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수첩, 건강보험 기록에서 수감시 소유물까지 '빼곡'원본문서만 3천만건…지금도 가족 문의 등 기록 매년 수만건 추가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 등재…독일인에겐 소장 안맡겨 세계 최대 독일 나치정권의 강제징용 등 2차대전 전쟁범죄 관련 기록보관소인 아롤센 아카이브. 베를린에서 기차를 타고 네시간여 달리면 닿는 바트 아롤센 기록보관소의 중앙저장고는 알루미늄 공장 뒤편의 거대한 창고에 세 들어 있다. 약 1천700㎡의 저장고 전역에는 인류역사상 가장 잔혹했던 범죄에 희생됐거나 피해를 본 1천750만명에 관한 기록들이 캐비닛과 진열장에 빼곡히 쌓여있다. 햇볕이 비치는 창가 앞, 전체의 3분의 1가량 되는 공간에는 어깨높이의 6단 캐비닛이 끝없이 줄지어 놓여있다. 가장 안쪽의 캐비닛에는 독일 나치정권의 부헨발트와 다하우, 플로센뷔르크의 강제·집단학살 수용소 수감자들의 인적 사항과 사진이 담긴 서류가 남녀별로 분류돼 성에 따라 알파벳 순서대로 정리돼 있다. 세월의 흔적이 담긴 누런 서류봉투 안에는 수감자의 이름과 생년월일, 국적, 가족 상태, 수감 일자, 키, 몸매 등을 담은 수감자 카드와 수감 시 보유했던 개인 소유물, 다른 서류들이 담겨 있다. 기오라 츠빌링 아카이브 부문장은 "1946년 아카이브의 전신인 국제추적서비스(ITS)가 만들어질 당시 연합군이 강제·집단학살 수용소에서 가져온 기록들"이라며 "서류를 펼쳐볼 때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운명을 생각하면 숙연해진다"고 말했다. 다음 캐비닛들에는 공공기관과 보험사, 기업에서 확보한 2차 대전 당시 나치 정권 강제징용자들의 노동수첩과 건강보험 서류들이 성에 따라 알파벳 순서대로 정리돼 있다
"일본이 강제징용 책임 자인 않더라도 이야기하고 기록하는 게 중요""강제징용자 건강보험기록, 배상받는 데 유용" "가해자가 전쟁범죄에 대한 책임을 자인하는 것은 피해자들에게 있어서 기본적이고, 매우 중요합니다. " 강제징용을 비롯해 독일 나치 정권의 1933∼1945년 2차 세계대전 당시 전쟁범죄와 관련한 세계 최대 기록보관소인 아롤센 아카이브의 플로리안 아줄레이 소장은 29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연합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지난 2016년 취임한 그는 2차대전 당시 나치 정권의 강제·집단학살 수용소 희생자나 생존자,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가족이나 친지를 만났을 때, 그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당시 겪은 피해에 대한 인정이었다고 강조했다. 가해자가 책임을 자인하고, 가족과 친지 등 주변인들이 피해를 인정하고 존중해야 깊은 정신적 외상에서 치유가 시작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한일간에 현안이 되고 있는 강제징용 문제도 같은 맥락에서 이야기했다. "일본이 강제징용에 대한 책임을 자인하지 않더라도 강제징용 피해에 관해 이야기하고 기록하는 게 중요합니다. 침묵보다 끔찍한 것은 없습니다. 다음 세대를 위해서라도 이야기하며 상처를 치유해야 합니다. " 프랑스인인 아줄레이 소장은 "2차대전 당시 전쟁범죄와 관련해 가해자인 독일을 특징짓는 것은 실제로 과거사를 책임지는 직시가 현재진행형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라며 "독일에서는 각지의 학생들이 우리 지역에서, 내가 사는 거리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조사하고 기록하면서 역사와 정치교육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독일 중부의 소도시 바트 아롤센에 있는 기록보관소에는 독일
美, 민주주의 고리로 결속 강화하며 中 견제…中은 잇따라 美 비판 한국과 미국 등 제2차 '민주주의 정상회의'에 참가한 국가들은 29일(현지시간) 민주주의에 대한 믿음을 재확인하고 권위주의 대응 등을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키로 했다. 미국이 메인으로 주최하고 한국 네덜란드 코스타리카 잠비아 등 4개국이 공동주최국으로 나선 이번 회의에 참가한 120여개 국가 가운데 이날까지 70여개국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민주주의 정상회의 선언'을 지지했다고 미국 국무부가 밝혔다. 이들 국가는 선언문에서 "민주주의가 평화, 번영, 평등, 지속가능한 발전, 안보를 증진하기 위한 인류의 오랜 수단"이라면서 "권위주의와 부패에 더 단호하게 대응하고 민주주의가 모두를 위한 평화, 안정, 번영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모든 사람의 목소리를 듣고 모든 사람의 인권이 존중·보호·이행되고 법치가 유지되도록 하는데 민주주의는 필수적"이라면서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도전에 대처하기 위해 민주적 제도와 과정을 강화하고 탄력성을 구축할 것을 약속한다"고 다짐했다. 이어 "우리는 국내외에서 민주주의를 강화하고 권위주의 트렌드와 싸우며 다자간 대화와 협력을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에 단결돼 있다"면서 "우리는 자유와 민주주의의 가치를 고수하는 국가와 국민을 지지하고 이를 훼손하려는 직간접적인 시도나 위협에 반대한다는 굳은 결의를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선언문은 또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무조건적인 철수 등도 요구하는 등을 내용도 담겼다. 국무부는 "정상회담이 끝날 때(30일)까지 선언문 지지는 열려