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러참사와 함께 '님다' 바이러스의 출현으로 전산망의 보안문제가 시급한 해결과제로 대두된 가운데 국내 방사성물질 안전관리 통합전산망도 허술하게 관리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21일 과학기술부에 따르면 모두 20억원의 예산을 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 지원해 방사성동위원소(RI)의 생산, 수입에서부터 판매, 사용, 폐기에 이르기까지 RI를 유통 단계별로 추적관리할 수 있는 방사성물질 안전관리 통합전산망을 구축해 지난 5월부터 운영중이다. 이 전산망은 과기부와 KINS, 한국방사성동위원소협회 등에 분산돼 있는 방사성물질과 업무관련 정보를 표준화해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과기부는 이 정보망의 도입으로 RI의 도난이나 분실 등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부도업체에 의한 무적선량과 허가량을 초과한 업체 등을 실시간으로 규제할 수 있어사고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RI는 국가적으로 상시감시 체계를 갖춰야 할 위험물질인 만큼 소재나 이용정보 등에 관한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통합전산망의 보안성 확보가 무엇보다 시급한데도 상당히 허술하게 다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운영되는 RI 통합정보망은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베이스(DB) 서버가 모두인트라넷(내부통신망) 바깥쪽의 공용구역(DMZ)에 위치하고 있어 OS(운영체계) 자체의 보안기능과 응용프로그램 사용자의 ID나 패스워드 관리 이외에는 별도의 보안장치가 전혀 마련돼 있지 않다. 이같은 상황에서 통합정보망이 해킹당할 경우 국내 RI 취급업체나 유통경로 등은 고스란히 외부로 유출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관계당국은 RI에 관한 모든 정보를 공개와 비공개로 세분화해 비공개 정보가 담긴 DB 서버는 인트라넷 내부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도록 서둘러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이에 대해 KINS 관계자는 "RI를 취급하는 외부기관이 언제든지 쉽게 접근할 수있도록 통합정보망을 웹 베이스로 구축하다보니 그렇게 됐다" 며 "그러나 외부의 해킹공격에 무방비로 노출된 정도는 아니며 앞으로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말했다. 한편 국내 RI 취급기관은 지난 8월 현재 신고기관 869개, 허가기관 909개 등 모두 1천778개에 이른다. (서울=연합뉴스) 정규득기자 wolf85@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