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에 관한 모든 것"

시스템통합(SI)업체를 한마디로 소개하는 표현이다.

SI는 전산시스템의 <>컨설팅에서 <>설계 <>하드웨어,소프트웨어,네트워크 선정 <>구축 <>운영 <>유지보수를 하는 업체를 뜻한다.

이들 업무를 종합적으로 하는 업체를 의미하지만 때로는 이들 업무중 부분적으로 하는 업체도 있다.

SI사업은 경기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경제성장 및 기업의 전략방향과도 연관을 갖는다.

경기가 다소 주춤하고 있지만 SI업체들은 올해 10~30%의 성장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공공부문의 수요확대도 원인이 있지만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 전산시스템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실시한다는 기업전략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어떤 업체들이 뛰고 있나-전통적으로 이 분야의 강자들은 대그룹 계열의 전산관련 업체들이다.

삼성SDS와 LG-EDS를 비롯해 현대정보기술,SKC&C,포스데이터 등이 있다.

이들은 스스로의 솔루션이나 하드웨어 없이 풍부한 고급인적자원을 활용해 전산시스템 구축작업을 돕는다.

예컨대 남동공단의 중견기업인 S사가 경영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전산시스템을 깐다고 하자.

SI업체에 요청하면 시스템에 관한 분석 컨설팅에 이어 어떤 컴퓨터와 하드웨어를 설치 운영해야 하는지 최적의 해법을 제시한다.

중견기업내에 전산인력이 몇명 있다고 해도 이들이 자사업무와 관련된 최적의 전산시스템 구축을 할 수는 없다.

이 업무를 대행해주는게 바로 종합SI업체다.

요즘은 이들 종합업체 이외에 자기 나름대로의 솔루션을 바탕으로 SI분야에 진출하는 벤처.중소기업들이 늘고 있다.

예컨대 의료전산화 관련업체인 비트컴퓨터와 메디다스,인터넷솔루션업체인 이네트,휴먼컴,한국정보공학 등,그룹웨어및 인트라넷업체인 핸디소프트,버추얼텍 등이 그 예다.

이들 기업중 상당수는 원래 소프트웨어만을 전문적으로 만들어 패키지를 팔았다.

하지만 자사의 독창적인 소프트웨어를 가장 효율적으로 구동시키고 경영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선 시스템구축에서 소프트웨어설치,운영 등을 지원해야한다는 차원에서 이들 사업에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LG-EDS의 임수경 총괄컨설턴트(산업공학박사)는 "솔루션업체들이 점차 SI분야로 뛰어들고 있어 기존의 종합 SI업체와 영역이 모호해지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경쟁력의 차이는 고객의 업무프로세서를 얼마나 잘 이해하고 그동안 쌓은 노하우를 잘 활용하느냐에 달려있다"고 말한다.

전산시스템구축은 해당 기업(혹은 공공기관)의 경영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어서 단순한 전산노하우나 소프트웨어기술만으로는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개별기업의 업무 전체를 잘 이해하고 전산시스템과 소프트웨어에 관한 종합적인 지식과 경험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장전망은=성장성은 무척 높다는게 대체적인 견해다.

현대증권은 연초에 발표한 자료를 통해 SI산업이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의 3배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기업이건 공공기관이건 전산에 대한 투자를 늘릴 수 밖에 없기 때문.

신규투자 뿐 아니라 유지보수를 위한 투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S는 올해 18개 대형 SI업체의 매출계획을 집계한 결과 6조9천8백억원에 달해 작년보다 31%나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수익성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시장에 참여하는 업체가 크게 늘고 있는데다 이들간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

따라서 몇몇 종합SI업체들은 고급인력을 중심으로한 지식집약사업 혹은 인건비사업에서 한걸음 나아가 자사 특유의 솔루션을 갖춘 비즈니스를 검토하고 있다.

기존의 노하우와 우수인력에 솔루션을 핵심역량으로 보유하겠다는 생각이다.

<>SI산업의 발전방향은=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는 작년말 "SI산업 경쟁력강화방안"이라는 연구보고서를 냈다.

이 보고서는 SI산업 발전방안으로 소프트웨어및 SI사업 분쟁중재위원회 설립,SI계약특별법제정,정보기술 아키텍쳐의 표준화 등을 제시했다.

SI는 다양한 기술이 필요한 분야지만 이런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미흡하다는 것.

공공기관이 SI사업을 발주할 때도 이 산업의 특성에 맞는 입찰및 낙찰방식을 정하는 등 교통정리를 해줘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야 과당경쟁과 덤핑수주를 막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미국과 같은 품질평가모델을 국내에서도 만들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김낙훈 기자 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