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명 중 3명이 노인인 일본에서 지난해 출생아가 줄고 사망자가 급증하면서 인구 자연감소 규모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3일 요미우리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난해 일본인 출생아 수가 77만747명, 사망자 수가 156만8천961명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전날 발표했다.출생아는 2021년보다 4만여 명 감소한 역대 최소이고, 사망자는 약 13만 명 늘어나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이에 따라 인구 79만8천214명이 자연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다. 이 수치는 규슈 최대 도시인 후쿠오카시의 절반에 해당하며, 시즈오카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사는 하마마쓰(浜松)시나 한국 부천시와 비슷하다.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를 뜻하는 합계출산율도 1.26명으로, 역대 최저였던 2005년을 밑돌았다. 47개 광역지방자치단 가운데 출산율이 눈에 띄게 증가한 지역은 돗토리현과 도야마현뿐이었다.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저출산은 위기 상황으로 조용한 유사 사태로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청년 세대가 결혼한 뒤 안심하고 아이를 기를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해 저출산 경향에 제동을 걸고자 한다고 강조했다.지난해 일본의 혼인 건수는 50만4천878건으로 3년 만에 소폭 증가했으나,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의 59만9천7건에는 미치지 못했다.요미우리는 "일본 정부는 내년 이후 출산율이 서서히 오를 것으로 보고 있지만, 육아 부담을 걱정해 아이를 낳지 않으려는 경향이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며 "젊은이를 대상으로 고용을 안정화하고 수입을 늘리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사진=연합뉴스)김현경기자 khkkim@wowtv.co.kr
비제시 공안당국 발표문 하루만에 500만건 이상 조회 중국 구이저우성에서 익사 사고를 취재하던 지무(極目)신문 기자가 현지 공안에 의해 폭행당한 사건을 계기로 중국 기자들의 취재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비등하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3일 지무신문 기자 폭행 사건 이후 중국 기자들에 대한 적대적 행위와 엄격한 취재 제한 문제를 둘러싸고 온라인 상에서 이례적으로 치열한 논쟁이 펼쳐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달 30일 중국 서남부 구이저우성 비제시 즈진현에서 타 지역 신문인 지무신문 기자 리 모(某) 씨가 지난 4월에 발생한 교사 2명의 익사 사고를 취재하던 도중 현지 경찰관 3명으로부터 폭행당했다. 비제시 공안 당국은 이 사건이 전국적인 관심을 불러오자 폭행에 지난 1일 연루된 경찰관 3명에 대해 각각 15일에서 20일의 행정구류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하루만인 지난 2일까지 비제시 공안 당국의 발표문 조회수가 500만건 이상에 달하는 등 이번 사건에 대한 중국 대중들의 관심은 꺾이지 않고 있다. 아울러 폭행당한 기자의 소속 언론매체는 물론 신화통신과 환구신문 등 전국 단위의 중국 매체들도 언론인에 가해지는 폭력 행위를 규탄하고 나섰다. 지무신문의 쉬장하오 편집인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우리는 기자의 권리 수호를 지지하며 (리 기자를 위한) 정의를 요구한다"고 적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도 논평을 통해 즈진현 경찰관들의 리 기자 폭행 사건에 대해 "여론을 통해 공공 부문을 감시하는 언론인의 정상적인 의무에 대한 잔인한 폭력 행위"라고 규탄했다. 중국 소셜미디어인 웨이보의 한 이용자는 "왜 경찰관이 기자를 따라다니는가?"라면서 "누가 이들에게 명령했나? 이것이 핵심 문제"라고 적었다. 잔장 전 베이징외국어대 교수는 최근 들어 기자들에 대한 적대감 표출행위가 늘어나고 있으며, 기자들에 대한 검열과 폭력 행위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중국 기자들에 대한 취재환경 개선 필요성을 제기했다. /연합뉴스
출생아 77만명·사망자 157만명…일본 정부 "저출산 위기 상황" 인구 10명 중 3명이 노인인 일본에서 출생아가 줄고 사망자가 급증하면서 지난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인 인구 79만8천214명이 자연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규슈 최대 도시인 후쿠오카시의 절반에 해당하며, 시즈오카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사는 하마마쓰(浜松)시나 한국 부천시와 비슷하다. 3일 요미우리신문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지난해 일본인 출생아 수가 77만747명, 사망자 수가 156만8천961명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전날 발표했다. 출생아는 2021년보다 4만여 명 감소한 역대 최소이고, 사망자는 약 13만 명 늘어나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도 1.26명으로, 역대 최저였던 2005년을 밑돌았다. 47개 광역지방자치단 가운데 출산율이 눈에 띄게 증가한 지역은 돗토리현과 도야마현뿐이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저출산은 위기 상황으로 조용한 유사 사태로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청년 세대가 결혼한 뒤 안심하고 아이를 기를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해 저출산 경향에 제동을 걸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일본의 혼인 건수는 50만4천878건으로 3년 만에 소폭 증가했으나,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의 59만9천7건에는 미치지 못했다. 닛케이는 "올해 1∼3월 혼인 건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2% 감소한 13만5천 건"이라며 "코로나19로 줄어든 결혼이 다시 증가할지 예상하기 어렵다"고 짚었다. 요미우리는 "일본 정부는 내년 이후 출산율이 서서히 오를 것으로 보고 있지만, 육아 부담을 걱정해 아이를 낳지 않으려는 경향이 급속히 확산하고 있다"며 "젊은이를 대상으로 고용을 안정화하고 수입을 늘리는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