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지식ㆍ기술집약산업은 국내총생산(GDP)대비 투자비중 등 투입면에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중 최고수준임에도기술수지에서는 최대적자국으로 분류되는 등 지식산출체계가 대단히 비효율적인 것으로 지적됐다. 9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최근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지가 25개 OECD회원국의 과학기술관련 통계를 분석한 국가별 지식산업 현황 「STI 스코어보드」에서 한국은 GDP대비 지식투자비중이 지난 98년기준 5.2%로 스웨덴(6.5%),미국(6.0%)에 이어 3위를기록했다. 또 정보기술(IT)관련 연구개발비의 GDP내 비중 역시 지난 99년 0.81%로 핀란드(1.08%),스웨덴(0.85%)에 이어 3위였으며 100명당 인터넷 접속자수(23.2명), 평균 노동생산성 증가율(95∼99년.4.7%)에서는 OECD회원국중 1위를 기록했다. 반면 전체 연구개발에서 기초연구의 비중은 14.0%로 조사대상 11개국중 10위에그쳤으며 특허출원은 지난 97년 100만명당 12.98건으로 OECD평균(75.66건)의 5분의1에도 못미쳤다. 특히 적지 않은 GDP대비 연구개발투자에도 불구하고 기술무역 적자규모는 지난98년 기준 22억5천만달러로 독일,아일랜드와 함께 최대 적자국으로 분류됐으며 적자규모도 99년과 2000년에 각각 24억9천만달러, 28억6천만달러로 계속 확대되고 있다. 노동인구 1만명당 연구인력도 2.9명(98년)으로 미국(36.7명)의 12분의 1, EU(28.3명)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재경부는 타임스지의 분석결과 한국지식산업은 투자를 산출로 직결시킬 수 있는효율적 체계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산.관.학 지식공유체계 및 대학,연구소,기업간 고급인력의 유동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연구개발에 있어 기초연구와 국제협력을 활성화하는 한편, 기술무역수지 만성적자에서 벗어나기 위해 고유기술 개발과 특허출원 활성화를 향후 과제로 제시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종수기자 jski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