취를 보여주는 이미지 데이터(정답)와 그렇지 않은 데이터(오답)로 구성된 연습자료를 입력시켜, AI가 이를 토대로 혼자 행성을 탐지하는 비결을 익히도록 한 것이다.

샬루 수석은 "이렇게 학습을 한 AI는 행성 식별 정확도가 96% 확률에 달했고 이후 실제 '케플러 80g'와 '케플러 90i'라는 새 두 행성을 찾아내는 쾌거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새로 발견된 행성은 표면 온도가 섭씨 426도에 달하는 가혹한 곳으로 조사됐지만, 이 기술을 계속 발전시키면 향후 인간이 살만한 환경의 외계 행성을 찾아낼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인류가 이주할 먼 우주의 행성을 찾는 과정을 다룬 SF 영화 '인터스텔라'('항성 간 여행'이란 뜻) 같은 상황이 벌어진다면 AI가 주도적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풀이될 수 있는 대목이다.

영화 인터스텔라에서 AI 로봇은 우주선 조종을 맡고 여행 내내 우주인의 상담자로 활약하긴 해도, 이에 앞서 이주 대상 행성을 찾는 중책까지 맡진 않는다.

샬루 수석은 "미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 망원경이 찍은 데이터는 현재 (행성들의 중심 역할을 하는) 항성 기준으로 20만건에 달하지만 우리는 이 중에서 겨우 670건만 탐색해본 상태"라며 "앞으로 나머지 데이터에 대해 탐사를 계속하면 훨씬 더 많은 성과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