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전화가 대중화됐다지만 아직도 통화품질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만은 적지 않다.

특히 지하철 등 지하공간에서 잘 터지지 않아 답답한 경험은 누구나 갖고 있다.

이동전화 사업자별로 소비자들이 느끼는 체감품질에도 차이가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정보통신부가 지난 12일 공개한 "이동전화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보면 전혀 문제가 없는 것처럼 돼있다.

일부 지방의 특정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통화품질이 최우수 등급이고 사업자들간 차이도 거의 없다.

휴대폰 이용자들은 이같은 정통부의 발표에 대해 "소비자 우롱행위가 아니냐"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사실을 정확히 반영하지 않은 조사가 무슨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정통부는 지난해부터 통신서비스 품질을 조사해 결과를 공개하고 있다.

이번이 두번째다.

정통부가 적지않은 돈을 들여가며 품질조사를 벌이는 것은 두가지 이유 때문이다.

"소비자에게 양질의 통신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이용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첫째이고,"사업자간 품질 경쟁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 두번째 이유이다.

정통부의 이번 조사는 두가지 도입이유를 전혀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사업자간 품질차이를 덮어둬 이용자들의 선택에 혼란을 부추기고 있고 그러다보니 해당 사업자들도 조사결과에 별달리 신경을 쓰는 눈치가 아니다.

지난해의 경우 구체적인 평가점수가 공개돼 사업자별로 아주 민감한 반응을 보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구체적인 평가방식에도 문제가 있다.

우선 측정 대상지역가운데 이용자들이 불편을 느끼는 지하철안이나 건물의 지하공간은 배제됐다.

또 사업자별로 차이가 나는 통화중 음질에 대한 평가 항목도 빠져있다.

3달동안 2억여원의 적지않은 예산을 투입해 이뤄진 품질평가치고는 너무 형식적으로 이뤄진 측면이 있다.

통신 선진국의 경우를 보자.미국은 정기적으로 통화품질의 변화를 철저히 측정해 결과가 일정점수이하면 해당 사업자에 패널티를 물도록 하고 있다.

패널티는 가입자 요금인하로 반영해 결국 이용자를 위해 쓰여진다.

역시 국내와는 다르다.

정통부는 앞으로도 해마다 두번씩 통화품질을 측정해 공개할 계획이다.

하나마나한 측정이 아니라 실제 통신서비스 이용자에게 도움이 될수 있는 평가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정종태 정보과학부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