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 병원 네트워크인 카이저퍼머넌트 노조가 4일(현지시간) 오후 6시부터 파업에 돌입한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인력난에 시달리는 미국 의료 시스템이 정상 운영에 차질을 빚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카이저퍼머넌트 노조는 이날부터 7일까지 3일간 총파업에 돌입했다. 의사, 간호사, 약사 및 병원 사무직원 등 7만 5000여명이 파업에 참여했다. 7만 5000명의 의료직 종사자가 한꺼번에 파업에 참여한 건 1993년 이후 처음이다.
카이저퍼머넌트는 미국 서부 지역에 거점을 둔 병원 네트워크다. 콜로라도주를 비롯해 메릴랜드, 버지니아주 등에 있는 40여개 병원과 620개의 진료소에서 환자 1270만명을 관리한다. 환자에 대한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카이저퍼머넌트는 임시 직원을 고용할 방침이다.
카이저퍼머넌트 노조가 파업에 나선 배경엔 열악한 근무 환경이 있다. 앞서 카이저퍼머넌트는 지난 1일 성명을 통해 "코로나19 기간(2021~2022년) 이른바 '대퇴사' 현상으로 미국의 의료 분야에서 500만명 이상이 퇴직했고, 종사자의 3분의 2가 번아웃을 경험하면서 퇴직 비율이 20%에 달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카이저퍼머넌트 노조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임금 인상과 인력 충원을 회사 측에 요구해왔다. 최소 1만명 이상의 신규 직원을 선발하고, 2년간 임금 6.5%씩 인상하라고 요구했다. 수익이 개선된 것을 임금에 반영해달라는 것이다. 하지만 회사 측이 이를 거절하며 협상이 결렬됐다. 카이저퍼머넌트는 올해 상반기 매출 504억달러, 영업이익 33억달러를 기록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지난달 미국 고용시장이 급속도로 냉각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8월까지 고용 시장이 활성화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온 지 하루만이다. 미 중앙은행(Fed)이 통화 긴축에 대한 강경한 태도를 다소 완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4일(현지시간) 미국 민간 노동시장 조사업체인 ADP는 9월 민간 고용이 8만 9000건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8월(18만건)보다 50% 감소한 수치다. 시장 전망치(16만건)도 밑돌았다. 2021년 이후 최소치를 기록한 것이다.
9월 민간 고용은 전 부문에 걸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 및 비즈니스 서비스 부문은 지난달 3만 2000건 감소했으며, 무역업, 운송업 등에서도 1만 3000건씩 감소했다. 서비스 부문은 반등하며 9월 한 달간 민간 고용이 8만 1000건 증가했다. 대부분은 숙박 및 레저업에 속했다.
임금 상승세도 한풀 꺾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ADP에 따르면 지난달 임금 상승률은 작년보다 5.9% 증가했다. 12개월 연속 둔화세를 이어갔다. 넬라 리처드슨 ADP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지난달 일자리 감소세가 가팔라졌다"며 "12개월간 꾸준히 임금 상승세가 둔화하며 노동 시장이 냉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날 미 노동부가 발표한 내용과 정반대되는 수치다. 노동부가 발표한 8월 구인·이직보고서(JOLTS)에 따르면 미국 노동 시장은 여전히 과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월 민간기업 구인 건수는 961만 건으로 전달 보다 69만 건(7.7%) 증가, 예상치 880만 건을 크게 넘어섰다.
Fed 관계자들은 고금리 장기화를 암시하는 발언들을 쏟아내기도 했다. 2일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은행 총재는 "Fed의 안정화 작업이 끝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며 "연내 금리를 한 번 더 인상한 뒤 한동안 유지할
미국 내 권력 서열 3위인 케빈 매카시 하원 의장이 3일(현지시간) 해임됐다. 하원 의장이 해임된 것은 234년 미국 의회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미국 하원은 이날 찬성 216표, 반대 210표로 매카시 의장 해임안을 통과시켰다. 표결에 참여한 민주당 의원이 모두 찬성하고 공화당 내 강경파 의원 8명이 찬성표를 던진 결과다.
전날 공화당 강경파인 맷 게이츠 의원은 매카시 의장이 추진한 임시예산안 처리에 반발하며 매카시 의장 해임 결의안을 발의했다. 하원의 과반 찬성이 필요해 안건 통과 가능성이 낮다는 관측이 많았지만 민주당이 매카시 의장 해임 찬성을 당론으로 정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매카시 의장이 최근 하원의 조 바이든 대통령 탄핵 조사를 추진하자 민주당 내에서 매카시 의장에 대한 반감이 커진 영향이다.美하원 입법 올스톱…셧다운 가능성 재점화
민주당 찬성 당론이 결정적 역할미국 내 권력 서열 3위인 케빈 매카시 하원 의장이 3일(현지시간) 해임되면서 미국 워싱턴 정가는 대혼란에 빠졌다. 공화당 내 소수 강경파의 돌출 행동으로 미국 의회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차기 하원 의장 선출이 늦어져 내년도 예산안을 제때 처리하지 못하면 연방정부 셧다운(업무 중단)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공화당에서 8명 반란표매카시는 지난 1월 당내 강경파 의원의 반대로 인해 15번의 투표 끝에 하원 의장으로 선출됐다. 강경파 의원들은 의장 선출 투표 때 소수파 권한을 확대해달라고 요구했다. 당시 매카시 의장은 이들을 달래기 위해 코커스(의원 모임)가 아닌 개별 의원 한 명이 하원 의장 해임안을 발의할 수 있도록 하원 운영 규칙을 바꿨다.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