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폭스콘, 올 하반기 인공지능 서버사업 3배 성장 전망

보도에 따르면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전날 열린 주주총회에서 AI 서버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긍정적인 의견을 밝히면서 이같은 전망을 내놓았다.
류 회장은 대만 폭스콘 그룹의 지난해 서버 매출액이 1조1천억 대만달러(약 47조2천억원)로 글로벌 시장점유율이 40%에 달한다면서 향후 서버 시장의 점유율을 계속 높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자제품 위탁생산(EMS)의 점유율이 2021년 42.9%, 지난해 45.6%로 상승했으며 휴대전화, PC, 서버 분야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1위라고 강조했다.
류 회장은 지난해 11월 30일 출시된 오픈AI(OpenAI)의 챗봇 챗GPT가 뛰어난 에세이 작성 능력을 보임에 따라 (서버)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엔비디아 칩을 사용하는 자사의 최신 AI 서버가 챗GPT와 옴니버스 관련 수요의 증가로 폭스콘의 핵심 자회사인 '폭스콘 인더스트리얼 인터넷(FII)'의 인그라시스가 고객들의 긴급 주문을 받았다고 전했다.
류 회장은 차량용 소형 집적회로(IC)와 관련, 각종 전기차 수요에 적합한 탄화규소(SiC) 모듈 개발에 나설 것이라고도 소개했다.

또한 인도네시아에서도 전기 버스 공장 건설을 시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2020년 폭스콘은 전기차 사업 진출을 선언한 뒤 2021년 8월 자체 전기차 모델 3종을 선보였다.
폭스콘은 2027년까지 연간 300만대의 전기차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