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뱅크런 막았지만…"코코본드 수요 사라질 것"
"안전자산 채권에 대한 공포 확산"
유럽 은행 AT1채권값 모두 하락
자본확충 어려움 겪을 가능성
핌코 등 글로벌 기관 손실 입어
유럽 코코본드 동반 하락

마켓워치에 따르면 바클레이스가 2019년 3월 발행한 AT1 금리는 이날 연 21.4%로 최근 1년간 최저치인 연 4.4% 대비 크게 올랐다. 채권은 금리가 뛰는 만큼 가격이 하락한다. 도이체방크와 HSBC의 AT1 금리는 각각 연 23%, 연 15.9%를 기록했다. 도이체방크의 최근 1년 최저치는 연 6.5%, HSBC는 연 5.5%였다. AT1 금리를 추종하는 인베스코 상장지수펀드(ETF)도 5.7% 떨어졌다.
UBS는 크레디트스위스를 인수하며 크레디트스위스 코코본드 전액을 0원으로 상각했다. 그러나 크레디트스위스 주주들은 22.48주당 UBS 1주를 보상할 계획이다.
채권자가 주주보다 우선이라는 믿음이 깨지면서 ‘본드런’ 경고가 나온다. 신용분석기관 사리아의 울프강 펠릭스 선임애널리스트는 “화가 난 채권자들이 코코본드를 발행하는 다른 유럽 대형은행들로 달려가고 있다”고 했다. 골드만삭스는 “코코본드 수요가 영구적으로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코코본드의 위험성을 체감한 투자자들이 쉽사리 재투자하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글로벌 소송전 예고
코코본드 투자가 위축되면 유럽 은행들은 자본 확충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코코본드는 회계상 자본으로 처리돼 은행들이 자기자본 확충 수단으로 애용해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글로벌 코코본드 시장 규모는 2750억달러(약 359조원)로 추산된다.유럽중앙은행(ECB) 등 유럽 금융당국은 20일 공동성명을 내고 “주식이 첫 번째로 손실을 흡수하는 상품이며, AT1은 주식을 완전히 사용한 뒤 상각해야 한다”며 “이 방식은 지금까지 일관적으로 지켜졌으며 앞으로도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크레디트스위스가 본사를 둔 스위스는 유럽연합(EU) 회원국이 아니다. 외신들은 스위스 금융당국이 구조조정 시 채권이 주식보다 우선하는 자본구조를 지킬 의무가 없다고 전했다.
크레디트스위스 코코본드를 보유한 글로벌 기관투자가의 손실도 크다. 로이터는 글로벌 채권운용사 핌코가 크레디트스위스 코코본드 상각으로 3억4000만달러(약 4452억원) 손실을 봤다고 보도했다. 미 투자은행 라자드프레르, GAM인베스트먼트 등도 크레디트스위스 관련 익스포저(위험 노출 규모)가 큰 곳으로 거론된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